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환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동환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부동(immobilization)의 영향
1. 중추 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1) 감각의 변화
2) 운동성 활동의 감소
3) 자율신경 불안정
4) 정서적장애
5) 지적결여
2. 근육계(Muscular system)
1) 근력(muscle strength) 감소
2) 지구력(endurance)감소
3) 근위축(muscle atrophy)
4) 조정력(coordination)약화
3. 골격계
1) 골다공증osteoporosis
2) 섬유증과 관절의 강직
4. 심맥관계(Cardiovascular system)
1) 심박동수 증가
2) 심 예비력의 감소
3) 기립성 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
4) 정맥 혈전증(Phlebothrombosis)
5. 호흡기계(Respiration system)
1) 폐활량 감소
2) 환기/관류 비율의 국소적인 변화
3) 기침기전의 손상
6. 소화기계(Gastrointestinal system)
1) 식욕감퇴
2) 변비
7. 내분비와 신장계
1) 이뇨증가
2) NA배설 증가
3) 과calcium뇨
4) 신석
8. 피부계(Integumentary system)
1) 피부의 위축
2) 욕창
9. 심리적인 환경

기동성 장애의 예방과 관리
1. 감각의 자극
2. 능동적 근육운동
3. 적절한 체위나 가동범위 운동
4. 심맥관의 재조정, 수동적 경사유지
5. 호흡과 기침운동
6. 적절한 영양과 수분섭취
7. 피부위생

본문내용

압을 방지하기 위해 탄력붕대나 양말로 다리 전체를 감싸준다. 탄력양말은 혈액의 정체와 신체하부의 부종을 막아주기 때문에 중력의 영향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좌위 기립 위에서 반드시 착용한다.
5. 호흡과 기침운동
와위에서 환자는 깨어있는 동안 최소한 한 시간마다 느린 심호흡을 3~5번 가량 실시해야 한다. 최대 흡기를 위해 환자는 늑간근과 횡격막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양쪽 횡격막을 수출 할 때는 횡격막을 낮추고 내장은 복벽을 향해 밀게 된다. 호흡근 마비로 폐활량이 정상의 60%이하가 되면 양압장치의 압력, 속도, 용적을 높게 맞추어 놓고 하루2번 수동적으로 3~5회 폐를 팽창시키는 것이 도움이 된다. 마비되지 않았으나 부동인 환자는 의식적으로 힘차게 여러 차례 기침하도록 해야 한다.
6.적절한 영양과 수분섭취
열량은 침상안정중 환자의 대사요구에 맞아야 한다. 음식은 균형 잡히고 장의 운동과 배변을 촉진하기 위해 섬유질의 함량이 높아야 한다. 변비와 분변 매복의 예방을 위해 대변 연하제가 유용하다. 고혈압 환자는 혈압조절을 위해 고혈압 치료제효과, 특히 Thiazide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도록 Na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7.피부위생
적절한 팽만상태를 유지하고 감염을 피하기 위해서는 피부를 청결히 해야 한다. 와위에서는 기대지는 쪽의 피부가 항상 가압이 되기 때문에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욕창이 용이하게 발생하므로 체위를 주기적으로, 매2~4시간 마다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현문사 재활간호 소희영,김봉옥 편저
고려의학 성인간호학 RN의 모임
수문사 암환자 한윤복 외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5.07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