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여러 연구동향으로 본 한국인의 기원
(1)형질인류학적 측면에서 본 한국인의 기원
(2)고고학적 측면에서 본 한국인의 기원
(3)문헌상에서 본 한국인의 기원
(4)역사학적 측면에서 본 한민족체의 형성
3. 과제와 전망
2. 여러 연구동향으로 본 한국인의 기원
(1)형질인류학적 측면에서 본 한국인의 기원
(2)고고학적 측면에서 본 한국인의 기원
(3)문헌상에서 본 한국인의 기원
(4)역사학적 측면에서 본 한민족체의 형성
3. 과제와 전망
본문내용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단순한 연구방법론에서 벗어나 인간 체질의 진화과정이나 그 다양성을 살피는 등 형질인류학에서의 새로운 방법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현재까지의 논의를 정리해 볼 때 한국인의 기원 및 형성을 전파론 또는 이동설적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보다 중요한 것은 한반도 및 요동지방 자체에서 성장한 문화를 바탕으로 그 주민집단 속에서 새로이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받아 한국인 및 한국의 문화가 어떻게 발전하였는가를 살피는 것이라 하겠다.
한국인의 원형은 언어 및 영토경제생활 등이 일치된 통일된 민족국가가 등장할 때까지 끊임없이 형성되어 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인의 기원과 형성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이해는 구석기시대 이래 한반도 및 주변지역의 다양한 문화적 요소의 통합발전과정과 문화권 분포의 시간적 변화상의 정확한 추적에 연구의 초점을 맞춤으로써 자명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역사학적인 측면에서의 한민족의 형성은 하나의 민족이라는 의식이 형성되고, 영역 및 언어적으로도 일치되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따라서 삼국간의 분산된 구조가 통합된 시기에 한민족이 형성되었다는 통설에 기본적인 방향성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 문헌
장우진,『조선사람의 기원』, 사회과학출판사, 1989
백기하,『조선사람의 기원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8
김원룡,『한국민족형성과 선사시대』, 대한민국학술원, 1983
김경수,『한국민족문화의 기원연구에 대한 방법론의 비판적 검토』, 국사편찬위원회, 1984
한국역사연구회,『한국역사입문』, 풀빛, 1995
현재까지의 논의를 정리해 볼 때 한국인의 기원 및 형성을 전파론 또는 이동설적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보다 중요한 것은 한반도 및 요동지방 자체에서 성장한 문화를 바탕으로 그 주민집단 속에서 새로이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받아 한국인 및 한국의 문화가 어떻게 발전하였는가를 살피는 것이라 하겠다.
한국인의 원형은 언어 및 영토경제생활 등이 일치된 통일된 민족국가가 등장할 때까지 끊임없이 형성되어 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인의 기원과 형성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이해는 구석기시대 이래 한반도 및 주변지역의 다양한 문화적 요소의 통합발전과정과 문화권 분포의 시간적 변화상의 정확한 추적에 연구의 초점을 맞춤으로써 자명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역사학적인 측면에서의 한민족의 형성은 하나의 민족이라는 의식이 형성되고, 영역 및 언어적으로도 일치되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따라서 삼국간의 분산된 구조가 통합된 시기에 한민족이 형성되었다는 통설에 기본적인 방향성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 문헌
장우진,『조선사람의 기원』, 사회과학출판사, 1989
백기하,『조선사람의 기원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8
김원룡,『한국민족형성과 선사시대』, 대한민국학술원, 1983
김경수,『한국민족문화의 기원연구에 대한 방법론의 비판적 검토』, 국사편찬위원회, 1984
한국역사연구회,『한국역사입문』, 풀빛, 1995
추천자료
식민지 근대화론이란..
[한국고대사]부족국가에서 군장국가로가는 과정의 사회변화
고려인에 대해서
[단군신화][역사인식][단군정신][홍익인간이념]단군신화의 역사인식과 단군정신 및 홍익인간...
한국과학사를 읽고
우리도 몰랐던 한국의 힘
영어제국주의의 문제와 탈식민주의의 전략 가능성
고추 성분 조사
[민화][민화 정의][민화 종류][민화 형식구조][민화 다시점][민화와 이능화][민화와 우키요에...
우리역사의 형성과 고대국가
근대 관찬기관의 변천 - 조선사편수회를 중심으로
(일본 군국주의 통치하의) 교회의 시련과 교회의 마지막 변절
[우리말의역사] 한국어의 계통에 대한 저서나 논문을 찾아 읽고 그 내용을 요약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