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관의 유무와 관계없이, 농민군이 막강한 세력을 바탕으로 집강소를 장악하고 치안기능을 넘어 사실상 통치권을 행사한 지역이다. 전봉준의 직접적인 지도하에 있던 전주와 금구ㆍ태인, 김개남이 강대한 무장력으로 장악하고 있던 남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집강소의 설치를 승인했던 전라관찰사 김학진 등 관군측은 농민군의 집강소를 종래의 면·리집강의 군현으로의 격상으로 이해하였다. 김학진이 농민군의 집강소 설치를 허가한 것도 부득이한 조건에서 이 면·리집강을 모형으로 한 것이었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집강소성격에 대한 연구 경향
전주화약 이후 집강소의 성격에 대한 이해는 집강소가 농민군의 활동과 조직에 그 중심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1984년 갑오농민전쟁의 성격 규정에 그 의의가 크다. 지금까지 집강소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를 기점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집강소의 설치, 한국학보 41
- 오길보(1964), 1894-1895년 농민전쟁의 역사적 성격에 대하여, 역사과학
- 이영호(1991), 1894년 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변혁주체의 성장, 1894년 농민전쟁 연구 1,역사비평사
- 정창렬(1981), 동학과 농민전쟁, 한국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집강소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아직 사상적으로 완전한 봉건체제 혁명적 성격 규정에는 한계가 있고, 대안 제시에 있어서도 미흡한 것도 사실이다. 또한 집강소 시기에서 2차 봉기 단계에서 감정적, 일방적인 항일 전선을 형성한 것보다는 현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