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ꊱ 성장거점개발전략의 의의
ꊲ 이론적 배경
1) Boudevill(1968)의 지역화(Regionalization)
2) 순환적, 누적적(trickling down) 성장이론(Gunner Myrdal ;
3) Albert O. Hirschman: The strategy of Economic Development, 1958
4) 중심-주변지역모형(John Friedman, `Regional Development`, 1966)
ꊳ 기본개념
1) 추진력 있는 선도산업
2) 성국(成局)효과와 집적(集積)경제
3) 파급효과
ꊴ 성장거점의 필요성
1) 한정된 자원하의 지속적인 개발추진
2) 투자의 효율성 제고 및 지역의 균형발전 유도
3) 대도시의 인구집중 완화
ꊵ 성장거점의 한계
1) 제약조건
2) 경험적인 측면의 한계
3) 성장거점전략에 대한 반론
ꊶ 성장거점 도시의 선택기준과 활성화 방안
1) 선택기준
2) 활성화 방안
ꊷ 성장거점 전략의 평가
1) 기여점
2) 문제점
ꊸ 조사를 마치고
ꊲ 이론적 배경
1) Boudevill(1968)의 지역화(Regionalization)
2) 순환적, 누적적(trickling down) 성장이론(Gunner Myrdal ;
3) Albert O. Hirschman: The strategy of Economic Development, 1958
4) 중심-주변지역모형(John Friedman, `Regional Development`, 1966)
ꊳ 기본개념
1) 추진력 있는 선도산업
2) 성국(成局)효과와 집적(集積)경제
3) 파급효과
ꊴ 성장거점의 필요성
1) 한정된 자원하의 지속적인 개발추진
2) 투자의 효율성 제고 및 지역의 균형발전 유도
3) 대도시의 인구집중 완화
ꊵ 성장거점의 한계
1) 제약조건
2) 경험적인 측면의 한계
3) 성장거점전략에 대한 반론
ꊶ 성장거점 도시의 선택기준과 활성화 방안
1) 선택기준
2) 활성화 방안
ꊷ 성장거점 전략의 평가
1) 기여점
2) 문제점
ꊸ 조사를 마치고
본문내용
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다. 그외 성장거점 으로부터의 파급효과 는 낙후지역의 문제를 장기적으로는 해결할수 있다는 희망을 제공한다.
2. 문 제 점
첫째, 성장거점의 성장이 주로 추진력이 있는 주도적인 산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지역의 여타 부문과의 연계성이 높지 못하면 파급효과는 그렇게 높지 못할 수가 있다.
둘째, 추진력이 있는 주도적 산업이 성장거점도시에 입지하게 되면 투자의 효율성이 높은 집적(agglomeration)과 정의 외부성(positive externalities)을 가져오는 것으로 예측 하고 있으나, 그것이 어느 정도인지 또는 성장이 어떤 식으로 파급되어 나가는지에 대하여 명확한 이론적 근거는 없다.
셋째, 성장거점도시에서 발생하는 성극화 현상이 지역외부, 즉 배후지가 아닌 다른 지역의 새로운 기업들이 성장거점도시로, 유입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지역 내부의 기존 중소기업들이 성장거점도 서로 역류됨으로써 나타날 수도 있다.
넷째, 이 전략은 1960년대 이후 여러 나라에서 여러 형태로 시행되었지만, 아직 임상실험중 의 형태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성극효과, 역류효과 그리고 파급효과 등 이어느 정도인지 제대로 밝혀진 바가 없다. 알론소(Alonso, 1966:8)의 지적처럼 도 시의 규모는 생산성과 연관해서 고려되어야만 하는데, 문재는 도시규모별 생산성에 대하여 믿을 만한 지식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다섯째, 대부분의 개발도상국가는 역사적으로 제국주의적인 식민지배의 경험을 갖고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특정 성장거점도시에 대한 집중적인 부자는 배후지에 성장의 여럭 이 파급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의 계층구조를 따라서 자국 내 대도시 그리고 궁극적 으로 선진 대도시 자본에 성장력이 흡수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Slater,1975)
조사를 마치고
성장거점은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뿐만 아니라 대도시의 인구집중을 완 화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가 어느 정도 반전하게 되면 성장거점 과 같은 특정 장소에 한정된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것은 사회 정치적으로 받아 들여지기 어렵게 될 것으로 보인다. 성장거점전략의 중요한 이론적 근거가 성장의 궁 극적인 파급효과인데 실제 그 파급효과가 어느정도인지 언제 도래할 것인지에 대한 객 관적인 증거가 없다. 뿐만 아니라 나머지 지역 사람들에게 한정된 지원을 불균형적으로 배분하는 것에 대한 정치적 지지를 받기가 점점 더 어렵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 서 국토의 종합적 개발을 위한 다른 방식의 개발방법이 많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박종화, 지역경제론, 박영사,1997.
2. http://web.cnei.or.kr/jries/web/go/soc/geo/dictionary/html/1-007.htm
3. http://bbsl.gowww.net/bbs.cgi?db=nine2601&mode=read&num=14&page=1&ftype=6&fval=&backdepth=1
2. 문 제 점
첫째, 성장거점의 성장이 주로 추진력이 있는 주도적인 산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지역의 여타 부문과의 연계성이 높지 못하면 파급효과는 그렇게 높지 못할 수가 있다.
둘째, 추진력이 있는 주도적 산업이 성장거점도시에 입지하게 되면 투자의 효율성이 높은 집적(agglomeration)과 정의 외부성(positive externalities)을 가져오는 것으로 예측 하고 있으나, 그것이 어느 정도인지 또는 성장이 어떤 식으로 파급되어 나가는지에 대하여 명확한 이론적 근거는 없다.
셋째, 성장거점도시에서 발생하는 성극화 현상이 지역외부, 즉 배후지가 아닌 다른 지역의 새로운 기업들이 성장거점도시로, 유입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지역 내부의 기존 중소기업들이 성장거점도 서로 역류됨으로써 나타날 수도 있다.
넷째, 이 전략은 1960년대 이후 여러 나라에서 여러 형태로 시행되었지만, 아직 임상실험중 의 형태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성극효과, 역류효과 그리고 파급효과 등 이어느 정도인지 제대로 밝혀진 바가 없다. 알론소(Alonso, 1966:8)의 지적처럼 도 시의 규모는 생산성과 연관해서 고려되어야만 하는데, 문재는 도시규모별 생산성에 대하여 믿을 만한 지식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다섯째, 대부분의 개발도상국가는 역사적으로 제국주의적인 식민지배의 경험을 갖고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특정 성장거점도시에 대한 집중적인 부자는 배후지에 성장의 여럭 이 파급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의 계층구조를 따라서 자국 내 대도시 그리고 궁극적 으로 선진 대도시 자본에 성장력이 흡수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Slater,1975)
조사를 마치고
성장거점은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뿐만 아니라 대도시의 인구집중을 완 화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가 어느 정도 반전하게 되면 성장거점 과 같은 특정 장소에 한정된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것은 사회 정치적으로 받아 들여지기 어렵게 될 것으로 보인다. 성장거점전략의 중요한 이론적 근거가 성장의 궁 극적인 파급효과인데 실제 그 파급효과가 어느정도인지 언제 도래할 것인지에 대한 객 관적인 증거가 없다. 뿐만 아니라 나머지 지역 사람들에게 한정된 지원을 불균형적으로 배분하는 것에 대한 정치적 지지를 받기가 점점 더 어렵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 서 국토의 종합적 개발을 위한 다른 방식의 개발방법이 많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박종화, 지역경제론, 박영사,1997.
2. http://web.cnei.or.kr/jries/web/go/soc/geo/dictionary/html/1-007.htm
3. http://bbsl.gowww.net/bbs.cgi?db=nine2601&mode=read&num=14&page=1&ftype=6&fval=&backdepth=1
추천자료
재정분권화와 지역경제성장간의 인과관계
[지역개발]국토개발과 SOC건설
[박정희][새마을운동][박정희리더십][박정희 평가][박정희대통령]박정희의 경제개발, 새마을...
[사회학개론]빈곤의 갈등주의,기능주의관점에 의한 정의및 이론 분석 과 빈곤 지역 사례 분석
사회문제 잼점, 환경과 위험(성장과개발,쓰나미,지구온난화,유전자변형식품) 보고서
사화문제의 쟁점이 된 환경 그리고 성장과 개발, 장래 전망(쓰나미,지구온난화,유전자변형식품).
[중국][중국경제][중국경제발전][중국경제개혁][중국경제성장][중국경제개발]중국경제발전의 ...
[동아시아경제][동아시아]동아시아경제의 특징, 동아시아경제의 성장요인, 동아시아경제의 부...
[리조트형 실버타운 개발]고령화사회와 관광산업의 대응, 리조트 컨셉과 실버타운, 리조트형 ...
관광산업(관광업)의 개념, 관광산업(관광업)의 효용, 관광산업(관광업)의 산업성장률, 관광산...
[교육사회학] 사회화를 담당하는 사회집단으로서 가족, 교우 집단, 학교, 지역사회 중 한 ...
교육의 사회학적 기초(문화와 교육, 사회와 교육, 사회집단과 교육, 지역사회와 교육)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제를 분석하고 욕구를 사정하는 단계...
청소년의 성장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가정, 학교, 지역사회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