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섬유판 (纖維板 fiber board)
1)섬유판의 특징
2)섬유판의 종류
2.집성재 (集成材 laminated wood)
3.파티클보드 (particleboard)
4.합판 (合板 plywood)
1)합판의 종류
2)합판의 특성
3)합판의 이용
4)합판 제조의 역사
5.삭편판(particleboard)
6.플로어링 (flooring)
1)섬유판의 특징
2)섬유판의 종류
2.집성재 (集成材 laminated wood)
3.파티클보드 (particleboard)
4.합판 (合板 plywood)
1)합판의 종류
2)합판의 특성
3)합판의 이용
4)합판 제조의 역사
5.삭편판(particleboard)
6.플로어링 (flooring)
본문내용
써 차음성,내균성및 내화성이 필요한 곳에 주로 사용. 외벽,지붕용 덱크등으로 많이 사용. 플레이크와 시멘트를 결합시켜 제조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제품은 문,마루,칸막이,내력벽,외장용 비늘판(siding)등의 용도로 사용
6.플로어링 (flooring)
합판 파티클보드 등 목질 재료에 표면가공 개탕치기(끼워서 가로 세로로 연결시키기 위한 요철가공) 등 가공을 한 널판지의 총칭. 플로어링은 단층(單層)플로어링 복합플로어링으로 구별되며, 형상과 표면가공에 따라 여러 제품이 있다. 단층플로어링은 구성층이 하나인 플로어링으로 장선(長線) 위에 대어서 사용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플로어링보드, 정사각형 널판이나 단판(單板) 등의 판을 늘어놓고 마루를 형성하는 플로어링보드, 또 널판 단판의 작은 조각(가장 긴 변이 22.5㎝ 이하)을 많이 늘어놓고 종이를 사용하여 짜맞춘 모자이크 패킷이 있다. 졸참나무 너도밤나무 노송나무 아피톤재 등이 쓰인다. 복합플로어링은 합판을 기재(基材)로 하여 그 위에 천연목화장단판(化粧單板) 또는 화장인쇄지 등을 맞붙인 것이다. 뒤의 것에서는 보통 합성수지로 표면처리한다. 생활양식이 문화화되어 의장(意匠)한 복합플로어링이 늘고 있다.
Y
6.플로어링 (flooring)
합판 파티클보드 등 목질 재료에 표면가공 개탕치기(끼워서 가로 세로로 연결시키기 위한 요철가공) 등 가공을 한 널판지의 총칭. 플로어링은 단층(單層)플로어링 복합플로어링으로 구별되며, 형상과 표면가공에 따라 여러 제품이 있다. 단층플로어링은 구성층이 하나인 플로어링으로 장선(長線) 위에 대어서 사용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플로어링보드, 정사각형 널판이나 단판(單板) 등의 판을 늘어놓고 마루를 형성하는 플로어링보드, 또 널판 단판의 작은 조각(가장 긴 변이 22.5㎝ 이하)을 많이 늘어놓고 종이를 사용하여 짜맞춘 모자이크 패킷이 있다. 졸참나무 너도밤나무 노송나무 아피톤재 등이 쓰인다. 복합플로어링은 합판을 기재(基材)로 하여 그 위에 천연목화장단판(化粧單板) 또는 화장인쇄지 등을 맞붙인 것이다. 뒤의 것에서는 보통 합성수지로 표면처리한다. 생활양식이 문화화되어 의장(意匠)한 복합플로어링이 늘고 있다.
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