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주노동자 투쟁 발제문
2. 산업연수생 제도
3. 미등록 이주노동자
4. 고용허가제
5. 연대
2. 산업연수생 제도
3. 미등록 이주노동자
4. 고용허가제
5. 연대
본문내용
자들의 노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사업장이동의 자유를 제한해 이주노동자들을 노예상태에 묶어놓음으로써 저임금노동력 착취의 근원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것, 이주노동자들을 비정규직화 시키는 것, 그리고 내국인 우선 고용원칙을 통해 한국인 노동자들을 경쟁관계로 만들어 한국의 불안정 노동층에게, 나아가 한국 노동자들의 임금, 노동조건 하락의 길을 열어 놓는 것을 통해 신자유주의적 노동유연화를 관철시키려는 것이다.
이제 한국의 노동자와 이주노동자는 신자유주의 노동유연화 공세를 저지하는 연대투쟁의 전선에 함께 서야 한다. 지금도 벌어지고 있는 노동탄압의 현실을 깨닫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싸워야만 한국 노동자와 이주노동자 모두를 위한 노동권의 보장과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 한국의 노동자와 이주노동자는 신자유주의 노동유연화 공세를 저지하는 연대투쟁의 전선에 함께 서야 한다. 지금도 벌어지고 있는 노동탄압의 현실을 깨닫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싸워야만 한국 노동자와 이주노동자 모두를 위한 노동권의 보장과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현대소설 “코끼리”와 “돌베개 위의 나날”을 통해 본 우리 사회 문제 (이주노동자의 실태와 해...
외국인근로자의고용등에관한법률 시행과 이주노동자의 노동권 보호의 문제점
국제관계개론-이주노동자_발표용
한국의 이주여성노동자 현황과 문제점
(A+)다문화가정의 위기사례(다문화가정,국제결혼,다문화가정자녀교육,이주노동자문제,새터민...
‘이주노동자’ 한국 사회의 소수자 = 아프리카, 동남아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
차별(불평등)과 연령차별, 차별(불평등)과 결혼차별, 차별(불평등)과 임금차별, 차별(불평등)...
한국사회의 인종차별 이주노동자
다문화가족문제와 사회복지 - 이주노동자가족,결혼이주여성,새터민가족.pptx
특정 클라이언트 집단의 사회복지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다문화가족문제와 사회복지적 해결방안(이주노동자, 결혼이주자, 다문화가정청소년)
[다문화사회복지] 이주노동자의 개념 이해 및 그들이 겪는 문제에 대한 대안
다문화 가정 현황,다문화 가정의 문제점,다문화 가정의 해결방안,결혼과 가족,국제결혼가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