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환관의 직무를 잘 수행하였기 때문.
고려때 약 50년간 100여명의 고자가 헌납되었으며 조선에는 14차례에 걸쳐 약 198명이 헌 납.선발된 고자들도 공녀와 마찬가지의 혜택이 부여 되었으며 고려와 조선을 막론하고 중국 황실에서의 능력이뛰어났다. 그러나 중국황실에서 신임을 받은 이들은 칙사로써 고국에 돌 아와 중국 황제의 위력을 배경으로 고국의 국왕과 중신들에게 온갖 행패와 피해를 주었다.
12. 공녀의 영향
1) 미풍양속의 훼손 : 조혼, 예서제(데릴사위)
2) 정치, 사회적인 피해 : 공녀문제로 인해 중앙 및 지방관리들의 국사 소홀.
3) 백성들의 고통 : 자식을 보호하기 위한 부모와 처녀들의 몸부림.
4) 생활 양식 전파 : 원, 명, 청에 대해 끌려가 공녀들에 의한 생활양식 및 문화의 전파.
고려때 약 50년간 100여명의 고자가 헌납되었으며 조선에는 14차례에 걸쳐 약 198명이 헌 납.선발된 고자들도 공녀와 마찬가지의 혜택이 부여 되었으며 고려와 조선을 막론하고 중국 황실에서의 능력이뛰어났다. 그러나 중국황실에서 신임을 받은 이들은 칙사로써 고국에 돌 아와 중국 황제의 위력을 배경으로 고국의 국왕과 중신들에게 온갖 행패와 피해를 주었다.
12. 공녀의 영향
1) 미풍양속의 훼손 : 조혼, 예서제(데릴사위)
2) 정치, 사회적인 피해 : 공녀문제로 인해 중앙 및 지방관리들의 국사 소홀.
3) 백성들의 고통 : 자식을 보호하기 위한 부모와 처녀들의 몸부림.
4) 생활 양식 전파 : 원, 명, 청에 대해 끌려가 공녀들에 의한 생활양식 및 문화의 전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