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의미,사용,이해,규칙준수
2.2. 규칙준수의 역설
2.3. 역설에 대한 일반적 대안과 그 비판
2.3.2. 비판 1 - 의미함은 정신적인 활동이 아니다.
2.3.3. 비판 2 - 이해는 정신적 상태가 아니다.
2.3.4. 의미(의미함)와 이해에 대한 새로운 환상
2.4. 역설에 대한 답변
2.4.1. 규칙준수, 관습, 공동체, 행위.
2.4.2. 의미(의미함)와 이해에 대한 답변과 사적언어의 불가능성
3. 의미와 사적언어
4. 맺음말
2. 의미,사용,이해,규칙준수
2.2. 규칙준수의 역설
2.3. 역설에 대한 일반적 대안과 그 비판
2.3.2. 비판 1 - 의미함은 정신적인 활동이 아니다.
2.3.3. 비판 2 - 이해는 정신적 상태가 아니다.
2.3.4. 의미(의미함)와 이해에 대한 새로운 환상
2.4. 역설에 대한 답변
2.4.1. 규칙준수, 관습, 공동체, 행위.
2.4.2. 의미(의미함)와 이해에 대한 답변과 사적언어의 불가능성
3. 의미와 사적언어
4. 맺음말
본문내용
그러므로 언어는 예시적정의에 의해서만은 그 의미가 결정될수 없다. 따라서 (2)는 성립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비트겐슈타인이 이미 (2)의 성립가능성을 부정했으므로, 이제 사적언어의 가능성은 완전히 부정된 것 아닌가? 아직 그렇지는 않다.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보았듯이, 어떤 사람이 예시적 정의를 함으로써 사적언어의 의미를 결정할수 있기 위해서는 사적언어가 어떤 언어놀이에서 사용될수 있는 역할, 즉 사적언어의 쓰임이 전제되어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그는 사적언어를 사용하는 규칙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여기서 사례 A를 옹호하는 이는 다시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펼수 있다. 개인이 그러한 규칙을 가질수는 없는가? 개인이 사적으로 규칙을 만들고 사적으로 그것을 준수하면 되지 않겠는가? 만약 (3) 개인은 규칙을 사적으로 준수할수 있다.
라는 조건이 성립된다면,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는 (2') 언어는 예시적 정의를 통해 그 의미가 결정될수 있다. 라고 말할수 있으며, 그렇다면 사적언어는 가능할수 있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사적언어의 불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3)을 부정할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의미, 이해, 사용, 규칙준수에 대한 앞서의 논의에서 이미 (3)이 성립할수 없음을 보았다. 그러므로 우리는 (3)을 인정할수 없으며 이에 따라 (2')도 인정할수 없다. 결국 사적언어는 원리적으로도 가능하지 않은 것이다.
4. 맺음말
지금까지 우리는 사적언어의 불가능성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을 의미에 대한 그의 전반적인 입장의 맥락속에 위치시켜서 알아보았다. {철학적 탐구}의 서문에서 스스로 밝히고 있는 것처럼,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는 "사고의 광대한 들판을 모든 각각의 방향으로 이리저리 여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그가 제시하는 어떤 특정한 철학적 문제는 늘 그의 전체적인 철학적 입장의 맥락속에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앞에서 보았듯이, 사적언어의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의미의 문제, 이해의 문제, 정신적 상태의 본성의 문제, 수학에서의 필연성의 문제등과 같이 언어철학, 심리철학, 수리철학의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대략적으로나마 언급하여야만 했다. 이 모든 문제들에 대해서 좀더 자세한 논의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다만 사적언어의 불가능성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을 뒷받침해주는 여러 논의들의 내적인 체계와 그들 사이의 연관성을 좀더 선명하게 드러내보이려고 하는데에 있었으며,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그러한 드러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면 본 논문의 목적은 이미 충분히 달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참 고 문 헌
1. 비트겐슈타인의 저작
비트겐슈타인, 이영철 옮김, {확실성에 관하여}, 서광사, 1991.
____________, ___________, {문화와 가치}, 천지, 1990.
Wittgenstein,L., Blue and Brown Books, Basil Blackwell, 1958.
_______________, tr.by Anscombe,G.E.M.,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asil Blackwell, 1958.
_______________,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Suhrkamp, 1970.
______________, Zettel,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7.
2. 2차 문헌
퍼트남, 김영정 옮김, {표상과 실재}, 이대출판부, 1992.
피처, 박영식 올김,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서광사, 1987.
Ayer,A.J., "Can There Be a Private Language?", in Philosophy of Language, ed. by Martinich,A.P., Oxford University Press, 1985.
Castaneda, H.N., "Private Language Problem", in Encyclopedia of Philosophy, ed., by Edwards,P., Macmilla, 1967.
Churchland, P., Matter and Consciousness, MIT Press, 1984.
Cook, J., "Wittgenstein on Privacy", in Philosophy of Language, ed. by Martinich,A.P., Oxford Univesty, 1985.
Dancy, J.,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Epistemology, Basil Blackwell, 1985.
Fogelin,R., Wittgenstein, Routledge & Kegan Paul, 1987.
Goldfarb,W., "Kripke on Wittgestein on Rules.", in Journal of Philosophy, 1985.
Hacker,P.M.S. and Baker,G.P., An Analytic Commentary on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vestigation, Basil Blackwell, 1992.
__________________________ , Meaning and Understanding, Basil Blackwell, 1992.
Kripke, S., Wittgenstein on Rules and Private Language, Havard University, 1982.
Malcolm, B., Wittgenstein's Philosophy of Psychology, Routledge, 1989.
Rhees, R., "Can There Be a Private Language?", in Ludwig Wittgenstein: Critical Assessment, Vol.II, ed. by Shanker,S., Crook Helm, 1986.
Tait, W.W., "Wittgenstein and the Skeptical paradoxes.", in The Journal of Philosophy, 1986.
그렇다면 비트겐슈타인이 이미 (2)의 성립가능성을 부정했으므로, 이제 사적언어의 가능성은 완전히 부정된 것 아닌가? 아직 그렇지는 않다.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보았듯이, 어떤 사람이 예시적 정의를 함으로써 사적언어의 의미를 결정할수 있기 위해서는 사적언어가 어떤 언어놀이에서 사용될수 있는 역할, 즉 사적언어의 쓰임이 전제되어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그는 사적언어를 사용하는 규칙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여기서 사례 A를 옹호하는 이는 다시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펼수 있다. 개인이 그러한 규칙을 가질수는 없는가? 개인이 사적으로 규칙을 만들고 사적으로 그것을 준수하면 되지 않겠는가? 만약 (3) 개인은 규칙을 사적으로 준수할수 있다.
라는 조건이 성립된다면,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는 (2') 언어는 예시적 정의를 통해 그 의미가 결정될수 있다. 라고 말할수 있으며, 그렇다면 사적언어는 가능할수 있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사적언어의 불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3)을 부정할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의미, 이해, 사용, 규칙준수에 대한 앞서의 논의에서 이미 (3)이 성립할수 없음을 보았다. 그러므로 우리는 (3)을 인정할수 없으며 이에 따라 (2')도 인정할수 없다. 결국 사적언어는 원리적으로도 가능하지 않은 것이다.
4. 맺음말
지금까지 우리는 사적언어의 불가능성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을 의미에 대한 그의 전반적인 입장의 맥락속에 위치시켜서 알아보았다. {철학적 탐구}의 서문에서 스스로 밝히고 있는 것처럼,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는 "사고의 광대한 들판을 모든 각각의 방향으로 이리저리 여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그가 제시하는 어떤 특정한 철학적 문제는 늘 그의 전체적인 철학적 입장의 맥락속에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앞에서 보았듯이, 사적언어의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의미의 문제, 이해의 문제, 정신적 상태의 본성의 문제, 수학에서의 필연성의 문제등과 같이 언어철학, 심리철학, 수리철학의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대략적으로나마 언급하여야만 했다. 이 모든 문제들에 대해서 좀더 자세한 논의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다만 사적언어의 불가능성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을 뒷받침해주는 여러 논의들의 내적인 체계와 그들 사이의 연관성을 좀더 선명하게 드러내보이려고 하는데에 있었으며,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그러한 드러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면 본 논문의 목적은 이미 충분히 달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참 고 문 헌
1. 비트겐슈타인의 저작
비트겐슈타인, 이영철 옮김, {확실성에 관하여}, 서광사, 1991.
____________, ___________, {문화와 가치}, 천지, 1990.
Wittgenstein,L., Blue and Brown Books, Basil Blackwell, 1958.
_______________, tr.by Anscombe,G.E.M.,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asil Blackwell, 1958.
_______________,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Suhrkamp, 1970.
______________, Zettel,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7.
2. 2차 문헌
퍼트남, 김영정 옮김, {표상과 실재}, 이대출판부, 1992.
피처, 박영식 올김,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서광사, 1987.
Ayer,A.J., "Can There Be a Private Language?", in Philosophy of Language, ed. by Martinich,A.P., Oxford University Press, 1985.
Castaneda, H.N., "Private Language Problem", in Encyclopedia of Philosophy, ed., by Edwards,P., Macmilla, 1967.
Churchland, P., Matter and Consciousness, MIT Press, 1984.
Cook, J., "Wittgenstein on Privacy", in Philosophy of Language, ed. by Martinich,A.P., Oxford Univesty, 1985.
Dancy, J.,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Epistemology, Basil Blackwell, 1985.
Fogelin,R., Wittgenstein, Routledge & Kegan Paul, 1987.
Goldfarb,W., "Kripke on Wittgestein on Rules.", in Journal of Philosophy, 1985.
Hacker,P.M.S. and Baker,G.P., An Analytic Commentary on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vestigation, Basil Blackwell, 1992.
__________________________ , Meaning and Understanding, Basil Blackwell, 1992.
Kripke, S., Wittgenstein on Rules and Private Language, Havard University, 1982.
Malcolm, B., Wittgenstein's Philosophy of Psychology, Routledge, 1989.
Rhees, R., "Can There Be a Private Language?", in Ludwig Wittgenstein: Critical Assessment, Vol.II, ed. by Shanker,S., Crook Helm, 1986.
Tait, W.W., "Wittgenstein and the Skeptical paradoxes.", in The Journal of Philosophy,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