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 총론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키 총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키의 역사

1) 세계의 스키사 -3-
2) 한국의 스카사 -4-

2.. 스키의 장비

1) SKI PLATE -4-
2) BOOTS -5-
3) BINDINGS -5
4) POLES -6-

3. 스키기술

1) 넘어지는 법과 일어서는 법 -6-
2) 오르는 법 -7-
3) 방향 전환 -8-
4) 활강 자세 -9-
5) 플르그 보겐(Pflug bogen) -10-
6) 슈템 턴(Stem Turn) -11-
7) 패럴렐 턴(Parallel Turn) -12-

4. 스키의 관리 -14-

5. 스키장에서 지켜야 할 매너 -15-

6. 안전수칙 및 부상방지 요령 -17-

7. 스키의 종류 -17-

8. 스키의 경기 규칙◆ -19-

9. 참고문헌◆ -25-

본문내용

수권대회는 30초 간격 1인 출발 방식이 의무적이다. TD는 출발시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출발원이 출발 신호를 주기까지 선수는 출발선 뒤에 양발을 정지시킨 채 있어야 하며 폴은 출발선이나 기문선 너머에 정지 상태로 갖고 있어야 한다.
19) 출발번호◆
계주 조별 출발번호는 각기 다른 색상을 사용해야 한다.
동계올림픽, 세계선수권, 월드컵 경기는
- 1조: 적색
- 2조: 녹색
- 3조: 황색
- 4조: 청색등이다.
20) 출발순서◆
참가한 선수의 분류는 심판이 한다. 분류소위원에서 작성한 FIS 점수기록에 의하여 선수를 분류하며 FIS 점수는 있으나 최초집계에 등재되지 않은 선수는 FIS점수가 없는 선수와 같이 분류하여야 한다. 모든 의문점이 있을 경우에는 심판이 결정한다. 모든 알파인 경기의 출발순서는 FIS 점수(활강, 회전, 대회전 및 초대회전) 순으로 결정되며 상위 15명의 최상급 선수는 국적에 관계없이 선두그룹의 추첨을 하여야 한다. 15위가 동률일 경우 그만큼 선두그룹의 선수 수를 늘릴 수 있다. 나머지 선수는 점수순으로 순위가 정해지며 FIS 점수가 없는 선수들은 마지막 그룹으로서 추첨을 한 다. 15명의 선수 간 점수가 너무 크면 선두그룹의 선수수를 심판이 조정하여야 하며 그 나머지 선수는 점수 순위로 한다.
심판은 코스사정에 따라 출발순서를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추첨은 경기전날 실시해야 되며 야간경기는 늦어도 경기당일 오전까지는 실시해야 한다.
- 2 차전 출발순서
2차전을 갖는 경기에서의 출발순서는 상위 15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1차전 결과 에 의하여 결정한다.(소년부 예외) 상위 15명의 출발순서는 다음과 같다.
* 일차전 결과의 15위: 1번 출발
* 일차전 결과의 14위: 2번 출발
* 일차전 결과의 13위: 3번 출발
* 일차전 결과의 12위: 4번 출발
* 일차전 결과의 1위: 15번
- 출발
2차전 16위 이후는 1차전 결과의 순위와 같다. 15위의 동률이 생기면 낮은 번호선 수를 2차전 1번으로 한다. 만일 첫번째 그룹이 15명 이하의 선수로 구성되었을 경 우에는 2차전에 있어 동일 인원수로 유보될 것이다.
21)◆크로스컨트리◆
스키장비를 갖추고 장거리를 이동하는 경기이며 주법에는 클래식주법과 프리기법이 있 다. 종목별로 5km, 10km, 15km, 30km, 50km의 경기가 있으며 4명이 하는 계주경기가 있다. 계주경기의 출발순서는 추첨을 통해 이루어지고 다음선수는 추첨된 번호표다음 번호가 된다. 코스이탈이나 클래식종목에서 주법을 마치 프리스타일 주법으로 동작하는 경우나 경기 중 주어진 관문을 통과하지 않고 경기에 임하는 경우는 심판진에 의해 실격이 된다.
①- 클래식 주법: 정해진 주로를 전후동작으로 실시함. 마치 빠른걸음 으로 움직이는 것과 같은 동작
②- 프리 기법: 양다리를 좌우로 지치면서 앞으로 전진 하는 종목으로 클래식 주법 보다 속도가 빠르다.
9. 참고문헌◆
내용출처 : [기타] 인터넷 : http://ski.sports.or.kr/
내용출처 : [인터넷] http://www.skipage.co.kr/
스키 콘래드 바텔스키 외 하서출판사 1996년
스키 추건이. 오수학 지음 무지개 펴냄 2004년
< 수. 고. 하. 셨. 습. 니 .다. >
< 별 주 - 스키연혁>
시대사
1060 년 노르웨이왕(Harald)과 스키어(Aslakson)가 스키 경주를 했다는 최초의 기록이 보인다.
1200 년 노르웨이역사에 스키가 등장하기 시작.
1483 년 러시아군대가 스키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525 년 노르웨이 우편 배달부가 스키를 사용.
1733 년 Jens Henrik Emahusen에 의해 노르웨이 군대 스키규정집 발간>
1850 년 대는 미국과 유럽북부에서 스키가 대중화 되어 가는시대>
1854 년 미국에서 스키공장이 세계최초로 대량생산하기 시작>
1860 년 미국 캘리포니아 Johnsonville에서 컨베이너에 의한 체어리프트가 최초로 시설됨>
1861 년 세계최초의 스키클럽이 호주에서 결성됨>
1867 년 미국 최초의 스키클럽이 캘리포니아 La Porte에서 결성됨>
1872 년 러시아사람이 함경북도에서 스키를 탔다는 기록이 있음.
1888 년 Fridtjot Nansen이 이끄는 6명의 탐험대가 스키로 그린랜드 남쪽지역 횡단에 성공.
1896 년 Matis Zdarsky가 스키기술책자를 발간
1904 년 유럽의 최고봉 몽블랑(해발 4,807미터)까지 스키등산을 하였다.
1912 년 원산에 거주하였던 덴마크인이 스키를 탔다는 기록이있다.
1923 년 일본인들에 의해 스키가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에 소개가 되었다.
1924 년 제1회 동계올림픽 경기가 프랑스 샤모니에서 개최
1926 년 원산에 신풍스키장이 개장
1929 년 원산신풍스키장에서 스키대회가 처음으로 개치됨
1932 년 로프토우 장치를 Alex Foster(캐나다)개발
1933 년 금속바인딩을 Adolpe Attenhofer가 개발
1934 년 스위스인이 세계최초로 티바를 발명
1936 년 체어리프트 등장
1938 년 스키부츠가 새로운 모습으로 개발되오지는 시대(부츠의 목이 길어지고 발목을지지)
1939 년 자동탈착이 가능한 안전바인딩 개발
1951 년 제1회 인터스키대회(International ski school congress)가 오스트리아에서 개최됨
1955 년 부츠에 버클을 채택하여 벗고 신기에 편한한 스키가 등방
1957 년 알류니늄 스키폴이 Scott회사에 의해 시판됨
1958 년 대한 스키협회가 FIS에 정식으로 가입
1960 년 한국 스키선수단이 처음으로 동계올림픽에 출전(미국 캘리포니아의 Squaw Valley)
1963 년 프라스킥 스키부츠의 등장(Lange)
1967 년 제1회 월드컵 경기 개최
1968 년 동계올림픽에서 최초의 3관왕 탄생(Jean Claud Killy, 프랑스)
1970 년 모노스키(Mono Ski)등장
1979 년 세계최초의 8인승 체어리프트가 미국에 설치됨
1990 년 스키박물관이 알프스스키장내에 개관

키워드

스키,   역사,   장비,   관리,   기술,   종류,   안전수칙,   경기규칙
  • 가격3,3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5.06.08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2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