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개혁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교개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547 아우구스부르크 잠정안 p.240.
트렌트공의회(1545-1562)가 교황중심의 공의회여서 개신교가 거부하자, 황제는 차후 에 일반 공의회를 열어 종교문제를 행결하기가지 잠정적인 해결책을 제시한 것.
율리우수 풀룩, 소토, 말벤다, 아그리콜라가 참여하여 작성했다.
1548, 6. 30. 개신교가 이것을 수락.
아우스부르크 잠정안
신교의 요구(사제의 혼인, 양종성찬) 예배의식과 교리(구교의 교리 26항목)
- 하지만, 카톨릭 귀족들 잠정안 거부
- 라이프치히 잠정안 견진과 서품이 채택되었고, 미사에 대한 가톨릭 의식뿐만 아니라, 예수 성체일이 허락되었다. 그러나 개신교 교리의 기본 입장은 고수되었다.
아디아포라 논쟁
라이프치이 잠정안이 중간적이며 일종의 타협안이라고 생각하여 개신교 내부에서 일어난 논쟁 강경파(플라키우스)와 온건파(멜란히톤)으로 나뉜다.
5) 아우스부르크 종교평화(1555)와 지역적 교파화
잠정안을 거부하는 개신교인들
작센의 모리츠 - 칼5세에게 협조하여 선제후 직위는 얻었으나, 선제후령 전체는 얻지 못하자 불만을 품었고, 신하들로부터도 개신교측을 배신하여 마이센의 유다라고 탄핵을 당했기에 칼5세기에게 다시 저항을 한 것이다. / 칼5세에 반대하여 개신교의 협력을 찾던 프랑스의 앙리2세와 협상체결 후 힘을 증폭시킴.
1552 파사우 협약
필립의 석방, 잠정안의 폐지, 영구적 종교평화 요구
1553 칼5세: 프랑스 메츠 공격, 실패 후 독일 떠남, 그 후의 일들은 페르디나트에게 위임
.....
1555 아우구스부르크 평화조약 체결
선교는 황제는 제후들로부터 종교평화를 깨는 전쟁에 참여하도록 강요당할 수 없다.
제국 귀족들은 자유로운 선택으로 종교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 지역이 곧 그의 종교" - 지역적으로 제한 된 종교 평화 안이다. 이것으로 인해 유 럽 전역에 30년 전쟁이 일어나게 된다.
12/6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스코틀랜드는 영국과 오랫동안 적대관계
영국의 헨리7세가 화친시도-딸 마가렛을....
헨리8세 때부터 양국의 관계 다시 악화
-독일이 교황의 주도하에 신성동맹을 결성하여 프랑스에 대항하자, 헨리8세도 신성동맹에 가입했고, 매형인 스코틀랜드의 제임스4세를 난처하게 만들었다.
1513 분노한 제임스4세- 세와 전쟁, 플로든 전투에서 제임스4세 사망.
1513 제임스4세 즉위(생후 월
존 낙스의 생애
청년기(1549년까지)
영국과 제네바에서의 낙스(49-54,54-59)
스코틀랜드에서의 낙스
1546 "스코트랜드 종교개혁사"
- 이책은 조지 위셜트의 로디언 방문과 체포 그리고 그의 처형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1549-1554년 까지...
제네바에서 온 낙스는 칼빈의 종교개혁을 접한다.
사도시대 이후 지상에서 가장 완벽한 그리스도의 학교라고 칼빈이 종교개혁을 극찬한다.
55,56년 스코틀랜드 방문, 당시 스코틀랜드는 기즈가의 메리가 통치했다. 그녀는 영국의 피의 메리와는 달리...
1558 "괴물같은 여성통치에 대한 첫 번째 나팔소리"
- 피의 메리가 통치하는 영국, 기즈의 메리가 통치하는 스코틀랜다 모두 낙스에게는 비정상적인 국가였다.
- 여자들의 지배는 자연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뜻과 유법에 역행하는 것이다.
1559-1572년까지...
영국군의 도움으로 프랑스인 추방, 의회가 설립
의회는 교황의 사법부를 제거하고 미사를 금지했다.
낙스-에딘버러 뮌스터 교회의 목사로 선출
개혁의 문제로 여왕과 갈등에 빠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던 악한 시대의 원인을 많은 사람이 하나님 말씀의 순수함에서 이탈하여 세상을 따르고, 마귀와 우상숭배를 허용한데서 찾았다.
1572.11.24. 엔딘버러에서 사망.
"세상이 나에게 진저리가 나듯이, 나 역시 세상이 진저리가 난다"
1560(절정) 에딘버러 조약 체결
반종교개혁
1546.2/18 루터의 죽음
황제는 작센과 헤센에 슈말칼텐 전쟁 선포.
-황제 칼5세와 교황 바울3세와 동맹을 맺고, 프로테스탄트와 전쟁을 하게 된다.
-교황 바울 3세 트렌트 공의회 소집
성서와 전통이 동등한 권위를 가지고 있다.
로마교회가 성서를 해석할 수 있는 유일한 권리를 갖고 있다.(교황권위, 성서해석권리)
틀랜트공의회가 3차례 열림
1545-1547 : 1546년에 루터가 죽음
1551-1552
1562-1563
30년 전쟁과 베스트팔렌 조약
배경;
-서유럽에 활발했던 칼빈주의, 아우구스부르크 협약이 미결인채 방치했던 칼빈주의와 성직유보조항.
-카톨릭은 트리엔트 공의회등 일련의 자정노력으로 잃었던 가톨릭 지역을 점차 회복했고, 종교적 갈등도 점차 빈번해졌다.
(1618-1648)
종교의 분열은 교육의 강화를 가져왔다. - 대학 신설 붐
개신교대학
가톨릭대학
라인란트 팔츠 지역- 칼빈주의가 가장 활발
루터 사후 증가일로에 있는 가톨릭세력과 때를 같이하여 확대되고 있는 칼빈주의의 대립은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1606 도나우뵈르트(최초의 충돌) 이 도시에서 유일한 가톨릭인 하일리 히크로이 수도원이 축제 후 행진하자, 개신교가 투석함.
카톨릭이 접수를 하자 개신교의 철구를 요구한다.(개신교동맹결성1608)
가톨릭 재산의 요구....
1)보헤미아-팔츠전
-보헤미아 후스파 교인들 -16세기 후반부터 칼빈주의 수용.
-루돌프2세의 동생 마티아스가 신성로마제국의 황제가 되면서 칼빈주의 박해. 형이 보헤미아 사람들에게 인정했던....
클로스터그랍과 브라우나우에 있는 개신교회 철거(무력충돌원인제공) - 사신들 두사람 파견(마르티니츠와 슬라바타 파견) 두 시신을 창 밖을 던짐(무력충돌 가시화)
2)1625-1629덴마크의 개입
-보헤미아 개신교 붕괴소식을 들은 데마크왕 크리스챤 4세(1588-1648) 개입
(페르디나트2세 - 크리스챤 4세)
3)1630-1635 스웨덴의 개입
4)1638-1648 스웨덴-프랑스전쟁
-1637년 페르디난트 2세 사망,
- 책 참고... 평화조약 내용...
이러한 평화조약등을 통해서...
1.네덜란드와 스위스가 신성로마제국에서 독립하여 민족국가 형성.
2.유럽내 칼빈주의 종교의 자유 획득.
종교전쟁은 정통신앙에 대한 회의와 합리주의 신앙에 빠져드는 부정적 결과도 초래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06.12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9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