목차
1. 클러스터의 정의
2. 클러스터의 형성요인
3. 클러스터의 유형
4. 클러스터의 효과
2. 클러스터의 형성요인
3. 클러스터의 유형
4. 클러스터의 효과
본문내용
(SS)의 3개 주체로 구성된다. 비전 제시자(Vision Provider, VP)는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산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며 인재공급과 벤처창업의 토대로서 역할을 하고, 시스템 통합자(System Organizer, SO)는 원천기술을 상업화하고 요소기술과 부품을 통합하여 제품화하며, 전문 공급자(Specialized Suppliers, SS)는 부품과 요소기술을 제공하는 중소기업, 벤처, 금융, 마케팅, 법률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지원서비스업체 등을 가르킨다. 이러한 구성주체간 역할 분담을 통한 분업네트워크 형성, 상호작용을 통한 지식창출이 클러스터의 작동원리이다.
복득규 외, "한국 산업과 지역의 생존전략, 클러스터", 삼성경제연구소, 2003. 5
<그림 2> 클러스터의 구성주체별 역할
4. 클러스터의 효과
Porter(1990, 1998)는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기업 및 산업의 생산성 증대, 생산성 증대의 근간이 되는 혁신역량의 향상, 혁신을 촉진하고 클러스터의 확장에 도움이 되는 신규사업을 통해서 클러스터가 국가의 경쟁 우위를 강화시킨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Porter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클러스터의 결정요인에 연구의 초점을 맞춰왔으며 클러스터의 효과에 대해서는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나, 대체로 긍정적인 효과로 경쟁우위 강화와 혁신촉진을 들 수 있다.
클러스터의 긍정적 효과
클러스터의 부정적 효과
경쟁우위 강화
이윤증가
수출증대
경제성장
오염이나 혼잡에 따른 부의 외부성
카르텔 형성에 따른 경쟁감소
주택, 임금, 토지임대료 등 상승
집단사고의 존재
혁신촉진
지식확산
생산성 증대
<표 5> 클러스터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자료 : 삼성경제연구소 "산업클러스터의 국내외 사례와 발전전략", p.15, 2002. 11
Porter(1990, 1998)는 클러스터가 국제시장에 있어서 기업이나 산업의 경쟁입지를 강화시킨다고 주장한다. 즉, 클러스터내 기업들은 규모 및 범위의 경제를 활용하기 때문에 비용절감을 통해 이윤증가 및 경쟁입지를 강화할 수 있다. 동시에 클러스터내 기업간 경쟁은 보다 효율적인 생산을 유도함으로써 국제시장에서 보다 높은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클러스터는 혁신을 증가시키고 보다 많은 지식파급 및 지식축적을 가져오며, 기업간 지식 확산의 속도를 가져온다. 클러스터내 기업들은 서로 가까이 입지해 있으면서 혁신을 진전시키는 데 있어서 보다 쉽게 협력할 수 있고 바람직한 투입물 특성의 변화에 대해 손쉽게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제품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고 기술이나 시장수요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Notteboom(1998)은 지리적 근접성은 급진적인 기술변화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Baptista와 Swan(1998)은 기업차원 클러스터와 혁신간 관계를 직접적으로 분석하였다. 혁신, 지식, 그리고 기술의 파급효과는 클러스터내 기업들에 의한 혁신개발의 중요한 요인이다.
<참고문헌>
복득규 외, "한국 산업과 지역의 생존전략, 클러스터", 삼성경제연구소, 2003. 5
삼성경제연구소, "산업클러스터의 국내외 사례와 발전전략", p.11, 2002. 11
이공래, "우리나라 지식클러스터 실태와 육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 3
중앙일보, 「뭉쳐야 산다. 산업 클러스터 현장」, 2002. 10.13
최상석, "우리나라 산업 클러스터 형성과 지역산업발전에 관한 연구", 금호엔지니어링 건설연구소, 2003
T.J.A Roelandt & P. Hertog Cluster Analysis and Cluster-based Policy in OECD Countiries, May 1998
복득규 외, "한국 산업과 지역의 생존전략, 클러스터", 삼성경제연구소, 2003. 5
<그림 2> 클러스터의 구성주체별 역할
4. 클러스터의 효과
Porter(1990, 1998)는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기업 및 산업의 생산성 증대, 생산성 증대의 근간이 되는 혁신역량의 향상, 혁신을 촉진하고 클러스터의 확장에 도움이 되는 신규사업을 통해서 클러스터가 국가의 경쟁 우위를 강화시킨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Porter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클러스터의 결정요인에 연구의 초점을 맞춰왔으며 클러스터의 효과에 대해서는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나, 대체로 긍정적인 효과로 경쟁우위 강화와 혁신촉진을 들 수 있다.
클러스터의 긍정적 효과
클러스터의 부정적 효과
경쟁우위 강화
이윤증가
수출증대
경제성장
오염이나 혼잡에 따른 부의 외부성
카르텔 형성에 따른 경쟁감소
주택, 임금, 토지임대료 등 상승
집단사고의 존재
혁신촉진
지식확산
생산성 증대
<표 5> 클러스터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자료 : 삼성경제연구소 "산업클러스터의 국내외 사례와 발전전략", p.15, 2002. 11
Porter(1990, 1998)는 클러스터가 국제시장에 있어서 기업이나 산업의 경쟁입지를 강화시킨다고 주장한다. 즉, 클러스터내 기업들은 규모 및 범위의 경제를 활용하기 때문에 비용절감을 통해 이윤증가 및 경쟁입지를 강화할 수 있다. 동시에 클러스터내 기업간 경쟁은 보다 효율적인 생산을 유도함으로써 국제시장에서 보다 높은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클러스터는 혁신을 증가시키고 보다 많은 지식파급 및 지식축적을 가져오며, 기업간 지식 확산의 속도를 가져온다. 클러스터내 기업들은 서로 가까이 입지해 있으면서 혁신을 진전시키는 데 있어서 보다 쉽게 협력할 수 있고 바람직한 투입물 특성의 변화에 대해 손쉽게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제품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고 기술이나 시장수요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Notteboom(1998)은 지리적 근접성은 급진적인 기술변화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Baptista와 Swan(1998)은 기업차원 클러스터와 혁신간 관계를 직접적으로 분석하였다. 혁신, 지식, 그리고 기술의 파급효과는 클러스터내 기업들에 의한 혁신개발의 중요한 요인이다.
<참고문헌>
복득규 외, "한국 산업과 지역의 생존전략, 클러스터", 삼성경제연구소, 2003. 5
삼성경제연구소, "산업클러스터의 국내외 사례와 발전전략", p.11, 2002. 11
이공래, "우리나라 지식클러스터 실태와 육성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2. 3
중앙일보, 「뭉쳐야 산다. 산업 클러스터 현장」, 2002. 10.13
최상석, "우리나라 산업 클러스터 형성과 지역산업발전에 관한 연구", 금호엔지니어링 건설연구소, 2003
T.J.A Roelandt & P. Hertog Cluster Analysis and Cluster-based Policy in OECD Countiries, May 1998
키워드
추천자료
[논문계획서]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공기업과 사기업의 팀제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팀 내부의 역할 균형 및 구성원의 성격 차이...
브루너와 오스벨의 학습지도 원리에 의거한 학습지도안과 수학불안 요인
[금융시장]한국의 지역금융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 및 방향
[브랜드자산][브랜드자산가치][브랜드가치][브랜드]브랜드자산의 개념, 브랜드자산의 구성요...
[외국인투자][외국인투자유치]외국인투자의 결정요인, 외국인투자의 진출영향, 외국인투자의 ...
기업의 스포츠 광고 및 스폰서쉽 활용 실태 효과 및 분석
[태권도수련가치] 태권도수련의 가치에 관하여 논하시오. 태권도 수련의 필요성, 의미, 효과,...
[소비자교육] 소비자교육의 개념(의의)과 목표, 필요성, 효과
[학사학위논문] 한&#65381;중&#65381;일 FTA 경제효과와 실현방안
[일본정부, 행정개혁, 정보기반비전, 국가책임, 영토분쟁]일본정부의 정책결정요인, 일본정부...
매스미디어가 미치는 영향과 개선책 - 침묵의 나선이론과 제3자효과 이론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