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감수성과 평등의식-담정 김려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로운 감수성과 평등의식-담정 김려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생애
1) 가계
2) 청년시절(1780~1797)
3) 유배지에서(1797~1806)
4) 해배(解配) 이후(1806∼1821)

3. 문학적 특질
1) 새로운 감수성과 새로운 글쓰기
2) 부패한 지배권력에 대한 인식
3) 여성에 대한 인식
4) 민중적 인물에 대한 애정
5) 계급타파와 평등의식

4. 마무리

본문내용

문학은 정(情)을 중시하고, 인간의 자연스런 감정을 긍정하며, 감정의 해방을 추구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10여년의 유배생활을 통해 민중적 세계와 접하면서 그의 감수성은 민중적인 것으로 전화되었으며, 중세적 감수성을 해체하고 새로운 감수성의 세계를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탈중심적·평등의 감수성에 입각하여 봉건권력의 부패를 신랄하고도 구체적으로 폭로하였고, 여성 및 민중적 인물에 대한 깊은 애정을 통해 그들을 남성 및 지배층의 대상이 아니라 독립적인 인간적 가치를 가진 존재로 이해하였으며, 중세적 신분관념을 넘어서서 근대적 만민평등의식에 성큼 다가서 있었다. 담정의 인간 및 현실이해는 학문이나 논리에 바탕을 두기보다는 풍부한 감수성 및 직관적 통찰에 근거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예술적 감성이나 시적 통찰은 때로 이성이나 논리보다 유연하며, 그리하여 인간 및 세계 이해에 있어 더 진취적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담정의 경우를 통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된다. 하지만 담정은 때로 당파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면모를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민중적 삶과의 직접적 연관을 상실한 해배(解配) 이후로는 이전의 날카로운 감수성이 다소 후퇴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8.16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3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