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화(스타벅스 VS 월마트 )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글로벌에 성공한 기업 - Starbucks

Ⅱ. 글로벌화에 실패한 기업 - Walmart

Ⅲ. Starbucks. VS Walmart

본문내용

. 미국에서도 Banes &Noble과 제휴하여 서점에서도 커피를 팔고, United Airline과도 제휴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음.
4. Bland Image - 편안하고 휴식처 같은 분위기
- 매장안에서 classic music만을 틀어주었으나 소비자들에게 더욱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고 다양한 음악을 들려주고자 jazz 등도 틀어주게 된다. 그리고 소비자들이 그 노래를 사고싶다는 요구가 많아지자starbucks note'라는 앨범을 만들어 매장안에서 팔기도 하고 인터넷 주문도 가능하게 하였다.
1. 한국진출 토착화에 실패
- 한국의 할인점 문화에 대한 성찰 없이 거대기업이라는 대자본과 미국의 사고방식으로 진입, 그리고 진입 절차에서의 마찰로 진입부터가 위태로웠다. 한국인, 한국문화를 간과한 미국형 경영방식이 한국사회에 맞지 않았다.
2. 마케팅의 부재
- 월마트 그들의 슬로건인 ‘Everyday low price'속에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고 그만큼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하였지만 다른 한국형 할인점과의 경쟁속에서 살아남지 못함.
3. 변두리의 창고형 마켓
- 마그넷을 인수함으로 한국에 진출한 월마트는 중심이 아닌 변두리에 위치하였다. 미국에서는 시외여도 차를 몰고가 한번에 물건을 사는 미국형 사고였다. 한국형 할인점이 도심에 근접하게 자리 잡고 있어 고객들이 교외의 월마트에 쉽게 가지 못함.
4. Bland Image - 창고형 할인점
- 한국 할인점의 세미백화점형 원스탑 쇼핑문화에 익숙한 한국인에게 창고형은 거리감이 있었다. 그리고 한국 고객과 미국 고객의 할인점에서의 소비 형태 또한 달랐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6.0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6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