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에 따르면 여성은 그들이 원하면 언제든지 어느 곳에서나 무리지어 거리를 활보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하층 계급의 매춘부를 규제하려는 시도와 복장을 규제하는 법을 강행하려는 오랜 노력이 병행되었다. 그러나 중세유럽에서 매춘부로 일했던 여성들이 그들에게 부과된 복장 규정을 얼마나 준수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아 그러나 그 시기 내내 창녀가 시대의 유행을 주도했던 것은 분명하다. 중세의 창녀들은 그들을 규제하고 통제하려는 지배 계급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공동체의 나머지 구성원에게서 완전히 격리된 적은 없었다. 이들은 자신들을 통제하려는 교회와 국가의 움직임에 맞서 이들 나름의 존엄성과 유대를 과시했다.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매춘을 완전히 근절 하지 못한 탓에 합법적인 뚜쟁이 지배 계급의 이윤은 감소했다. 14세기 말에 이르러 노동 인구 전반의 자신감과 경제력이 향상됨에 따라 이 여성들의 자심감과 경제력 역시 증진되었다. 지배계급은 아주 잘 차려 입은 창녀에게 돈을 들여 매를 대기보다 그들에게서 벌금을 긁어모아 주머니를 두둑이 채우는 것을 더 좋아했다. 이 같은 자유방임 정책은 남성의 탐욕과 실용주의의 결과였다.
지금까지 중세 유럽의 매매춘에 대해 알아보았다. 중세 유럽에서 매춘의 전반적인 그림은 그리스도교 교회의 출현과 함께 종교적 흔적이 완전히 살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그 직업은 완전히 세속화 되었으며 시장의 새로운 조건 아래서 번성했다. 그러나 이 같은 상황은 그래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이다. 16세기 종교 개혁가들의 등장과 함께 야만적인 탄압의 시대가 이제 그 모습을 드러낼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중세 유럽의 매매춘에 대해 알아보았다. 중세 유럽에서 매춘의 전반적인 그림은 그리스도교 교회의 출현과 함께 종교적 흔적이 완전히 살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그 직업은 완전히 세속화 되었으며 시장의 새로운 조건 아래서 번성했다. 그러나 이 같은 상황은 그래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이다. 16세기 종교 개혁가들의 등장과 함께 야만적인 탄압의 시대가 이제 그 모습을 드러낼 것이기 때문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