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그리스도의 존재와 사역의 관계
2. 예수 그리스도의 존재
3. 그리스도의 사역
2. 예수 그리스도의 존재
3. 그리스도의 사역
본문내용
론은 그리스도의 사역이 어느 한 가지 면으로 왜소화된느 일을 금지하고 그의 사역을 가능한 한 여러 가지 관점에서 진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반면 판넨베르크에 의하면 세 직분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① 예수는 묵시사상가도 아니었고 예언자 가운데 한 사람이 아니었다.
② 왕이라고 하는 그리스도의 칭호는 그의 종말론적 미래에 있어서 그에게 해당하는 칭호이다. 부활이전의 예수는 왕이 아니었다. 근느 와으로서 활동하지도 않았고, 자신의 왕위를 위하여 애쓰지도 않았다.
③ 예수는 희생제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제사장으로 이해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예수라는 희생제물을 하나님께 바치는 제사장은 예수 자신이 아니라 하나님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④ 세 직분론은 그리스도의 신-인적 인격을 그의 모든 직분의 주체로 표상하며 지상에 있어서 그의 역사적인 현실을 간과한다.
⑤ 이스라엘의 역사를 고찰할 때 세 직분은 이스라엘 역사 ㅈ너체를 통하여 병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세 직분론에 의한 그리스도의 사역의 문제를 접근방법과는 다르지만 그리스도의 사역의 핵심은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죄용서
2) 소위된 계층을 통합
3) 어린와 여자 등 사회적 약자의 권리 회복
4) 병치료, 귀신추방 등을 통하 건전한 사회 형성
5) 지역적 대립 극복 - 화해
6) 가치체계의 상대화 - 정직한 인간성을 회복
7) 종교형식의 상대화를 통한 진정한 종교적 참정신 실현
8) 성전제의 상대화
9) 희년 선포
10) 민주적 질서-자유와 평등
11) 집권자들에 대한 비판
12) 자기 희생을 통한 진정한 사랑의 구현
반면 판넨베르크에 의하면 세 직분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① 예수는 묵시사상가도 아니었고 예언자 가운데 한 사람이 아니었다.
② 왕이라고 하는 그리스도의 칭호는 그의 종말론적 미래에 있어서 그에게 해당하는 칭호이다. 부활이전의 예수는 왕이 아니었다. 근느 와으로서 활동하지도 않았고, 자신의 왕위를 위하여 애쓰지도 않았다.
③ 예수는 희생제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제사장으로 이해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예수라는 희생제물을 하나님께 바치는 제사장은 예수 자신이 아니라 하나님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④ 세 직분론은 그리스도의 신-인적 인격을 그의 모든 직분의 주체로 표상하며 지상에 있어서 그의 역사적인 현실을 간과한다.
⑤ 이스라엘의 역사를 고찰할 때 세 직분은 이스라엘 역사 ㅈ너체를 통하여 병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세 직분론에 의한 그리스도의 사역의 문제를 접근방법과는 다르지만 그리스도의 사역의 핵심은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죄용서
2) 소위된 계층을 통합
3) 어린와 여자 등 사회적 약자의 권리 회복
4) 병치료, 귀신추방 등을 통하 건전한 사회 형성
5) 지역적 대립 극복 - 화해
6) 가치체계의 상대화 - 정직한 인간성을 회복
7) 종교형식의 상대화를 통한 진정한 종교적 참정신 실현
8) 성전제의 상대화
9) 희년 선포
10) 민주적 질서-자유와 평등
11) 집권자들에 대한 비판
12) 자기 희생을 통한 진정한 사랑의 구현
추천자료
예수 그리스도와 선교
메시아 대망사상과 예수 그리스도
리차드 니버의 < 그리스도와 문화 >감상문
[율법][그리스도의 법][바울][아브라함][하나님]율법의 정의, 율법의 무역론, 율법의 긍정론,...
기독교(그리스도교) 수용, 기독교(그리스도교) 결혼관, 기독교(그리스도교) 이혼관, 기독교(...
고대 그리스도교(고대 기독교), 중세 그리스도교(중세 기독교), 근대 그리스도교(근대 기독교...
기독교(그리스도교) 특성, 기독교(그리스도교) 기원, 기독교(그리스도교) 神(신)개념, 기독교...
그리스도교(기독교)의 흐름과 상징물,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영성,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제3...
기독교(그리스도교)의 神(신)론, 기독교(그리스도교) 예정론과 숙명론, 기독교(그리스도교) ...
그리스도의 비하와 구속사역 - 성육신(비하의 시작), 고난의 생애(비하의 두 번재 단계로 의...
로버트 리담의 성경적 개혁파적 그리스도의 사역 이해
그리스도 대학교 조직신학 기말고사 답지입니다.
마태복음 1장 -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마태복음1장 1-17절),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의 경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