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주의의 극복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벌주의의 극복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학벌주의의 의미
2. 학벌주의의 원인
3. 학벌주의의 실태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학벌주의에 관한 인식과 개선 요구 조사’ 분석
(2) 학벌주의로 인한 문제점
4. 학벌주의의 순기능
5. 학벌주의 극복을 위한 대안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을 이룬다하더라도 학벌주의의 소산으로 치부되지는 않을 것이다. 즉 일부 학교가 명실상부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크게 기여한다고 자타가 공인한다면 사회에서 이를 두고 부정적인 학벌주의로만 매도하지는 않을 것이고 오히려 그 학교를 지원하고 장려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역으로, 이런 학교가 되려면 사회에 진출한 선배들이 스스로 제대로 공부하지 않는 후배를 냉정하게 배제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개인도, 출신학교도, 사회도 국가도 각기 제 역할을 제대로 해 낼 수 있다. 국가는 이러한 학교를 적극 후원함으로써 경쟁력을 키워주고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타의 모범이 되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도' 아니면 '모', '전부' 아니면 '전무', '흑'이 아니면 '백'이라는 팽팽한 평형을 이루는 접근 방법으로는 합리적이며 올바른 해결책을 도출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정반합'이라는 변증법적 논리에서 보듯, 찬반이 활발하게 논의되어야 합리적 '합'이 완성되는 것이다.
학벌주의는 타도의 대상이 아닌, 시대 변화에 따른 개선의 대상이다. 학벌이 결코 전적으로 경멸과 질시의 대상이 아닌 존중과 자극의 대상이 될 수 있어야 한다. 건전하고 합리적인 사회적 풍토 조성 또한 소홀히 해서는 안될 것이다. 학벌주의가 갖는 장단점의 분석으로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개선한다면 합리적인 학벌주의의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학벌주의가 오랫동안 대한민국 사회에 기여한 공과를 정확하게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다. '독'도 '약'이 되듯이 우리의 학벌주의가 갖는 장점적 요소가 사장되지 않고 시대 변화에 맞게 개선되어 우리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우리만의 새로운 합리적 '이즘(ism)'으로 승화시키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따라서 학벌주의 극복이라는 부정적 관점에서 출발한다면, '정반'의 토론은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따라서 '합'도 도출하기가 어렵다. 학벌주의 개선이라는 좀 더 유연한 관점에서의 문제 접근이 균형된 시각의 토의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현장교원 참여마당 홈페이지 http://madang.edunet4u.net/
시민단체 ‘학벌 없는 사회’ 홈페이지 http://goodbyehakbul.org/
교육 개혁 시민 연대 홈페이지 http://www.edungo.or.kr/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http://www.krivet.re.kr
이정규(2003), 한국사회의 학력 학벌주의, 서울: 집문당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6.04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2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