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 이이의 철학 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율곡 이이의 철학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율곡의 철학 사상
1. 시기론
1)이기의 개념
2)이기의 관계
(1)이기지묘
(2)기발이승
(3)이통기국
2.심성론
1)본연지성과 기질지성
2)사단과 칠정
3)인심과 도심

3. 결론

본문내용

의(意)에까지 연관시켜 정밀하게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율곡의 인생론적 심(心) 성(性) 정(情)에 대한 관점을 대강 요약해 본다면, 미발(未發)의 본체인 이(理)로 말하면 단지 일로(一路)일 뿐인데, 발현상의 경계에 따라 심(心) 성(性) 정(情)으로 나누어지고, 그것은 다시 그 발현경로와 과정에 대해 순선(純善)인 이(理)를 중심으로 하여 보느냐 아니면 선악이 공존하는 기(氣)를 위주로 하여 보느냐에 따라서 심(心)은 인심과 도심, 성(性)은 본연의 성과 기질의 성, 정(情)은 사단과 칠정 등으로 나뉘어 설명된다는 것이다.
다음의 내용은 이러한 그의 심성정의 일로적(心性情 一路的) 논리를 종합해서 전하고 있다.
"심(心)은 하나인데 도심(道心)이라고도 하고 인심(人心)이라고도 하는 것은 성명(性命) 형기(形氣)의 구별이요, 정(情)은 하나인데 사단(四端)이라고도 하고 칠정(七情)이라고도 하는 것은 이(理)만을 말하느냐 기(氣)를 겸하여 말하느냐 하는 차이이다. …… 본연(本然)의 성(性)은 기질(氣質)을 겸하지 않고 말한 것이며, 기질(氣質)의 성(性)은 본연(本然)의 성(性)을 겸하여 말한 것이다."
3. 결론
16세기 전반기에는 성리학에 대한 깊은 연구 결과로 이기론사단칠정론인심도심설 등 이기심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표출되어 이를 둘러싼 논쟁과 학문적 심화 과정을 통해 조선 성리학이 정착되었다.
이이의 경우 이와 기는 논리적으로는 구별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모든 사물에 있어 이는 기의 주재(主宰)역할을 하고 기는 이의 재료가 된다는 점에서 양자를 불리(不離)의 관계에서 파악하고, 하나이며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인 이들의 관계를 이기지묘(理氣之妙)라고 표현하였다. 이들이 이런 사상을 갖게된 현실적 배경을 살펴보면, 이황의 경우 이이보다 35년 연상으로 훈척정치하의 극심한 정치적 혼란기를 살면서 타락한 정치 윤리와 도덕을 바로잡기 위해서 기보다는 이, 칠정보다는 사단, 인심보다는 도심에 역점을 두어 선(善)을 지향하는 이 위주의 이기이원론적 사고방식을 취한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이이의 경우, 정권 담당층이 훈척에서 사림으로 교체되는 등 개선된 정치 여건 속에서 시급한 민생 문제 해결을 위해 현실에 적극 참여하고 개혁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의리와 실사(實事)가 결합되고 이와 기가 통합된 일 원론적 사고방식을 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이이의 이기론은 다양한 현상(氣)속에 보편적 원리(理)가 존재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이가 현실 속에서는 구체적 기에 의해 규정되고 따라서 보편적 이는 구체적인 변화상을 떠나서는 추구될 수 없다는 점에서 그가 주장한 경장론의 변통논리와 일맥 상통한다.
이이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변화하고 제한적인 기(氣局) 속에는 항상 보편적 이(理通)가 존재한다는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을 제시하였다. 이를 서경덕의 주기론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서경덕의 주기론에 대해 이이는 그가 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기불리를 주장하였다는 점에서는 동의하지만, 서경덕이 궁극적 존재를 기, 즉 태허지기(太虛之氣)로 인식한데 대해서는 비판을 가하여 궁극적 존재는 태허지기가 아니라 바로 이, 즉 태극지리(太極之理)라고 주장하여 이의 중요성을 동시에 부각시켰다.
결국 이이는 서경덕의 기 위주의 주기론에 대해서는 이의 중요성을 들어 비판하고, 이황의 이 위주의 이기이원론 이기호발설에 대해서는 기의 중요성과 이기불리를 들어 기발일도설(氣發一途說) 이기지묘를 주장하였으니, 이이는 서경덕과 이황 등 당대 성리학자의 상이한 주장을 균형있게 아우르며 그의 독특한 성리설을 전개시켜 나갔다고 하겠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6.14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3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