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전사례 - 일본천황의 신격화와 관련한 선전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전사례 - 일본천황의 신격화와 관련한 선전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천황의 존재

2. 왜 일 천황을 신으로 만들었나? (선전의 목적)

3. 천황의 신격화를 위한 구체적 노력
1) 역사. 신화 (진무천황에 관한 신화)를 선전재료로 활용
2) 감성적 자료(각종행사, 의식의개최)를 사용한 선전
3) 음악을 활용한 선전
4) 벚꽃에 국가(천황)를 위한 희생이라는 상징적의미를 투영****
5) 사진을 활용하여 의미를 의인화, 시각화.
6)교육
7) 이름짓기

4. 오늘날의 천황제 수호

본문내용

으로 떠받들었다. 그러나 1945년의 패전으로 국가신도(神道)가 해체되었고 이듬해 설날 천황이 이른바 「인간선언」을 함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신격을 부정하였다. 그러나 일부 일본인의 천황 숭배의 마음은 거의 변함이 없다
ex) 50년동안 끊이지 않고있는 '황거근로 봉사단'
: 봉사단원들은 전국각지에서 3박 4일의 일정으로 상경하여 아침 8시 30분부터 오후4시까지 황거에 출근하여 미화작업을 한다. 청소는 물론이고 이들의 여행에 소요되는 여비, 숙박비,식대 등 일체의 경비는 자비부담이다. 적지 않은 자기 돈을 써가며 사흘 동안 황거안을 청소하는 사람들이 50년이상 끊이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이들은 작업하는 동안 먼발치에서 나마 천황부부가 산책하는 모습을 바라 볼 수 있고 더러 운이 좋으면 천황과 직접 한 두 마디 나누는 영광(?)을 누리기도 한다. 대화 내용은 대개 어디서 왔느냐를 묻고 천황이 그지방에 대해 아는 체를 하는 식이라고 한다. 마지막날에는 기미가요를 부르고 「천황폐하 만세」를 삼창하고 해산한다. 이들은 천황가의 상징인 국화문장이 박힌 담배 한갑과 과자 한봉지씩을 황송스러운 태도로 받아들이고 아쉬운 듯이 황거를 연신 돌아보며 귀향길에 오른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5.25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86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