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2. 우리나라 근대 시장의 역사
3. 백화점의 발달
4. 백화점이 우리의 생활에 끼친 영향
5. 나 오 며
* 참고자료
2. 우리나라 근대 시장의 역사
3. 백화점의 발달
4. 백화점이 우리의 생활에 끼친 영향
5. 나 오 며
* 참고자료
본문내용
지도 않았고, 그들이 외세의 압력에 대항할 수 있는 권력을 주지도 않았다. 이렇듯 내외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우리나라는 자본가계층이 주가 되는 것이 아닌 소비자계층이 주가 되는 방법으로 자본주의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자본주의 정신에 입각한 자본주의가 아니라 막스베버가 말한 천민자본주의가 자리잡지 않았나 생각한다. 물론 이렇게 된 원인은 백화점만이 아니다. 일제가 우리나라 상권을 장악하기 위해 시장을 자기네들이 유리하도록 규칙을 정하고 운영권을 일본인에게 주는 등의 행동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천민자본주의란 물질이나 인간의 이기심에만 집착하여 공정한 자유 경쟁, 개인의 창의성 발휘, 경제적 혁신, 일에 대한 헌신적 직업 윤리를 상실해 버린 타락된 자본주의로, 그 결과 경제력의 과도한 집중과 불공정한 경제 행위, 반복지의 과소비 문화가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현실을 볼 때 우리나라의 자본주의는 천민자본주의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백화점에서 천민자본주의의 흔적을 찾아보자. 백화점은 오늘날 상거래의 중심에 있다. 하지만 백화점도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오늘날 백화점이 과소비의 온상이 되고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지나치게 비싼 물건들을 팔면서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소비자를 현혹시킨다. 이점은 과거 미스코시백화점의 주고객이 부유한 일본인 이주자나 친일활동 등을 해서 부를 축적한 부유한 조선인들이었다는 점 때문이 아닐까? 이들의 사치스런 생활이 일반 서민들의 눈에는 부럽게 보였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경제가 발전하고 백화점도 고객층을 일반 서민층까지 확대하였다. 저렴한 물건을 파는 부분이 생기고 바겐세일 등을 통해 좋은 물품을 저렴하게 판매하기도 했다. 하지만 백화점의 한쪽 구석에는 여전히 고급 물품들이 전시된 매장이 있고 이를 보는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소비욕을 부추기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일 것이다. 신용카드의 도입도 과소비를 부추기는 좋은 예이다. 과소비를 부추긴다는 점이 어떤 면에서 나쁠까?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과소비는 부유한 사람은 더욱 부유하게 빈곤한 사람은 더욱 빈곤하게 만드는데 한몫을 한다고 생각한다. 생각해보라. 수입은 없으면서 소비욕 때문에 구매만 많이 하게된다면 어떻게 될지...
백화점이 외국의 유명한 물품을 들여와 우리나라 사람들의 안목을 높였다는 점은 인정할만 하다. 하지만 그로 인해 우리나라의 생산분야는 쇠퇴할 수 밖에 없다. 우리의 처지에 맞지않게 안목이 높아진 소비자들이 과연 외국의 유명상품과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생산한 상품 중 어떤 것을 선택할까? 그리고 그런 풍조는 결국 발전가능성이 많은 중소기업들을 파산시키게 되고 우리나라는 자본국으로서의 위치에서 점점 멀어지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자생적으로 자본주의를 정착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점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백화점이 부정적 기능만을 한 것은 아니다. 여러 가지 상업적인 신문물들을 들여왔고, 많은 새로운 제도들을 실행했다. 그 중에는 백화점이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도 찾아볼 수 있고, 4장에서 알아보았듯이 여러 새로운 상업문화를 발전시킨 것도 들 수 있다. 그리고 백화점에 의해 생성된 상업지식과 새로운 제도들의 시행은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나라의 경제의 튼튼한 밑받침이 되기도 한다. 1990년대에는 유통경제의 합리성 측면에서 종합할인점을 만들기도 하는데 이런 것들은 유통시장의 완전개방 속에서 발달한 외국 유통업체들과의 경쟁력의 갖게 해주었고 이는 결국 백화점에 의해 쌓여진 상업발전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백화점이 우리나라의 자본주의의 역사속에서 어떤 위치에 있었는지, 우리의 생활과는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는 이제 알 수 있다. 둘 다 상당히 부정적인 측면인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부정적이라 해서 다 나쁜 것은 아니다. 물론 많은 부작용이 나타났고 아직도 지속되고 있지만,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고 현대에 들어오면서 자체개발 브랜드의 등장 등 민족자본으로서의 역할도 잘 수행하고 있으며, 백화점 발달에 의해 상업분야도 많은 발전을 이룩하고 있다. 처음 백화점이 생겼을 때 근대를 보여주는, 그리고 사치문화를 보여주는 어찌보면 서민들에게는 동경의 대상이었던 것이 오늘날에는 더욱 친숙하게 서민들에게 다가서고 있으며 대형할인점, 전자상거래 분야에서도 많은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하지만 한가지 집고 넘어갈 것은 아직도 우리나라의 자본주의체제에는 자본주의 정신이 상당부분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천민자본주의적 성향을 띄는 것이고...그런 이유로 얼마전에는 IMF라는 큰 시련을 맞기도 했다.
아직은 미흡한 그러나 어쩔수 없는 결과인 오늘날의 우리현실...하지만 어두운 출발점이었고 지금까지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우리나라 상업의 한 기둥이 된 백화점을 볼 때 우리 경제의 앞날이 그리 어둡지만은 않다고 생각한다.
6. Reference
강만길, 한국상업의 역사,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1974년, 51~76p, 107~131p
정승모, 시장으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 웅진 닷컴, 1992년, 18~23p, 50~54p, 58~60p, 85p
김대길, 시장을 열지 못하게 하라, 가람기획, 2000년, 43~73p, 76~87p.
모리스 H.돕, 자본주의 발전연구, 동녘, 1986년, 7~42p
강만길, 한국 자본주의의 역사, 역사비평사, 2000년, 13~18p
안석남, 백화점에 대한 소비자 의식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논문),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http://user.chollian.net/~soe3/ch1/4_1_1.htm
http://education.chonnam.ac.kr/~kimsi/study/국가와%20윤리/3-2-3.htm
http://home.cein.or.kr/~kupkika/3-2-4.htm
http://museum.shinsegae.com
http://www.lotteshopping.com/intro/intro_b.jsp
http://www.midopa.co.kr/
http://www.vivarebates.co.kr/vivarebates/p_card_story01.htm
천민자본주의란 물질이나 인간의 이기심에만 집착하여 공정한 자유 경쟁, 개인의 창의성 발휘, 경제적 혁신, 일에 대한 헌신적 직업 윤리를 상실해 버린 타락된 자본주의로, 그 결과 경제력의 과도한 집중과 불공정한 경제 행위, 반복지의 과소비 문화가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현실을 볼 때 우리나라의 자본주의는 천민자본주의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백화점에서 천민자본주의의 흔적을 찾아보자. 백화점은 오늘날 상거래의 중심에 있다. 하지만 백화점도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오늘날 백화점이 과소비의 온상이 되고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지나치게 비싼 물건들을 팔면서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소비자를 현혹시킨다. 이점은 과거 미스코시백화점의 주고객이 부유한 일본인 이주자나 친일활동 등을 해서 부를 축적한 부유한 조선인들이었다는 점 때문이 아닐까? 이들의 사치스런 생활이 일반 서민들의 눈에는 부럽게 보였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경제가 발전하고 백화점도 고객층을 일반 서민층까지 확대하였다. 저렴한 물건을 파는 부분이 생기고 바겐세일 등을 통해 좋은 물품을 저렴하게 판매하기도 했다. 하지만 백화점의 한쪽 구석에는 여전히 고급 물품들이 전시된 매장이 있고 이를 보는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소비욕을 부추기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일 것이다. 신용카드의 도입도 과소비를 부추기는 좋은 예이다. 과소비를 부추긴다는 점이 어떤 면에서 나쁠까?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과소비는 부유한 사람은 더욱 부유하게 빈곤한 사람은 더욱 빈곤하게 만드는데 한몫을 한다고 생각한다. 생각해보라. 수입은 없으면서 소비욕 때문에 구매만 많이 하게된다면 어떻게 될지...
백화점이 외국의 유명한 물품을 들여와 우리나라 사람들의 안목을 높였다는 점은 인정할만 하다. 하지만 그로 인해 우리나라의 생산분야는 쇠퇴할 수 밖에 없다. 우리의 처지에 맞지않게 안목이 높아진 소비자들이 과연 외국의 유명상품과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생산한 상품 중 어떤 것을 선택할까? 그리고 그런 풍조는 결국 발전가능성이 많은 중소기업들을 파산시키게 되고 우리나라는 자본국으로서의 위치에서 점점 멀어지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자생적으로 자본주의를 정착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점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백화점이 부정적 기능만을 한 것은 아니다. 여러 가지 상업적인 신문물들을 들여왔고, 많은 새로운 제도들을 실행했다. 그 중에는 백화점이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도 찾아볼 수 있고, 4장에서 알아보았듯이 여러 새로운 상업문화를 발전시킨 것도 들 수 있다. 그리고 백화점에 의해 생성된 상업지식과 새로운 제도들의 시행은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나라의 경제의 튼튼한 밑받침이 되기도 한다. 1990년대에는 유통경제의 합리성 측면에서 종합할인점을 만들기도 하는데 이런 것들은 유통시장의 완전개방 속에서 발달한 외국 유통업체들과의 경쟁력의 갖게 해주었고 이는 결국 백화점에 의해 쌓여진 상업발전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백화점이 우리나라의 자본주의의 역사속에서 어떤 위치에 있었는지, 우리의 생활과는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는 이제 알 수 있다. 둘 다 상당히 부정적인 측면인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부정적이라 해서 다 나쁜 것은 아니다. 물론 많은 부작용이 나타났고 아직도 지속되고 있지만,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고 현대에 들어오면서 자체개발 브랜드의 등장 등 민족자본으로서의 역할도 잘 수행하고 있으며, 백화점 발달에 의해 상업분야도 많은 발전을 이룩하고 있다. 처음 백화점이 생겼을 때 근대를 보여주는, 그리고 사치문화를 보여주는 어찌보면 서민들에게는 동경의 대상이었던 것이 오늘날에는 더욱 친숙하게 서민들에게 다가서고 있으며 대형할인점, 전자상거래 분야에서도 많은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하지만 한가지 집고 넘어갈 것은 아직도 우리나라의 자본주의체제에는 자본주의 정신이 상당부분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천민자본주의적 성향을 띄는 것이고...그런 이유로 얼마전에는 IMF라는 큰 시련을 맞기도 했다.
아직은 미흡한 그러나 어쩔수 없는 결과인 오늘날의 우리현실...하지만 어두운 출발점이었고 지금까지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우리나라 상업의 한 기둥이 된 백화점을 볼 때 우리 경제의 앞날이 그리 어둡지만은 않다고 생각한다.
6. Reference
강만길, 한국상업의 역사,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1974년, 51~76p, 107~131p
정승모, 시장으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 웅진 닷컴, 1992년, 18~23p, 50~54p, 58~60p, 85p
김대길, 시장을 열지 못하게 하라, 가람기획, 2000년, 43~73p, 76~87p.
모리스 H.돕, 자본주의 발전연구, 동녘, 1986년, 7~42p
강만길, 한국 자본주의의 역사, 역사비평사, 2000년, 13~18p
안석남, 백화점에 대한 소비자 의식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논문),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http://user.chollian.net/~soe3/ch1/4_1_1.htm
http://education.chonnam.ac.kr/~kimsi/study/국가와%20윤리/3-2-3.htm
http://home.cein.or.kr/~kupkika/3-2-4.htm
http://museum.shinsegae.com
http://www.lotteshopping.com/intro/intro_b.jsp
http://www.midopa.co.kr/
http://www.vivarebates.co.kr/vivarebates/p_card_story01.htm
추천자료
영국사회자본주의의 태동과정
이매뉴얼 윌러스틴의 역사적 자본주의 자본주의 문명을 읽고
한국 경제에 대한 분석 - 한국사회 재구조화와 글로벌 자본주의-민영화,자본주의 등에 관한 고찰
민주주의적자본주의와 그 이후
세계자본주의 위기
한국자본주의의 특징
자본주의의 문화적 모순 - 문화와 사회변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비교
유럽식 자본주의와 미국식 자본주의에 대해
자본주의 원리를 통해 본 게임 '그라나다 에스파다'
자본주의의 특성
[가부장제][불평등구조][여성지위][자본주의][가부장제의 이데올로기]가부장제의 의미, 가부...
[일본, 일본 제국주의, 일본 군국주의, 일본 신냉전주의, 일본 민족주의, 일본 자본주의, 친...
[일본경제][자본주의][버블경제][엔화]일본경제와 자본주의, 일본경제와 버블경제, 일본경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