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젝트 개요
2. IPv6 개요
3. 국외 현황 및 전망
⌾ 미 국
⌾ 일 본
⌾ 유 럽
4. 국내 현황 및 전망
4-1. IPv6로의 전환단계
4-2. IPv6 보급 촉진 계획
4-3 IPv6 기반 디지털 홈서비스 개발/보급
4-4 IPv6 전략협의회 구성/운영
5. 개발 및 연구 내용
2. IPv6 개요
3. 국외 현황 및 전망
⌾ 미 국
⌾ 일 본
⌾ 유 럽
4. 국내 현황 및 전망
4-1. IPv6로의 전환단계
4-2. IPv6 보급 촉진 계획
4-3 IPv6 기반 디지털 홈서비스 개발/보급
4-4 IPv6 전략협의회 구성/운영
5. 개발 및 연구 내용
본문내용
것이다. IPng는 이상과 같이 다양한 시장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다. 기존의 컴퓨터 시장이 외의 시장은 IPng가 자신들이 요구하는 기능을 만족시키지 못할경우 그들에게 적합 한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IPng는 충분히 다른 시장의 요구사항도 고려하여 모든 장치의 공통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사용될 수 있도록 추진하였다.
한편 인터넷의 확장이외에 IPng 개발에 고려되는 요소는 기존의 version 4의 IP에 서 IPv6로의 이전에 관한 것이다. 이전에 있어서 요구되는 사항은 점진적으로 교체 및 업그레이드가 될 수 있도록 충분한 융통성이 보장되어야하는 것과 기존의 IPv4 호스트와의 연동성이다. IPv6로 이전하는데 이미 구축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큰 영향 을 주며 어려운 과정을 거쳐야한다면 IPv6로의 이전은 확산되기 어려울 것이다. 이전과 IPv6와 IPv4가 공존하는 시간은 상당히 오래 지속될 것이며 새로운 판의 IP가 새로 개발될 때까지 계속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도 일반 운영 체제가 그렇듯이 IPv6는 IPv4상의 각종 응용프로그램이 호환될 수 있어야 한다. 단순히 새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새로운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없으므로 IPng는 이전시의 융통성과 호환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IPng 프로토콜은 많은 IETF 제안서와 워킹그룹의 활동으로부터 개발되가고 있는 것으로 약 3년간에 걸친 작업의 결과이다.
1992년말까지 IPng로서 CNAT, IP Encaps, Nimrod, Simple CLNP 등이 제안되 었다.
1992년 12월에 추가로 PIP (Pinternet Protocol) , SIP (Simple Internet Protocol) , 및 TP/IX 등이 발표되었다.
1992년 봄에 이전의 Simple CLNP는 TUBA (TCP and UDP with Bigger Addresses) 로 IP Encaps는 IPAE (IP Address Encapsulation) 으로 수정되었다.
1993년 가을에는 SIP 이름으로 IPAE 와 SIP가 연합되었으며 이 그룹은 이후 PIP와도 함께 결합되어 SIPP(Simple Internet Protocol Plus)로 명명되었다. 동 시에 TP/IX 워킹그룹은 이름을
CATNIP(Common Architecture for the Internet)로 개칭하였다.
IPng를 위한 권고안이 1994년 7월에 만들어 지게되었고 이 권고안에 따라 SIPP를 기본으로 IPv6가 개발되게 되었다.
IPv6는 IPv4로부터 진화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기존의 IPv4의 기능중 이용이 되는 것은 계속 이용하고 이용되지 않는것은 제거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IPv4에 비해 구별되는 IPv6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 확장된 어드레싱 능력 : IPv6는 더 많은 단계의 어드레스 계층구조와 다수의 addressable 노드,
그리고 간단해진 어드레스의 autoconfiguration을 제공하기 위해 IP 어드레스의 크기가 32비트에
서 128비트로 증가되었다. multicasting routing의 scalability는 멀티캐스트 어드레스에 \"scope\"
필드를 추가함으로서 향상되었다. \"anycast address\"라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어드레스를 정의하
며, 노드들의 그룹중 어떤 노드에게 패 킷을 보내는데 사용된다.
☞ 헤더 형식의 단순화 : 어떤 IPv4 헤더 필드는 패킷을 처리하는 일반적인 경우의 처리 비용을 줄이고
IPv6 헤더의 대역폭 비용을 제한하기 위해 없어지거나 옵션화되었다.
☞ 향상된 확장과 옵션 제공 : IP 헤더 옵션이 인코딩되어지는 방법의 변화는 좀더 효율적인 포워딩,
옵션 길이의 엄격한 제한을 덜어주고, 미래에 새로운 옵션을 소개하기 위한 뛰어난 유동성을 허락한
다.
☞ Flow Labeling 능력 : 송신측이 non-default quality 서비스나 리얼타임 서비스 같은 특별한 처리를
요구할 경우 특별한 트랙픽 \"flows\"에 속하는 패킷의 라벨링이 가능한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었다. ☞ Authentication과 Privacy 능력 : authentication, 데이터의 무결성, (선택적인)데이터의 비밀성을
제공하기 위한 확장이 IPv6를 위해 지정되었다.
3. 국외 현황 및 전망
미 국
IPv4 주소의 70%를 점유하는 미국은 기존 인터넷망인 IPv4를 통해 거대한 부를 창출하고 있고, IPv4주소 부족이 다른 나
한편 인터넷의 확장이외에 IPng 개발에 고려되는 요소는 기존의 version 4의 IP에 서 IPv6로의 이전에 관한 것이다. 이전에 있어서 요구되는 사항은 점진적으로 교체 및 업그레이드가 될 수 있도록 충분한 융통성이 보장되어야하는 것과 기존의 IPv4 호스트와의 연동성이다. IPv6로 이전하는데 이미 구축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큰 영향 을 주며 어려운 과정을 거쳐야한다면 IPv6로의 이전은 확산되기 어려울 것이다. 이전과 IPv6와 IPv4가 공존하는 시간은 상당히 오래 지속될 것이며 새로운 판의 IP가 새로 개발될 때까지 계속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도 일반 운영 체제가 그렇듯이 IPv6는 IPv4상의 각종 응용프로그램이 호환될 수 있어야 한다. 단순히 새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새로운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없으므로 IPng는 이전시의 융통성과 호환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IPng 프로토콜은 많은 IETF 제안서와 워킹그룹의 활동으로부터 개발되가고 있는 것으로 약 3년간에 걸친 작업의 결과이다.
1992년말까지 IPng로서 CNAT, IP Encaps, Nimrod, Simple CLNP 등이 제안되 었다.
1992년 12월에 추가로 PIP (Pinternet Protocol) , SIP (Simple Internet Protocol) , 및 TP/IX 등이 발표되었다.
1992년 봄에 이전의 Simple CLNP는 TUBA (TCP and UDP with Bigger Addresses) 로 IP Encaps는 IPAE (IP Address Encapsulation) 으로 수정되었다.
1993년 가을에는 SIP 이름으로 IPAE 와 SIP가 연합되었으며 이 그룹은 이후 PIP와도 함께 결합되어 SIPP(Simple Internet Protocol Plus)로 명명되었다. 동 시에 TP/IX 워킹그룹은 이름을
CATNIP(Common Architecture for the Internet)로 개칭하였다.
IPng를 위한 권고안이 1994년 7월에 만들어 지게되었고 이 권고안에 따라 SIPP를 기본으로 IPv6가 개발되게 되었다.
IPv6는 IPv4로부터 진화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기존의 IPv4의 기능중 이용이 되는 것은 계속 이용하고 이용되지 않는것은 제거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IPv4에 비해 구별되는 IPv6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 확장된 어드레싱 능력 : IPv6는 더 많은 단계의 어드레스 계층구조와 다수의 addressable 노드,
그리고 간단해진 어드레스의 autoconfiguration을 제공하기 위해 IP 어드레스의 크기가 32비트에
서 128비트로 증가되었다. multicasting routing의 scalability는 멀티캐스트 어드레스에 \"scope\"
필드를 추가함으로서 향상되었다. \"anycast address\"라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어드레스를 정의하
며, 노드들의 그룹중 어떤 노드에게 패 킷을 보내는데 사용된다.
☞ 헤더 형식의 단순화 : 어떤 IPv4 헤더 필드는 패킷을 처리하는 일반적인 경우의 처리 비용을 줄이고
IPv6 헤더의 대역폭 비용을 제한하기 위해 없어지거나 옵션화되었다.
☞ 향상된 확장과 옵션 제공 : IP 헤더 옵션이 인코딩되어지는 방법의 변화는 좀더 효율적인 포워딩,
옵션 길이의 엄격한 제한을 덜어주고, 미래에 새로운 옵션을 소개하기 위한 뛰어난 유동성을 허락한
다.
☞ Flow Labeling 능력 : 송신측이 non-default quality 서비스나 리얼타임 서비스 같은 특별한 처리를
요구할 경우 특별한 트랙픽 \"flows\"에 속하는 패킷의 라벨링이 가능한 새로운 능력이 추가되었다. ☞ Authentication과 Privacy 능력 : authentication, 데이터의 무결성, (선택적인)데이터의 비밀성을
제공하기 위한 확장이 IPv6를 위해 지정되었다.
3. 국외 현황 및 전망
미 국
IPv4 주소의 70%를 점유하는 미국은 기존 인터넷망인 IPv4를 통해 거대한 부를 창출하고 있고, IPv4주소 부족이 다른 나
키워드
추천자료
전자민주주의 구현방안-전자투표를 중심으로-
[자연과학] 전자상거래의 정의 유형 핵심기술 발전전망에 대하여
학습 관리 시스템(LMS)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일본어 학습 효과에 관한 분석
암호학과 정수론
사이버 대학의 개념과 현실 분석, 고찰 [발표자료]
세계 각국의 전자정부 추진과정 및 동향에 관한 보고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의 시장규모와 구축모형 분석 및 패러다임적...
[사이버 교육][인터넷 교육]사이버 교육(인터넷 교육)의 현황과 전망 및 한계점 분석(사이버 ...
[사회과학] 사이버문화
[인터넷] 인터넷의 개념과 구조, TCP-IP 프로토콜
SK C&C 기업분석
인터넷 사이버교육, 인터넷 사이버교회, 인터넷 사이버언어, 인터넷 사이버공동체, 인터넷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