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고려왕조의 회유정책, 녹읍과 식읍제도와 실시
[2] 사전 및 공전론
[3] 고려후반기 봉건적 토지제도의 문란
3. 결 론
2. 본 론
[1] 고려왕조의 회유정책, 녹읍과 식읍제도와 실시
[2] 사전 및 공전론
[3] 고려후반기 봉건적 토지제도의 문란
3. 결 론
본문내용
쟁과 삼별초군의 항전, 14세기 서북지방인민을 비롯한 전국각지 인민투쟁은 고려의 역사를 빛낸 대표적 반봉건적, 반침략적 투쟁이 였다. 물론 봉건시대의 막을 내리고 민중들이 원하는 이상세계는 만들지 못했다. 그러나 투쟁하며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려한 농민들의 의미는 다시 생각해 보아야겠다.
요약
고대-통일신라
식읍(조세+공물+노동력 수조권있음)과 사전제도=사적소유의 인정
녹읍(읍단위로 관료들에게 지급, 조세권만 인정)
녹봉(국가에서 조세를 거둬 일정양을 지급)
정전(16세 이상의 정남 정녀에게 경작토지를 지급)
고려
전시과(토지와 연료지급)를 바탕으로 한 공*사전(관료나 국가나 토지세의 수조권만 있음)+전주전객제 형성(관료가 전주, 실질 토지소유자 농민이 전객, 전주에게 토지세만 지급, 국가에게 공물과 노동력을 제공할 의무있음)
↓↓
무신정권 등장 국가통제력 약화, 외적의 침입 잦음, 권문세족등장
↓↓
권문세족의 횡포절정(식읍-사패전둔갑), 전객의 땅에 수많은 전주가 등장, 농민생활파탄과 투쟁
↓↓
권문세족의 대농장형성, 곳한(예속농민)등장, 녹과전실시(일부 수조권지로)
↓↓
신흥사대부의 등장, 양전사업 및 과전법실시, 권문세족 몰락
↓↓
조선의 등장
요약
고대-통일신라
식읍(조세+공물+노동력 수조권있음)과 사전제도=사적소유의 인정
녹읍(읍단위로 관료들에게 지급, 조세권만 인정)
녹봉(국가에서 조세를 거둬 일정양을 지급)
정전(16세 이상의 정남 정녀에게 경작토지를 지급)
고려
전시과(토지와 연료지급)를 바탕으로 한 공*사전(관료나 국가나 토지세의 수조권만 있음)+전주전객제 형성(관료가 전주, 실질 토지소유자 농민이 전객, 전주에게 토지세만 지급, 국가에게 공물과 노동력을 제공할 의무있음)
↓↓
무신정권 등장 국가통제력 약화, 외적의 침입 잦음, 권문세족등장
↓↓
권문세족의 횡포절정(식읍-사패전둔갑), 전객의 땅에 수많은 전주가 등장, 농민생활파탄과 투쟁
↓↓
권문세족의 대농장형성, 곳한(예속농민)등장, 녹과전실시(일부 수조권지로)
↓↓
신흥사대부의 등장, 양전사업 및 과전법실시, 권문세족 몰락
↓↓
조선의 등장
추천자료
북학한-북한의 토지개혁과 토지소유권의 변천과정
토지정책론
한국정치제도의 특징
[토지경제론]토지가 가지고 있는 특성에 대해서
조선시대 인구와 토지
남북한 토지문제의 중요성 및 통일후 북한토지문제의 해결방안
토지공사와 주택공사 사례로 본 공기업
중국 제도사
통일 후 북한지역에 적용할 지적제도 모형 연구
[이득세][자본이득세][최적 자본이득세][부당이득세][토지초과이득세][토지초과이득세법][소...
[토지세][조선시대토지세][한국토지세][미국 캘리포니아토지세][외국토지세][조선시대][한국]...
[토지가치세][토지법][환수][투기][토지][토지가치][토지세제][세제]토지가치세와 하나님, 토...
[토지권, 토지권 역사, 토지권 자유, 토지권과 토지재산권, 토지권과 토지소유권, 토지재산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