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 세대감독 <장예모와 첸카이거>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제 5 세대감독’이란 누구인가?

2. ‘장 예 모’
1) 장 예 모
2) 장 예 모 의 대 표 작

3. ‘첸 카 이 거’
1) 첸 카 이 거
2) 첸 카 이 거 의 대 표 작

4. ‘장예모’ VS '첸카이거‘ : 동반자이자 라이벌

5. ‘장예모’와 ‘첸카이거’ 영화의 영향

6. ‘장예모’와 ‘첸카이거’이 변화

7. 사회와 영화, 그 속에서의 장예모와 첸카이거

본문내용


2) 첸 카 이 거
첸 카이거는 장예모와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모습으로 출발하지만 다른 행보를 보이며 지금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초기에 장예모보다 조금 먼저 세계에 주목을 받으며 장예모와 비슷하게 정치적으로 민감한 현안을 우회하여 소재로 쓰거나, 현대 중국의 모순과 혼돈을 포착한 리얼리즘적 연출관으로 당국의 상영금지 조처를 받게 되고, 그로인해 대부분 그의 작품들이 중국인민들에게 알려지지 못하는 불운으로 겪어왔다. 그는 장예모가 촬영한 데뷔작 ‘황토지’로 1984년 로카르노 영화제 은표범상을 받으며 중국영화의 만개를 알렸다. ‘황토지’와 ‘대열병’ 등 첸카이거의 초기작들은 장예모의 초기작들과 비슷한 시기를 다루며 역사적 비판의식을 가지고 이야기 하고 있지만 조금은 더 현실의 편에서 영화를 이야기 하고 있었다.
첸카이거는 장예모가 현실에 눈을 돌릴 무렵 ‘현 위의 인생’을 기점으로 오리엔탈리즘에 빠져들며 형식과 비쥬얼에 조금씩 집중하고 주제에 밀착하는 스타일의 영화를 창조해내기 시작한다. ‘현 위의 인생은’ 물질만능주의의 현대 중국인들의 현실을 장님 예술인을 통해 은유적으로 조명한 작품이다.
그의 최고작품으로 우리나라에도 너무나 잘 알려진 ‘패왕별희’는 경극을 소재로 중국 현대사의 우여곡절을 러브 코드에 담은 영화로 스타일 면에서 독창성이 넘친다. 예술가로서의 삶, 개인의 과거현재미래로의 연결로 탐방, 중국 역사 문화에 대한 심도 깊은 사색의 장을 열어 준 작품이다. 이 작품은 비쥬얼에 치중하면서 중국적인 아름다움과 역사, 인간 군상들의 아픔을 완벽한 화면으로 세계화시킨 작품이다. 그러나 ‘패왕별희’는 1993년 칸영화제에서 황금 종려상을 받으면서 세계의 주목을 받았음에도 중화인민공화국의 치부를 드러냈다는 이유로 중국에서는 상영이 금지되었다.
2002년에 개봉한 ‘투게더’에서 처음으로 그는 영화의 배경을 현대 중국으로 설정한다. 그는 그만큼 관객들과 멀리 있었던 것이다. 그가 처음으로 관객과의 소통을 시도한, 그의 첫 번째 상업영화 ‘투게더’ 는 바이올린 천재 아들과 그 아들을 바이올리니스트로 대성 시키려는 농촌 출신의 가난한 요리사 아버지의 베이징 상경기이다. 가난 속에서도 아들이라는 희망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아버지의 꿈을 그린 휴먼드라마이다. 영화가 아닌 현실에서 현재의 중국은 큰 변혁의 과정에 있다.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가치관의 혼돈 속에서 행복과 성공의 의미는 인간의 선택일 수밖에 없다. 이번 영화는 부와 명예가 반드시 행복의 조건이 아님을 보여주려 한 것이다. 통속적 스토리를 따뜻한 시선으로 담아 리얼리티를 확보한 ‘투게더’는 등장인물들의 캐릭터와 바이올린의 음률이 완벽한 하모니를 이룬다. 작가주의를 견지하던 첸 카이거의 대중성 확보시도는 전작들과 비교해 볼 때 파격적 변신이다. 그렇지만 상업영화로의 진출을 ‘변절’이라고 몰아 세울만한 징후는 크게 보이지 않는다. 명예와 행복을 보장하는 길을 버리고 아버지와의 작은 행복을 택한 라스트 씬 에서 우리는 감독의 메시지를 읽을 수 있는 것이다
7. 사회와 영화, 그 속에서의 장예모와 첸카이거
사회주의 국가 중국에서 영화를 만든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중국은 문화 코드를 정치적인 목적으로 이용하기를 원했고 실제로 그렇게 해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장에모가 어떤 선택을 하고 있는지는 너무도 자명하다. 그는 이제 중국 사회에서 탄압을 받던 자리에서 내려와 오히려 지원을 받는 자리에 올라섬으로써 권력의 요구에 부응하기 시작하고 있다. 장예모의 이러한 뚜렷한 변화에 비해 첸카이거에게서는 이렇다 할 변화를 찾기는 힘들다. 물론 중국의 과거사, 특히 문화대혁명에 대해 주로 비판을 해오던 그 동안의 영화에서 벗어나 현대로 눈을 돌린 영화 ‘투게더’를 통해 상업영화에 도전했다는 것은 그도 역시 변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장예모처럼 권력의 요구에 부응하는 뚜렷한 변화는 아니며 그런 면에서 그의 차기작 ‘무극’은 더욱더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무협영화 ‘영웅’과 ‘인연’을 통해 확실한 노선 변화를 보여준 장에모와 같이 첸카이거 역시 무협영화라는 소재를 통해 장예모의 뒤를 따를 것인지, 아니면 그 동안 자신이 걸어왔던 길을 버리지 않을 것인지 가늠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참 고 문 헌
임 대 근 <중국영화 이야기>
이 종 희 <중국 영화의 어제, 오늘, 내일>
김 정 욱 <차이나 시네마>
황 진 자 <중국영화사>
www.nkino.com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6.1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1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