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본문
1. Fact
2. Theme
3. Literary devices
4. 소설사적 위치
결론
본문
1. Fact
2. Theme
3. Literary devices
4. 소설사적 위치
결론
본문내용
근대 한국 농민사를 형상화하려는 시도 자체는 매우 의미 있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에서 신분제도의 모순을 김승지와 장쇠의 갈등을 통해 형상화한 것도 그 자체로서 의의를 평가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본질적인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세 가지를 지적할 수 있다. 첫째, 근대사의 전개에 따라 변하는 농민의 삶이 없다는 점이다. 동학의 장쇠는 ‘두목’으로만 표현되어 있을 뿐이고 역사 현장 참여에서 오는 의식과 삶의 변화도 없이 “자기도 모르게” 동학에 참여한 것으로 되어 있다. 둘째, 농민의 삶의 현장의 반영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원장쇠와 그 가족이 김승지로부터 억압받는 모습만이 자주 나타날 뿐, 이 시대 농민들의 관습, 희망, 경제 생활 등 실제적 모습에 관한 사실적 묘사는 이 긴 분량 속에서 거의 없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셋째, 동학에 대하여 지나치게 자세히 소개한 점이나 일양이의 이야기와 같은 불필요한 에피소드를 과감하게 생략하지 못한 점 등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출처: 『이무영-소설과 농민을 향한 열정』이주형 저, 건국대학교 출판부
『한국 농민소설 연구』신춘호 저, 집문당, 2004
『한국현대문학전집』삼성출판사, 1979
그러나 본질적인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세 가지를 지적할 수 있다. 첫째, 근대사의 전개에 따라 변하는 농민의 삶이 없다는 점이다. 동학의 장쇠는 ‘두목’으로만 표현되어 있을 뿐이고 역사 현장 참여에서 오는 의식과 삶의 변화도 없이 “자기도 모르게” 동학에 참여한 것으로 되어 있다. 둘째, 농민의 삶의 현장의 반영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원장쇠와 그 가족이 김승지로부터 억압받는 모습만이 자주 나타날 뿐, 이 시대 농민들의 관습, 희망, 경제 생활 등 실제적 모습에 관한 사실적 묘사는 이 긴 분량 속에서 거의 없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셋째, 동학에 대하여 지나치게 자세히 소개한 점이나 일양이의 이야기와 같은 불필요한 에피소드를 과감하게 생략하지 못한 점 등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출처: 『이무영-소설과 농민을 향한 열정』이주형 저, 건국대학교 출판부
『한국 농민소설 연구』신춘호 저, 집문당, 2004
『한국현대문학전집』삼성출판사, 197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