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자아 발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의 자아 발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람은 개인적 욕구나 안위 가 주관심이 되는 자기 도취의 상태에 빠진다. 이들은 자기 탐익을 위한 것을 제외하고는 누구에게도 무엇에 대해 서도 관여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여기에서 침체성이 나타난다. 생산성이 결여된 사람들은 사회의 일원으로서 생산적으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일신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사 는 것이 되며, 인간관계는 황폐된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잘 아는 "중년기 위기", 즉 절망 과 인생이 무의미하다는 느낌이다.
3. 결론
생애주기의 마지막 단계(65 세 이후)인 자아통합 대 절망감(integrity vs despair)은 인간 이자신의 거의 완성적 노력과 성취에 대해서 반성하는 시가이다. 실제로 모든 문화에서 이 시기는 흔히 여러 가지 요구에 포위된 노년기의 시작을 암시한다. 그들은 체력과 건강의 악화에 대해 적응해야 하고, 배우자와 친구들의 죽 음, 특히 직장으로부터의 은퇴는 수입 의 상실과 함께 사회로부터의 “쓸모없는 인간”이라는 심리적 갈등으로 상처를 입게 된 다. 이러한 갈등을 겪으면서 그들은 점 차 젊은 날의 미래에 대한 꿈으로부터 과거에 대한 회상으로 옮아간다. 작가들은 때로 노년기가 내적인 지혜를 얻어 자아를 통합하는 시기로 묘사하지 만, 그보다는 신체적 쇠퇴와 사회로부터의 신분의 반환에 대한 심리적 갈등에 대 한적응을 위해 고통받는 시기가 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에릭슨에 의하면 성 인의 이 마지 막 단계의 특징은 새로운 심리 · 사회적 위기의 출현보 다는 오히려 자아발달의 전 7 단계의 종합, 통합 그리고 평가로 나타난다. 따라서 자아통 합은 결혼, 자녀, 직업, 취미 등을 위시하여 모든 관점에서자신의 인생을 돌이켜보고 겸허 하게 그러나 확고하게 “나는 만족스럽다”라고 확산하는데서 생긴다. 이들에게 죽음은 두 려운 것이 아닌데, 이는 자신의 존재가 후손이나 창조적 업적을 통해서 계속된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에릭슨은 만일 개인이 천부적인 지혜를 타고났다면 오직 노년기에 와서 비로소 진정한 성숙과 실질적인의미의 ‘노년의 지혜’가 실현되리라고 믿고 있다. 이 실 현의 의미는 마슬로가 말하는 자기실현의 욕구가 성취된 경지로 묘사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자신의 인생을 실패의 연속이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이 들은 황혼기 에서 이제 다시 시작하기에는 너무 늦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자아통합의 결여나 상실은 죽 음에 대한 감추어진 두려움, 되돌릴 수 없는 실패, 희망했던 것에 대한 끊임없는 미련으로 나타난다. 이것이 절망감이다. 에릭슨은 인생의 쓴맛 과 혐오를 느끼는 노인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뚜렷한 기분을 갖게 된다고 하는데 첫째는 인생이란 다시 살 수 없다는 후회와, 두 번째는 자신의 부족함과 결함을 외부세계로 투사(projection) 함으로써 그것을 부인하 는 것이다. 노년기의 심한 절망감과 후회는 노인성 정신병, 우울증, 히포콘드리아증을 앓 기 쉬우며, 매우 심술궂고 과대망상의 증상을 초래한다고 한다. 이러한 사람은 노인수용시 설에 가는 것을 죽음을 기다리는 장소로 생각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6.12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0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