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ꊱ 들어가며
ꊲ 본론
1. 푸코의 권력이론
2.『감시와 처벌』에서 보여주는 지식과 권력과의 관계
3. 감옥을 중심으로 살펴 본 지식과 권력관계
4. 푸코에 대한 비판
ꊳ 나가며
1. 푸코가 말하는 지식과 권력의 연계성
2.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작용하는 권력
ꊲ 본론
1. 푸코의 권력이론
2.『감시와 처벌』에서 보여주는 지식과 권력과의 관계
3. 감옥을 중심으로 살펴 본 지식과 권력관계
4. 푸코에 대한 비판
ꊳ 나가며
1. 푸코가 말하는 지식과 권력의 연계성
2.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작용하는 권력
본문내용
이 하나의 '높은' 중심에 의해서가 아니라, 보다 '낮은' 지점과 주변부로부터, 지역적이고 국부적인 형식으로 광범하게 형성되어 모세 혈관처럼 사회에 퍼져 있다고 보았다. 푸코는 이러한 규율적 권력이 작용하는 다양한 장치를 지적했다. 먼저 권력은 개인들을 감시한다. 이를 위해 개인들은 권력이 잘 감시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는 이것을 위계 질서적 관찰이라고 했다. 이것은 일정한 위계 질서 아래 감시를 통해 생산과 통제를 통합하게 위한 것이다. 이것은 개인들을 감시 가능한 공간에 묶어두고, 그들을 잘 볼 수 있게 만든다. 이를테면 학교의 교실은 교사가 학생들을 모두 잘 관찰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교단에 있는 교사는 학생 하나하나를 잘 볼 수 있다. 이처럼 권력의 감시하는 '눈'은 아무것도 놓치지 않는다. 이 모델은 군대를 비롯해서 대규모 작업장이나 공장, 감옥, 학교, 노동자 기숙사 등에서 감시를 통해 통제하고, 효율성을 높이며, 그러한 공간적 구조를 통해 질서를 만든다.
이렇게 감시하는 권력은 '다양하고 자립적이며 익명의 권력'으로 조립된 그물망이다. 이 권력은 피라미드 형태의 조직의 상부나 특정한 중심,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어떠한 그늘진 곳도 남겨두지 않는다. 그리고 폭력에 호소하지 않고 계산된 시선의 끊임없는 작용으로 기능한다. 그런데 이것이 기능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이 필요하다. 이것은 정상과 일탈을 구분하는 기준을 마련하여 일탈을 규제한다. 공장, 학교, 군대 등에서 미시적 형벌 제도는 다양한 일탈을 처벌한다. 즉 예를 들어 시간에 관한 일탈(지각, 결석, 업무 중단), 행위에 관한 일탈(부주의, 태만), 태도에 관한 일탈(무례, 반항), 언어에 관한 일탈(수다, 건방짐), 신체에 관한 일탈(버릇없는 자세, 적절치 않은 동작, 불결함), 성에 관한 일탈(불순, 음탕) 등을 처벌한다. 그래서 일상 행위의 가장 미세한 측면까지 문제 삼는다. 이러한 정상적인 질서에 적응하지 않거나 반항하는 자들은 규율의 감시, 처벌, 교정의 대상이다. 그리고 유의할 것은 이러한 기준이 선악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는 점이다. 선악은 권력이 제시한 기준에 들어맞느냐 그렇지 않느냐 하는 것을 보편적인 규범으로 정의한 것일 뿐이다.
푸코는 이와 관련해서 인간 과학이 탄생하고, 그것은 개인들을 인식론적 장 안에 적절하게 배치시킨다고 주장한다. 즉 인간 과학은 개인들을 적절하게 파악하여 권력이 잘 작용할 수 있는 대상으로, 알 수 있는 대상으로 구성한다. 과학적으로 정리되고 분류된 기록은 권력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개인을 길들이고, 유용하게 만드는 데 최대한 이바지한다. 푸코는 권력 관계가 기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담론의 생산과 축적, 유통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즉 권력은 '진리'를 생산함으로써 작용한다. 그는 이런 바탕에서 인간 과학과 권력의 공모 관계를 지적했다. 그는 권력이 지식의 전제 조건이며, 권력과 무관하거나 권력을 목표로 삼지 않는 '순수한' 지식은 있을 수 없다고 보았다. 즉 지식과 권력은 쌍둥이이며, 지식 자체가 권력이고 권력은 지식을 통해 작용한다. 권력에 아부하는 지식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며, 모든 지식이 권력을 숨기고 있다. 지식은 권력을 통해 실현된다.
푸코는 규율 사회의 총체적 감시 체계를 상징하는 예를 든다. 그는 감시를 완벽하게 수행하는 메커니즘의 예로 벤담에 의해 고안된 원형 감옥을 든다. 이것은 한가운데 감시탑이 높이 솟아 있고 그 주위에 원형으로 감방들이 배치되어 있어서, 감시탑에 있는 감시원은 죄수들을 항상 감시할 수 있지만 죄수들은 그 감시원을 볼 수 없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것은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권력'을 형태화한 것이다. 중앙탑에서 감시자의 눈길은 항상 죄수를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실제로 중앙탑의 감시자가 없는 경우에도 죄수들은 감시받는다고 여긴다. 즉 원형 감옥 자체가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주체의 행위를 통제할 수 있다. 수감자는 끊임없이 감시하는 시선을 의식하게 된다. 결국 그는 스스로 권력의 요구에 따르고 규율에 복종한다. 그는 감시의 시선을 '내면화'하여 스스로를 통제한다.
푸코는 이러한 원형 감옥의 구조가 현대 사회에서 일반화되어 있다고 본다. 감시, 규율 메커니즘은 주변적이고 예외적인 개인들만을 대상으로 삼지 않고, 공장, 학교, 병원, 군대로, 즉 사회 전체로 확대되고 침투된다. 과거 권력의 중심이던 군주의 모습은 이제 원형 감옥의 중앙탑으로 대체되고, 개인들은 공개적인 처형장에서 고문당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원형 감옥의 감시 대상이 된다. 그들은 고립되고 개인화되어, 감시받고 통제받고 조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감시는 개인들을 드러내지만 권력을 보이지 않게 한다.
푸코는 권력이 신체에 작용하는 것이 사실은 정신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본다. 개인들은 자기 안에 권력의 감시하는 '눈'을 갖게 된다. 그들은 자신을 감시하는 감옥을 자기 영혼 속에 지니고 있다. 우리 모두는 우리 자신의 강제 노동 수용소를 가지고 있다. 그 수용소는 바로 우리 곁에 있다. 우리의 도시에, 병원에, 감옥에 있고 그것은 바로 여기, 즉 우리 머리 안에 있다. 이러한 주체는 학교, 병원, 교회, 군대, 감옥 등에서 길들여지고 훈련받고 통제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규율은 정상적이고 건강하고 온순하고 능력 있는, 즉 기준에 맞고 쓸모 있는 개인을 창조한다. 이때의 개인은 스스로가 형성한 권력의 기준을 자신의 고유한 기준으로 삼는다. 푸코는 개인들이 이러한 권력에 의해 만들어진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참고문헌
1. 미셸 푸코 외 지음 ,정일준 편역『미셸 푸코의 권력이론』,새물결,1994,
2. 미셸 푸코, 콜린 고든 편, 홍성민 옮김『권력과 지식-미셀 푸코와의 대담』,나남, 1991,
3. 들뢰즈『미셸 푸코 안의 푸코와 감옥-비판』, 런던, 1994
4. 미셸 푸코 ,박홍규 옮김『감시와 처벌 : 감옥의 탄생』,강원대학교 출판 부,1993
5. 정일준『국가를 넘어선 권력과 ‘주체’의 형성』,새길, 1995,
6. 들뢰즈 『푸코』 새길, 1995
7. 장 보들리야르 『푸코 잊기』, 세미오 출판, 1980
이렇게 감시하는 권력은 '다양하고 자립적이며 익명의 권력'으로 조립된 그물망이다. 이 권력은 피라미드 형태의 조직의 상부나 특정한 중심,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어떠한 그늘진 곳도 남겨두지 않는다. 그리고 폭력에 호소하지 않고 계산된 시선의 끊임없는 작용으로 기능한다. 그런데 이것이 기능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이 필요하다. 이것은 정상과 일탈을 구분하는 기준을 마련하여 일탈을 규제한다. 공장, 학교, 군대 등에서 미시적 형벌 제도는 다양한 일탈을 처벌한다. 즉 예를 들어 시간에 관한 일탈(지각, 결석, 업무 중단), 행위에 관한 일탈(부주의, 태만), 태도에 관한 일탈(무례, 반항), 언어에 관한 일탈(수다, 건방짐), 신체에 관한 일탈(버릇없는 자세, 적절치 않은 동작, 불결함), 성에 관한 일탈(불순, 음탕) 등을 처벌한다. 그래서 일상 행위의 가장 미세한 측면까지 문제 삼는다. 이러한 정상적인 질서에 적응하지 않거나 반항하는 자들은 규율의 감시, 처벌, 교정의 대상이다. 그리고 유의할 것은 이러한 기준이 선악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는 점이다. 선악은 권력이 제시한 기준에 들어맞느냐 그렇지 않느냐 하는 것을 보편적인 규범으로 정의한 것일 뿐이다.
푸코는 이와 관련해서 인간 과학이 탄생하고, 그것은 개인들을 인식론적 장 안에 적절하게 배치시킨다고 주장한다. 즉 인간 과학은 개인들을 적절하게 파악하여 권력이 잘 작용할 수 있는 대상으로, 알 수 있는 대상으로 구성한다. 과학적으로 정리되고 분류된 기록은 권력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개인을 길들이고, 유용하게 만드는 데 최대한 이바지한다. 푸코는 권력 관계가 기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담론의 생산과 축적, 유통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즉 권력은 '진리'를 생산함으로써 작용한다. 그는 이런 바탕에서 인간 과학과 권력의 공모 관계를 지적했다. 그는 권력이 지식의 전제 조건이며, 권력과 무관하거나 권력을 목표로 삼지 않는 '순수한' 지식은 있을 수 없다고 보았다. 즉 지식과 권력은 쌍둥이이며, 지식 자체가 권력이고 권력은 지식을 통해 작용한다. 권력에 아부하는 지식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며, 모든 지식이 권력을 숨기고 있다. 지식은 권력을 통해 실현된다.
푸코는 규율 사회의 총체적 감시 체계를 상징하는 예를 든다. 그는 감시를 완벽하게 수행하는 메커니즘의 예로 벤담에 의해 고안된 원형 감옥을 든다. 이것은 한가운데 감시탑이 높이 솟아 있고 그 주위에 원형으로 감방들이 배치되어 있어서, 감시탑에 있는 감시원은 죄수들을 항상 감시할 수 있지만 죄수들은 그 감시원을 볼 수 없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것은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권력'을 형태화한 것이다. 중앙탑에서 감시자의 눈길은 항상 죄수를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실제로 중앙탑의 감시자가 없는 경우에도 죄수들은 감시받는다고 여긴다. 즉 원형 감옥 자체가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주체의 행위를 통제할 수 있다. 수감자는 끊임없이 감시하는 시선을 의식하게 된다. 결국 그는 스스로 권력의 요구에 따르고 규율에 복종한다. 그는 감시의 시선을 '내면화'하여 스스로를 통제한다.
푸코는 이러한 원형 감옥의 구조가 현대 사회에서 일반화되어 있다고 본다. 감시, 규율 메커니즘은 주변적이고 예외적인 개인들만을 대상으로 삼지 않고, 공장, 학교, 병원, 군대로, 즉 사회 전체로 확대되고 침투된다. 과거 권력의 중심이던 군주의 모습은 이제 원형 감옥의 중앙탑으로 대체되고, 개인들은 공개적인 처형장에서 고문당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원형 감옥의 감시 대상이 된다. 그들은 고립되고 개인화되어, 감시받고 통제받고 조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감시는 개인들을 드러내지만 권력을 보이지 않게 한다.
푸코는 권력이 신체에 작용하는 것이 사실은 정신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본다. 개인들은 자기 안에 권력의 감시하는 '눈'을 갖게 된다. 그들은 자신을 감시하는 감옥을 자기 영혼 속에 지니고 있다. 우리 모두는 우리 자신의 강제 노동 수용소를 가지고 있다. 그 수용소는 바로 우리 곁에 있다. 우리의 도시에, 병원에, 감옥에 있고 그것은 바로 여기, 즉 우리 머리 안에 있다. 이러한 주체는 학교, 병원, 교회, 군대, 감옥 등에서 길들여지고 훈련받고 통제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규율은 정상적이고 건강하고 온순하고 능력 있는, 즉 기준에 맞고 쓸모 있는 개인을 창조한다. 이때의 개인은 스스로가 형성한 권력의 기준을 자신의 고유한 기준으로 삼는다. 푸코는 개인들이 이러한 권력에 의해 만들어진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참고문헌
1. 미셸 푸코 외 지음 ,정일준 편역『미셸 푸코의 권력이론』,새물결,1994,
2. 미셸 푸코, 콜린 고든 편, 홍성민 옮김『권력과 지식-미셀 푸코와의 대담』,나남, 1991,
3. 들뢰즈『미셸 푸코 안의 푸코와 감옥-비판』, 런던, 1994
4. 미셸 푸코 ,박홍규 옮김『감시와 처벌 : 감옥의 탄생』,강원대학교 출판 부,1993
5. 정일준『국가를 넘어선 권력과 ‘주체’의 형성』,새길, 1995,
6. 들뢰즈 『푸코』 새길, 1995
7. 장 보들리야르 『푸코 잊기』, 세미오 출판, 1980
추천자료
(감시와 처벌 감상문) 미셀 푸코의
[독서감상문] ‘감시와 처벌’을 읽고.. _ 미셸 푸코(Michel Paul Foucault) 저
[독서감상문] ‘감시와 처벌’ 요약, 정리, 감상 _ 미셀 푸코 저
[독후감] 『감시와 처벌』 읽고 _ 미셀 푸코 저 (감시와 처벌 줄거리, 감시와 처벌 독후감, ...
[독후감] <감시와 처벌>을 읽고 _ 미셀 푸코 저
<감시와 처벌>(미셀 푸코/Mischelle Foucault)을 읽고 느낀 독서감상문
[독서감상문] 감시와 처벌 (Surveiller et punir) _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저
『감시와 처벌 (Surveiller et punir)』 독서 감상문 _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저
[독서와 표현] 파놉티콘 (Panopticon) {벤덤의 파놉티콘 푸코, 셈플, 힘멜파브의 입장 비교하...
교육철학 정리 - 임용고시 대비 {교육철학,피터스와 허스트,동양 교육철학,진보주의,본질주의...
동서양고전의이해(감시와 처벌 미셸 푸코)
<참고문헌>들 중 한 권을 읽고 발췌요약 및 독후감을 제시(미셀푸코의 감시와 처벌)
2016년 2학기 현대의서양문화 중간시험과제물 A형(니체와 푸코의 유사점)
(현대의서양문화 A형) 18세기 계몽주의에 대한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푸코, 하버마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