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박사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황우석!! 그는 누구인가?

2. 연구 성과
1) ‘광우병 내성 소’, ‘무균 미니 돼지’ 세계 최초 생산
2) 한국 첫 복제 소 ‘영롱이’
3) 사람 난자서 ‘인간 배아 줄기세포’ 배양

3. 생명복제기술의 미래 & 초등교육에 있어 시사하는 점

4. reference

본문내용

용되는 조혈간세포, 혹은 뇌 속에 신경전달물질의 결핍 때문으로 볼 수 있는 파킨슨병의 치료를 위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세포를 증식에 필요한 이식용의 세포로 만드는 것은 어렵지 않으리라 본다. 앞으로 기술이 더 진전하면 장기를 만드는 일도 가능하리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장기에 따라서는 많은 종류의 세포로부터 구성되는 것과 동시에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시험관 내에서 길러 이식 가능한 장기를 만드는 것에는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어느 특정 장기에 사람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세포를 집결시키는 것과 동물 개체 안에 사람의 장기와 같은 것을 만들어 내는 방법이 생각되고 있다.
☞문제점
위와 같은 기술 응용의 가능성이 있는 반면, 사람 배아줄기세포는 사람의 배를 파괴하여 수립한다는 데 문제점이 있다. 또 암세포와 같이 무한하게 증식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처리가 불완전하다거나 잘못되어 종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Pluripotency를 갖고 있기 때문에 사용법에 따라서는 생식세포로 분화할 가능성이 있어 배아줄기세포의 유전자가 후대에 전해질 가능성이 있다. 배아줄기세포에 유전자 조작을 통해 생식세포에 조작된 유전자가 다음 세대로 연결될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ES세포를 포배상태의 배아로 가공하여 착상을 시키면 자신의 복제 인간을 만들 수도 있다는 그런 이야기가 되어지기에 실제로 이것의 연구에 있어서는 도덕적 그리고 윤리적인 문제가 따른다.
3. 생명복제기술의 미래 & 초등교육에 있어 시사하는 점
생명복제기술은 대부분이 바이오의학이나 바이오 농업에 적용될 것이며 그 외에 환경보전 및 에너지 분야 등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10년 전후의 시기에 실용화 될 것으로 예측되는 기술들에는 동물의 번식과 개량, 치료용 단백질의 생산, 특정 영양물질의 생산과 이용, 장기이식용 동물의 생산, 질환모델 동물(인간을 대상으로 한 질병관련 실험을 대신할 수 있는 실험동물)의 생산, 세포유전자 치료 등이 있다.
대부분의 생명공학기술은 그 쓰임새에 따라 인류에게 축복이 될 수도 있고 재앙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생명의 창조에 견줄 수 있는 생명복제기술은 선용이냐 오남용이냐에 따라 극단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악용시의 해악은 생태교란, 위험한 먹거리 생산, 치명적 질환의 발생 등 타 분야 과학기술에 비해 엄청난 규모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이 기술개발과정 및 적용영역에 대한 철저한 준비와 대비가 수반되어야만 한다.
반면 21세기에는 생명공학기술을 바탕으로 하지 않은 경제선진국은 존재할 수 없으며 바이오의학 기술개발을 경시한 국가는 의료 복지국이 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생명공학의 원천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기업은 살아남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생명공학기술은 바로 인류의 3대 숙제인 식량, 환경, 질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책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윤리적기술적정책적으로 우리 모두의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초등학생에게 복제기술은 매우 어렵게 느껴질 것이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그 기술은 계속 연구되고 있고, 수년 내에 실용화 되어 우리의 생활속에 깊이 들어오게 될 것이다. 또한 그 복제기술은 여러 가지의 장단점을 이유로 찬/반 논란이 계속 되고 있다. 아이들도 이에 대해 알고 과학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해 나아가야 한다.
또한 아이들에게 한 과학자의 일화와 연구에 쏟은 노력, 그리고 이루어낸 연구 성과를 들려주어 과학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고, 과학자의 꿈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공계 기피 현상을 막아 우리나라가 과학 강국이 되는 지름길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4. Reference
⇒황우석, 『생명복제기술의 현황과 미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http://www.riss4u.net
⇒강계원, 『사람의 배아줄기세포 기술정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http://www.kordic.re.kr
⇒네이버 오픈 사전, <제대혈 속의 정보들>
⇒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hottrend.asp?no=7366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25&article_id=0000497
156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15&article_id=0000667
617
⇒http://wave.snu.ac.kr/0210-1.htm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5.30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