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대상 및 기간
3. 연구방법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Ⅲ. 사례연구
1. 기초자료 수집
2. 의미있는 자료
3. 간호진단
4.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Ⅳ. 결론
-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대상 및 기간
3. 연구방법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Ⅲ. 사례연구
1. 기초자료 수집
2. 의미있는 자료
3. 간호진단
4.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돌봐줘요.”
S4 : “엄마, 아빠가 손톱 안깎아줘요.”
S5 : 엄마 - “얘가 3개월 전부터 기침을 계속 하고 밤엔 더 심해요.”
S6 : “머리 아파요.”
S7 : “추워요.”
S8 : “병원에 오고 나서 머리를 한번도 안감았어요.” - 5월 10일
O1 : 밥 몇숟갈 먹다가 만다.
O2 : 손톱이 길고 때가 끼었다.
O3 : 치아가 거의 다 썩어있다.
O4 : 5월 10일 가래 낀 기침을 자주 한다.
O5 : 체온이 18일 2PM시 37.5℃, 19일 6AM 37.6℃로 올라갔다.
O6 : 쌕쌕거리는 소리를 낸다.
O7 : 코가 벌렁거린다
3. 간호진단
#1.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환경변화와 관련된 식욕부진
#3. 부모의 역할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4. 고체온
4. 간호계획, 수행, 평가
#1.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S5, O4. O6. O7
① 간호목표 : 객담을 효율적으로 배출한다
② 간호계획
· 호흡의 양상, 분비물의 특성을 사정한다.
·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고 가습기를 제공한다
·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한다
· 필요시 벤톨린, 기관지 확장제 및 거담제를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사정한다
③ 간호수행
· 수분을 많이 섭취하도록 부모에게 교육하였다.
· 환아에게 심호흡을 하도록 유도하였다.
④ 평가
5월 10일 환아를 보았을 때 가래 낀 기침을 했었는데 5월 18, 19일에는 기침을 하지 않았다.
#2. 환경변화와 관련된 식욕부진
S1, O1
① 간호목표 : 식욕이 증진되며 필요한 영양권장량을 섭취한다.
② 간호계획
· 환아의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 소량의 음식을 자주 제공한다.
·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집에서 쓰던 수저를 쓴다.
· 식사시간이 즐겁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한다
· 가능하다면 평소의 식습관을 유지하도록 한다
· 좋아하는 음식의 종류를 제공하도록 한다.
③ 간호수행
· 밥 먹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 식사시간이 즐겁도록 “맛있겠다~” 유도한다.
· 좋아하는 음식을 위주로 먹게 한다.
④ 평가
지켜본 날은 밥을 남김없이 골고루 먹었지만 그 후에는 볼 기회가 없었다.
#3. 부모의 역할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목욕/위생)
S2, S3, S4, S8, O2, O3
① 간호목표 : 환아가 자가 간호활동을 스스로 계획, 수행할 수 있다.
② 간호계획
· 환아의 위생상태를 파악한다.
· 환아와 환아의 부모에게 올바른 위생청결방법을 교육한다.
· 부모님이 안 계신 경우 직접 환아에게 목욕과 위생에 관한 간호를 제공한다.
③ 간호수행
· 환아의 손톱을 깎아주고 밥 먹고 난 후 스스로 양치를 할 수 있게 도왔다.
· 환아에게 머리는 적어도 3일에 한번은 감도록
· 양치는 하루 3번 밥 먹고 난 후 꼭 하도록
· 손톱은 엄마한테 일주일에 한 번씩 깎아달라고 말하도록 교육하였다.
· 아빠에게 환아의 치아상태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었고
· 아빠가 옆에 있을 때 환아에게 양치하는 법을 강조하였다.
④ 평가
환아에게 직접 간호를 제공할 때는 알아듣는 것 같았지만, 부모에게는 어른이라 조심스러워 직접적으로 교육은 못하고 환아를 통해서나, 엿들을 정도로 간접적으로 교육을 시도하였으나 해결되었는지는 알 수 없었다.
#4. 고체온
S6, S7, O5
① 간호목표 : 환아에게 발열의 증상이 없으며 체온을 36.4~37.2℃로 유지한다.
② 간호계획
· 환아의 체온을 8시간마다 측정하여 갑작스런 체온 상승이 있는지 사정한다.
· 가벼운 옷이나 시트를 사용하여 서늘한 환경을 유지한다.
· 수분이 많은 과일이나 음료수를 권장한다.
· 안정을 취하게 한다.
·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 tepid water massage를 시행한다.
· 오한이 나면 일단 담요로 덮어주고 오한이 사라지면 시원하게 해준다.
· 필요 시 해열제를 투여하고 30분 후 효과를 사정한다.
③ 간호수행
· 환아의 체온을 8시간마다 측정하였고 37.2 이상이 되면 1~2시간마다 주의깊게 관찰했다.
· 침상 안정을 취하도록 했다.
· 담요를 덮어주었다.
④ 평가
체온이 18일 2PM시 37.5℃, 19일 6AM 37.6℃로 올라갔던 것이 19일 2PM 36.5℃ 정상체온으로 돌아와 유지되었다.
Ⅳ. 결론
이상에서 본 연구는 Bronchitis 진단을 받은 만 5세된 Female 환아를 대상으로 Bronchitis 환아에게 생길 수 있는 간호문제를 사정하도 진단을 내리고 이 간호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적절한 중재를 하고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내린 간호진단은
#1.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환경변화와 관련된 식욕부진
#3. 부모의 역할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4. 고체온
으로 이와 관련된 요인을 각각 없애거나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간호 계획 및 중재가 이루어졌다.
서5 소아과 병동을 돌면서 느낀 점은 아이가 가지고 있는 무한한 발전 가능성보다 아이들 그 자체로서의 순수함과 해맑음이 너무 사랑스러웠다. 어른들, 심지어 나를 보아도 감추어진 속마음이 따로 있고 겉으로 표현하지 않는다. 하지만 아이들은 속마음이 없고, 좋으면 환하게 웃고 싫으면 울고, 자기 딴에는 속이려고 해도 다 들통 날 거짓말을 하는 아이들의 순진무구함을 보고 있으려니 나도 어렸을 적으로 돌아간 느낌이 들었다. 물론 말 안 듣는 애들을 보면 때려주고도 싶고 하지만 그래도 악의가 없기 때문에 웃음으로 넘어갈 수 있는 것 같다. 아동간호시간에 배운 그 발달단계에 맞는 행동이 보일 때면 너무 기뻤고 절대 잊지 않을 것 같았다.
아이들은 그 나름대로의 존재로서 가치가 크며, 아동은 가르쳐야만 하는 대상이 아니라 우리가 배울 점도 많은 존재인 것 같다. 이렇게 아동은 우리에게 소중하고 가치있는 존재이므로 우리는 더욱 더 아동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해하며 개개 아이들의 특성에 따라 간호를 해야 할 것이다.
- 목 차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대상 및 기간
3. 연구방법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Ⅲ. 사례연구
1. 기초자료 수집
2. 의미있는 자료
3. 간호진단
4.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Ⅳ. 결론
S4 : “엄마, 아빠가 손톱 안깎아줘요.”
S5 : 엄마 - “얘가 3개월 전부터 기침을 계속 하고 밤엔 더 심해요.”
S6 : “머리 아파요.”
S7 : “추워요.”
S8 : “병원에 오고 나서 머리를 한번도 안감았어요.” - 5월 10일
O1 : 밥 몇숟갈 먹다가 만다.
O2 : 손톱이 길고 때가 끼었다.
O3 : 치아가 거의 다 썩어있다.
O4 : 5월 10일 가래 낀 기침을 자주 한다.
O5 : 체온이 18일 2PM시 37.5℃, 19일 6AM 37.6℃로 올라갔다.
O6 : 쌕쌕거리는 소리를 낸다.
O7 : 코가 벌렁거린다
3. 간호진단
#1.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환경변화와 관련된 식욕부진
#3. 부모의 역할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4. 고체온
4. 간호계획, 수행, 평가
#1.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S5, O4. O6. O7
① 간호목표 : 객담을 효율적으로 배출한다
② 간호계획
· 호흡의 양상, 분비물의 특성을 사정한다.
·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고 가습기를 제공한다
·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한다
· 필요시 벤톨린, 기관지 확장제 및 거담제를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사정한다
③ 간호수행
· 수분을 많이 섭취하도록 부모에게 교육하였다.
· 환아에게 심호흡을 하도록 유도하였다.
④ 평가
5월 10일 환아를 보았을 때 가래 낀 기침을 했었는데 5월 18, 19일에는 기침을 하지 않았다.
#2. 환경변화와 관련된 식욕부진
S1, O1
① 간호목표 : 식욕이 증진되며 필요한 영양권장량을 섭취한다.
② 간호계획
· 환아의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 소량의 음식을 자주 제공한다.
·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집에서 쓰던 수저를 쓴다.
· 식사시간이 즐겁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한다
· 가능하다면 평소의 식습관을 유지하도록 한다
· 좋아하는 음식의 종류를 제공하도록 한다.
③ 간호수행
· 밥 먹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 식사시간이 즐겁도록 “맛있겠다~” 유도한다.
· 좋아하는 음식을 위주로 먹게 한다.
④ 평가
지켜본 날은 밥을 남김없이 골고루 먹었지만 그 후에는 볼 기회가 없었다.
#3. 부모의 역할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목욕/위생)
S2, S3, S4, S8, O2, O3
① 간호목표 : 환아가 자가 간호활동을 스스로 계획, 수행할 수 있다.
② 간호계획
· 환아의 위생상태를 파악한다.
· 환아와 환아의 부모에게 올바른 위생청결방법을 교육한다.
· 부모님이 안 계신 경우 직접 환아에게 목욕과 위생에 관한 간호를 제공한다.
③ 간호수행
· 환아의 손톱을 깎아주고 밥 먹고 난 후 스스로 양치를 할 수 있게 도왔다.
· 환아에게 머리는 적어도 3일에 한번은 감도록
· 양치는 하루 3번 밥 먹고 난 후 꼭 하도록
· 손톱은 엄마한테 일주일에 한 번씩 깎아달라고 말하도록 교육하였다.
· 아빠에게 환아의 치아상태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었고
· 아빠가 옆에 있을 때 환아에게 양치하는 법을 강조하였다.
④ 평가
환아에게 직접 간호를 제공할 때는 알아듣는 것 같았지만, 부모에게는 어른이라 조심스러워 직접적으로 교육은 못하고 환아를 통해서나, 엿들을 정도로 간접적으로 교육을 시도하였으나 해결되었는지는 알 수 없었다.
#4. 고체온
S6, S7, O5
① 간호목표 : 환아에게 발열의 증상이 없으며 체온을 36.4~37.2℃로 유지한다.
② 간호계획
· 환아의 체온을 8시간마다 측정하여 갑작스런 체온 상승이 있는지 사정한다.
· 가벼운 옷이나 시트를 사용하여 서늘한 환경을 유지한다.
· 수분이 많은 과일이나 음료수를 권장한다.
· 안정을 취하게 한다.
·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 tepid water massage를 시행한다.
· 오한이 나면 일단 담요로 덮어주고 오한이 사라지면 시원하게 해준다.
· 필요 시 해열제를 투여하고 30분 후 효과를 사정한다.
③ 간호수행
· 환아의 체온을 8시간마다 측정하였고 37.2 이상이 되면 1~2시간마다 주의깊게 관찰했다.
· 침상 안정을 취하도록 했다.
· 담요를 덮어주었다.
④ 평가
체온이 18일 2PM시 37.5℃, 19일 6AM 37.6℃로 올라갔던 것이 19일 2PM 36.5℃ 정상체온으로 돌아와 유지되었다.
Ⅳ. 결론
이상에서 본 연구는 Bronchitis 진단을 받은 만 5세된 Female 환아를 대상으로 Bronchitis 환아에게 생길 수 있는 간호문제를 사정하도 진단을 내리고 이 간호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적절한 중재를 하고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내린 간호진단은
#1.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환경변화와 관련된 식욕부진
#3. 부모의 역할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4. 고체온
으로 이와 관련된 요인을 각각 없애거나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간호 계획 및 중재가 이루어졌다.
서5 소아과 병동을 돌면서 느낀 점은 아이가 가지고 있는 무한한 발전 가능성보다 아이들 그 자체로서의 순수함과 해맑음이 너무 사랑스러웠다. 어른들, 심지어 나를 보아도 감추어진 속마음이 따로 있고 겉으로 표현하지 않는다. 하지만 아이들은 속마음이 없고, 좋으면 환하게 웃고 싫으면 울고, 자기 딴에는 속이려고 해도 다 들통 날 거짓말을 하는 아이들의 순진무구함을 보고 있으려니 나도 어렸을 적으로 돌아간 느낌이 들었다. 물론 말 안 듣는 애들을 보면 때려주고도 싶고 하지만 그래도 악의가 없기 때문에 웃음으로 넘어갈 수 있는 것 같다. 아동간호시간에 배운 그 발달단계에 맞는 행동이 보일 때면 너무 기뻤고 절대 잊지 않을 것 같았다.
아이들은 그 나름대로의 존재로서 가치가 크며, 아동은 가르쳐야만 하는 대상이 아니라 우리가 배울 점도 많은 존재인 것 같다. 이렇게 아동은 우리에게 소중하고 가치있는 존재이므로 우리는 더욱 더 아동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해하며 개개 아이들의 특성에 따라 간호를 해야 할 것이다.
- 목 차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대상 및 기간
3. 연구방법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Ⅲ. 사례연구
1. 기초자료 수집
2. 의미있는 자료
3. 간호진단
4.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Ⅳ. 결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