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동학농민혁명의 의의와 동학사상
1. 동학농민혁명의 의의
2. 동학사상
Ⅲ.혁명의 전사(前史), 동학농민혁명을 향하여
1. 동학농민혁명은 왜, 어떻게 일어났나
2. 동학의 창도와 공인운동
Ⅳ. 3월 봉기, 고부에서 전주성까지
1. 고부농민봉기
2. 무장기포와 백산대회
3. 황토재 전투와 황룡강 전투
4. 전주성 점령과 청․일의 개입
5. 완산전투
6. 폐정개혁안과 전주화약
Ⅴ. 집강소, 무르익는 혁명의 희망
1. 전주성 해산 이후 농민군의 동향
2. 일본의 공작과 청,일전쟁
3. 일본의 내정간섭과 갑오개혁
4. 집강소의 설치
Ⅵ. 9월 재봉기, 일본군에 가로막힌 꿈
1. 삼남 각지의 척왜봉기
2. 재봉기 결정과 준비
3. 북상, 서울을 향하여
4. 전국 각지의 봉기와 전투
5. 공주전투, 우금치의 좌절
6. 퇴각, 그리고 해산
7. 최후의 항쟁
Ⅶ. 농민들이 꿈꾼 세상
- 동학농민혁명의 지향
Ⅱ. 동학농민혁명의 의의와 동학사상
1. 동학농민혁명의 의의
2. 동학사상
Ⅲ.혁명의 전사(前史), 동학농민혁명을 향하여
1. 동학농민혁명은 왜, 어떻게 일어났나
2. 동학의 창도와 공인운동
Ⅳ. 3월 봉기, 고부에서 전주성까지
1. 고부농민봉기
2. 무장기포와 백산대회
3. 황토재 전투와 황룡강 전투
4. 전주성 점령과 청․일의 개입
5. 완산전투
6. 폐정개혁안과 전주화약
Ⅴ. 집강소, 무르익는 혁명의 희망
1. 전주성 해산 이후 농민군의 동향
2. 일본의 공작과 청,일전쟁
3. 일본의 내정간섭과 갑오개혁
4. 집강소의 설치
Ⅵ. 9월 재봉기, 일본군에 가로막힌 꿈
1. 삼남 각지의 척왜봉기
2. 재봉기 결정과 준비
3. 북상, 서울을 향하여
4. 전국 각지의 봉기와 전투
5. 공주전투, 우금치의 좌절
6. 퇴각, 그리고 해산
7. 최후의 항쟁
Ⅶ. 농민들이 꿈꾼 세상
- 동학농민혁명의 지향
본문내용
차례에 걸친 유혹을 당당히 뿌리치고 이듬해 3월 29일 손화중김덕명최경선 등과 함께 의연하게 교수대에 올랐다. 이런 잔혹한 토벌 속에서도 살아남은 이들의 행로는 어땠을까? 이들의 대다수는 1895년 일본이 명성황후를 살해한 사건을 계기로 터져 나온 의병대열에 합류하여 또다시 항일민족운동에 헌신하였다. 의병의 절반은 비류(농민군)라는 당대의 기록이 이런 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Ⅶ. 농민들이 꿈꾼 세상
1. 동학농민혁명의 지향
가. 경제적 지향
농민들의 경제적 지향은 무엇보다도 조세 수취제도인 삼정(三政)을 바로잡는데 있었다. 삼정의 개혁에 관한 농민들의 요구는 집권층과 지방관리의 제도적 또는 불법적인 조세수탈을 중지하라는 것에 집중되었다. 말하자면 당시대의 경제적 모순을 총체적으로 철폐하여 가혹한 수탈로부터 벗어나게 해 달라는 절박한 요구였다. 그러나 이는 모순되고 문란했던 조세 수취제도에 대한 시정을 바란 것이지, 그 자체를 전면적으로 거부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런 요구를 가지고 농민군이 기존의 경제적 질서를 근본적으로 부정했다고는 할 수 없다. 이는 근대적 조세제도에 대한 안목이 없었던 현실에서 불가피한 것이기도 하다. 농민혁명 과정에서 농민들이 제기한 섬정개혁의 문제는 개화파 정권의 갑오개혁에서 상당 부분 수용되었다.
다음으로 농민들은 상업문제의 개선을 요구하였다. 주로 관과의 결탁을 통하여 특정 물건에 대해 독점권을 행사하는 도매상인 도고(都賈)의 철폐, 영세한 상인에 대한 지배층의 수탈 금지, 보부상(褓負商)과 외국상인으로부터 농촌의 영세한 행상들의 활동 보장, 외국상인들의 개항장 밖 활동금지 및 내륙으로의 상권 확대 억제 등이 그것이다. 영세한 상인층의 기본적인 활동권과 생계유지 보장을 요구한 셈이다.
나. 사회적 지향
신분제도와 같은 사회적인 문제의 개혁요구는 농민군의 요구로 드러나지는 않는다. 하지만 농민군의 활동 과정에 드러난 것을 통해 정리해 볼 수는 있다. 사회적인 문제의 개혁요구는 신분제의 폐지에 집중되었다. 물론 신분제를 철폐하라는 공식적인 요구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농민군은 농민혁명 과정에서, 횡포한 양반과 수령을 비롯한 관속, 그리고 양반 지주에 대한 처벌을 단행했다. 또한 농민군 사이에서는 신분의 벽을 없애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경주되었다. 이런 활동은 집강소 기간에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농민군은 집강소기간 이전에도 서로 '접장'(원래는 서당에서 나이와 학력이 가장 높은 사람을 뽑아 선생을 돕도록 맡긴 사람)이라는 평등한 호칭을 썼는데 집강소 기간에는 그것이 일상화되다시피 하였다. 그리하여 날이 갈수록 평민 이하 계층의 참여가 확대되었고, 이에 따라 농민군의 신분타파운동은 점차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농민군은 분명 양반도 상놈도 없는, 신분 차별이 없는 평등의 세상을 꿈꾸었다. 비록 이를 글로 써서 공식적으로 요구하지는 않았으나 농민혁명 전체 과정에서 행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이를 표출했던 것이다. 신분제도의 폐지요구는 결국 갑오개혁에 반영되었고, 신분제는 1894년 6월 28일 군국기무처의 의안을 통해 법적으로 철폐되었다.
다. 정치적 지향
정치적 문제에 관한 농민군의 직접적인 요구는 민씨정권의 축출과 탐관오리의 제거였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농민군의 정치적 지향이 다 드러났다고 볼 수는 없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이들의 정치적 구상을 알아보는 일일 것이다. 동학농민혁명은 비록 1년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전개되었지만 농민군의 정치적 구상은 3월 봉기→집강소→9월 재봉기를 거치면서 농민군의 의식 진전과 더불어 변화되고 구체화되었다.
3월 봉기 때의 농민군의 구체적인 정치적 지향점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농민군이 공포한 격문과 4대명의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이때 농민군은 '정부와 관리의 폐정척결=민씨정권과 탐관오리의 척결을 목표로 세우고 일치된 행동을 전개했다. 5월초 전주성에서 물러난 이후 농민군은 무력적 우위를 바탕으로 농민군 주도의 활동을 전개해 갔다. 이 시기에 전봉준은 김학진으로 대표되는 개화파와의 연합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으며, '관민상화(官民相和)'를 통한 폐정개혁의 실현을 모색하였다. 3월 봉기보다 한 단계 고양된 정치수준을 보인 변화라고 할 만하다.
그러나 구체적인 정치적 지향은 여전히 불확실한 단계에 있었다. 이들의 정치적 지향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재봉기 결정 과정에서다. 9월 재봉기의 근본적인 배경은 일본군 경복궁 침입과 내정간섭의 심화이지만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은 '대원군의 밀지 전달'이었다. 대원군과의 정치적 결합이 현실화된 것이었다.
그러면 농민군 최고 지도자들이 대원군과의 정치적 연합을 기대한 것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일까? 아직은 추정일 수밖에 없지만 여러 정황을 놓고 볼 때 이런 점을 생각을 해볼 수 있다. 무력적 우위를 바탕으로 개혁의 조건을 스스로 형성해 갔던 집강소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봉기 단계에 이르러 전봉준은 농민군이 참여하는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군주의 권력이 헌법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는 군주제)를 꿈꾸었을 가능성이 그것이다. 전봉준 등은 합의법을 요체로 한 군민공치의 정치형태(입헌군주제)를 구상했고, 그 합의법을 수행할 핵심으로 농민군 세력과 더불어 대원군을 주목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농민군의 정치적 지향의 큰 줄기는 외세(外勢) 축출이었다. 동학농민군은 3월 봉기 때부터 외세 축출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러나 이때는 외세축출이 핵심적인 지향은 아니었고, 그 대상도 서양인 선교사와 일본상인 등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외세축출의 지향이 구체화되고 본격화된 것은 일본군이 조선에 진주하면서부터이다. 그리고 일본군이 궁궐을 강제로 점령하고 청일 전쟁을 도발하며 내정 간섭을 심화하자 농민군은 일본군을 제1의 적으로 삼았다. 이후 농민군은 일본군을 대상으로 전면적인 반외세(반일) 항쟁을 전개하였다. 하지만 농민군의 반외세 항쟁은 조선정부와 군대까지 장악한 일본군, 그리고 농민군을 더 위험시하여 일본군에 동조한 기득권세력의 공격에 밀려 좌절되고 말았다. 외세의 침략이라는 민족적 위기 앞에서 동학농민군은 정면으로, 그러나 외롭게 맞서 싸우다 산화해 갔던 것이다.
Ⅶ. 농민들이 꿈꾼 세상
1. 동학농민혁명의 지향
가. 경제적 지향
농민들의 경제적 지향은 무엇보다도 조세 수취제도인 삼정(三政)을 바로잡는데 있었다. 삼정의 개혁에 관한 농민들의 요구는 집권층과 지방관리의 제도적 또는 불법적인 조세수탈을 중지하라는 것에 집중되었다. 말하자면 당시대의 경제적 모순을 총체적으로 철폐하여 가혹한 수탈로부터 벗어나게 해 달라는 절박한 요구였다. 그러나 이는 모순되고 문란했던 조세 수취제도에 대한 시정을 바란 것이지, 그 자체를 전면적으로 거부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런 요구를 가지고 농민군이 기존의 경제적 질서를 근본적으로 부정했다고는 할 수 없다. 이는 근대적 조세제도에 대한 안목이 없었던 현실에서 불가피한 것이기도 하다. 농민혁명 과정에서 농민들이 제기한 섬정개혁의 문제는 개화파 정권의 갑오개혁에서 상당 부분 수용되었다.
다음으로 농민들은 상업문제의 개선을 요구하였다. 주로 관과의 결탁을 통하여 특정 물건에 대해 독점권을 행사하는 도매상인 도고(都賈)의 철폐, 영세한 상인에 대한 지배층의 수탈 금지, 보부상(褓負商)과 외국상인으로부터 농촌의 영세한 행상들의 활동 보장, 외국상인들의 개항장 밖 활동금지 및 내륙으로의 상권 확대 억제 등이 그것이다. 영세한 상인층의 기본적인 활동권과 생계유지 보장을 요구한 셈이다.
나. 사회적 지향
신분제도와 같은 사회적인 문제의 개혁요구는 농민군의 요구로 드러나지는 않는다. 하지만 농민군의 활동 과정에 드러난 것을 통해 정리해 볼 수는 있다. 사회적인 문제의 개혁요구는 신분제의 폐지에 집중되었다. 물론 신분제를 철폐하라는 공식적인 요구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농민군은 농민혁명 과정에서, 횡포한 양반과 수령을 비롯한 관속, 그리고 양반 지주에 대한 처벌을 단행했다. 또한 농민군 사이에서는 신분의 벽을 없애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경주되었다. 이런 활동은 집강소 기간에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농민군은 집강소기간 이전에도 서로 '접장'(원래는 서당에서 나이와 학력이 가장 높은 사람을 뽑아 선생을 돕도록 맡긴 사람)이라는 평등한 호칭을 썼는데 집강소 기간에는 그것이 일상화되다시피 하였다. 그리하여 날이 갈수록 평민 이하 계층의 참여가 확대되었고, 이에 따라 농민군의 신분타파운동은 점차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농민군은 분명 양반도 상놈도 없는, 신분 차별이 없는 평등의 세상을 꿈꾸었다. 비록 이를 글로 써서 공식적으로 요구하지는 않았으나 농민혁명 전체 과정에서 행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이를 표출했던 것이다. 신분제도의 폐지요구는 결국 갑오개혁에 반영되었고, 신분제는 1894년 6월 28일 군국기무처의 의안을 통해 법적으로 철폐되었다.
다. 정치적 지향
정치적 문제에 관한 농민군의 직접적인 요구는 민씨정권의 축출과 탐관오리의 제거였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농민군의 정치적 지향이 다 드러났다고 볼 수는 없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이들의 정치적 구상을 알아보는 일일 것이다. 동학농민혁명은 비록 1년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전개되었지만 농민군의 정치적 구상은 3월 봉기→집강소→9월 재봉기를 거치면서 농민군의 의식 진전과 더불어 변화되고 구체화되었다.
3월 봉기 때의 농민군의 구체적인 정치적 지향점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농민군이 공포한 격문과 4대명의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이때 농민군은 '정부와 관리의 폐정척결=민씨정권과 탐관오리의 척결을 목표로 세우고 일치된 행동을 전개했다. 5월초 전주성에서 물러난 이후 농민군은 무력적 우위를 바탕으로 농민군 주도의 활동을 전개해 갔다. 이 시기에 전봉준은 김학진으로 대표되는 개화파와의 연합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으며, '관민상화(官民相和)'를 통한 폐정개혁의 실현을 모색하였다. 3월 봉기보다 한 단계 고양된 정치수준을 보인 변화라고 할 만하다.
그러나 구체적인 정치적 지향은 여전히 불확실한 단계에 있었다. 이들의 정치적 지향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재봉기 결정 과정에서다. 9월 재봉기의 근본적인 배경은 일본군 경복궁 침입과 내정간섭의 심화이지만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은 '대원군의 밀지 전달'이었다. 대원군과의 정치적 결합이 현실화된 것이었다.
그러면 농민군 최고 지도자들이 대원군과의 정치적 연합을 기대한 것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일까? 아직은 추정일 수밖에 없지만 여러 정황을 놓고 볼 때 이런 점을 생각을 해볼 수 있다. 무력적 우위를 바탕으로 개혁의 조건을 스스로 형성해 갔던 집강소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봉기 단계에 이르러 전봉준은 농민군이 참여하는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군주의 권력이 헌법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는 군주제)를 꿈꾸었을 가능성이 그것이다. 전봉준 등은 합의법을 요체로 한 군민공치의 정치형태(입헌군주제)를 구상했고, 그 합의법을 수행할 핵심으로 농민군 세력과 더불어 대원군을 주목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농민군의 정치적 지향의 큰 줄기는 외세(外勢) 축출이었다. 동학농민군은 3월 봉기 때부터 외세 축출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러나 이때는 외세축출이 핵심적인 지향은 아니었고, 그 대상도 서양인 선교사와 일본상인 등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외세축출의 지향이 구체화되고 본격화된 것은 일본군이 조선에 진주하면서부터이다. 그리고 일본군이 궁궐을 강제로 점령하고 청일 전쟁을 도발하며 내정 간섭을 심화하자 농민군은 일본군을 제1의 적으로 삼았다. 이후 농민군은 일본군을 대상으로 전면적인 반외세(반일) 항쟁을 전개하였다. 하지만 농민군의 반외세 항쟁은 조선정부와 군대까지 장악한 일본군, 그리고 농민군을 더 위험시하여 일본군에 동조한 기득권세력의 공격에 밀려 좌절되고 말았다. 외세의 침략이라는 민족적 위기 앞에서 동학농민군은 정면으로, 그러나 외롭게 맞서 싸우다 산화해 갔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