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역사의 형성과 고대국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역사의 형성과 고대국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선사시대와 한민족의 기원
 1) 도구의 제작과 구석기인의 생활
 2) 토기와 간석기의 사용
 3) 농경의 시작과 신석기인의 생활
 4) 청동기의 수용과 보급
Ⅱ. 고조선의 건국과 여러나라의 성립
 1)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2) 고조선의 통치 체제와 사회 제도
 3) 부여의 건국과 발전
 4) 고구려의 성립
 5) 옥저와 동예, 삼한의 등장
Ⅲ. 철기의 보급과 사회변화

본문내용

성장할 무렵, 한반도에 옥저와 동예, 삼한이 등장하여 발전하였다. 옥저와 동예는 함경도와 강원도 북부 동해안에 있었다. 두 나라는 일찍부터 중국 군현인 낙랑군과 고구려의 지배를 받아 대군장이 없었고, 각 읍락은 급군, 삼로라고 불리는 지배자가 다스렸다.
옥저는 고구려에 소금, 생선 등의 해산물을 공물로 바쳤고, 민며느리제라는 독특한 풍습이 있었다. 동예 역시 고구려와 중국에 단궁과 과하마, 반어피 같은 특산물을 바쳤다. 해마다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고 같은 씨족기리 혼인하지 않는 족외혼의 풍습이 있었다. 또한 다른 읍락의 영역을 함부로 침범한 사람에게 소나 말, 노비를 물게 하는 책화라는 제도가 있었는데, 이를 통하여 동예 사람들이 읍락에서 공동체 생활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기원전 3-2세기경 한반도 중·남부에는 수많은 소국이 존재하였으며 이들 세력을 대표하는 진이 중국과 교역하려다가 고조선의 방해를 받기도 하였다. 고조선이 멸망한 후 철기를 소유한 고조선 사람들이 대거 남쪽으로 이주하면서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서 위치한 54개의 소국으로 이루어졌다. 진한은 대구와 경주 등 주로 경북 지역에 변한은 김해와 마산 등 주로 경남 지역에 위치하였고, 각기 12개의 소국으로 구성되었다. 그중 마한의 목지국이 가장 세력이 커서 삼한 전체를 대표하여 중국과 교류하였다.
삼한의 여러 소국은 신지, 읍차라고 불리는 지배자들이 다스렸고, 천군은 소도라는 신성한 곳에 머물며 하늘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였다. 삼한에서는 일찍부터 벼농사가 발달하였으며 봄과 가을에 씨 뿌리기와 추수를 끝내고 제천 행사를 열었다. 특히 변한에서는 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과 왜 등지에 수출하였다.
Ⅲ. 철기의 보급과 사회변화
만주와 한반도 지역에 중국으로부터 철기가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4세기경이었다. 처음에는 청동기와 함께 사용되었으나, 점차 철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청동기는 주로 제사용 의기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1세기경부터는 만주와 한반도 각지에 철기가 널리 보급되었는데 철은 단단하고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어서 칼, 창, 화살촉 등고 같은 무기를 비롯하여 도끼, 낫, 괭이 등의 농기구와 철제 화폐에 이르기가지 다양한 쓰임새로 만들어졌다.
초기 철기 시대에 철제 무기를 만들어 전투에 사용하게 되면서 부족 간의 전쟁은 더욱 빈번해졌다. 또한 철제 농기구를 만들어 사용하게 되면서 농업 기술이 발달하고 경작기의 개간이 쉬워졌다. 이에 따라 농업 생산력이 크게 늘었으며, 인구도 급격히 증가하여 사회 계층 간의 분화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시기에 만주와 한반도 북부 지역에서는 고조선의 뒤를 이어 한민족의 여러 집단들이 부족 단위로 세력을 키워가고 있었으며, 철을 잘 이용한 부족은 세력을 크게 확대하여 마침내 국가로 발전해 나갔다. 무덤 양식으로는 구덩이를 파고 나무널을 넣은 널무덤과 두 개의 항아리를 옆으로 이은 독무덤이 있으며, 토기는 민무늬 토기 이외에 입술 부분에 다양한 모양의 덧띠를 붙인 토기, 검은 간토기 등이 널리 사용되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7.30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5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