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노인의 약물사용 특성
2. 약물의 작용
3. 노인 약물요법의 원칙
4. 약물투여
5. 약물의 부작용과 상호작용
6. 투약방법과 간호
2. 약물의 작용
3. 노인 약물요법의 원칙
4. 약물투여
5. 약물의 부작용과 상호작용
6. 투약방법과 간호
본문내용
경마비 및 쇼크 위험이나 고통의 체험으로 불안전할 수 있다.
- 시간주사나 점적주사로 행동의 제한 생활의 규제, 심리적 속박을 받는다.
-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한 고통과 불쾌감으로는 체열감, 오심, 복시, 설사가 있다.
- 주사행위 자체로 주사바늘에 대한 공포를 느낀다.
이러한 체험을 고려하여 고통이나 불안,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한다.
4) 외용약
노인은 피부의 건조, 소양감으로 연고나 크림을 사용하는 기회가 많다. 노인의 경우는 특히 다음과 같은 내용을 주의한다.
- 피부가 오염되어 있는 경우는 씻고 도포한다.
- 주름이 있는 부위는 완전히 도포하여 남아있지 않게 한다.
- 계속해서 도포하는 경우는 주름 부분에 주의해서 전에 바른 약을 깨끗이 닦아낸 후에 도포한다.
- 자신이 바를 수 있는 범위는 손을 씻은 후에 바르고,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은 간호사의 도움을 받는다.
5) 점안
노인은 시력장애와 손떨림으로 인하여 자신이 점안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자신이 점안하는 경우는 다음 사항을 주의해서 행하도록 지도한다.
- 가능한 앙와위에서 행하는 편이 안전하다.
- 스포이드의 끝은 눈에 닿지 않도록 한다.
- 점안 후는 좌우별 각각의 솜으로 닦는다.
- 검사를 위해서 산동약을 점안한 경우는 시력이 회복될 때까지 안정을 취하게 하여 전도위험을 막는다.
★ 노인 복약지도 기법
① 환자로 하여금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편안하게 해주어야 한다.
② 말을 분명하고 알아듣기 쉬운 어휘로 반복한다.
③ 과거 복용약물에 대해 주의깊게 조사한다.
④ 복용약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음식, 흡연, 알코올 등을 교육한다.
⑤ 투약시작 전에 투여효과 및 부작용과 비교할 수 있는 기준치를 조사한다.
⑥ 낮은 용량부터 시작하고 환자의 반응에 따라 용량을 조절한다.
⑦ 약물요법 계획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불필요한 약물을 오래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⑧ 투여방법은 되도록 단순화한다.
⑨ 약물 및 제형의 선택에 신중을 기한다.
⑩ 적어도 3∼6개월에 한번은 각 약물의 적응증을 비교 검토하여 특별한 적응증이 없는 약물은 사용을 중지토록 한다.
⑪ 약물 부작용이 비전형적일 수 있음을 감안한다.
⑫ 시력장애가 있는 노인의 경우 크고 분명하게 명기해 주고, 여러 가지 약을 복용하는 경우 섞지 않고 분리하여 준다.
⑬ 교육내용을 적어주도록 한다. 시각 효과를 줄 수 있는 그림 등을 이용한다.
⑭ 복약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한다. 약물투여 달력, 투약 기록지, 시간대별로 표기한 약포지 등
⑮ 약물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항을 교육한다. 규칙적이고 균형있는 식사, 지방, 설탕, 소금이 많은 음식을 제한, 섬유질이 많은 음식의 섭취 권장, 물을 많이 마실 것, 규칙적으로 운동하기 약 복용시 의료인의 조언을 듣기 등.
투약의 순서
1. 투약 전 손을 씻는다.
2. 환자의 방으로 약을 운반한다.
3. 환자의 투약리스트를 처방지와 확인한다.
4. 투여할 바른 약물을 고른다.
5. 약물의 라벨을 체크한다.
6. 약물을 꺼낸다(병실에서).
7. 약물을 꺼낸 후 재차 라벨을 확인한다.
8. 환자를 확인한다.
9. 특별한 약을 줄 때에는 필요한 과정을 거친다.(예: 맥박, 혈압체크 등)
10. 환자에게 약물을 준다.
11. 환자가 약물을 복용할 때까지 함께 있고 확인한다.
12. 투약 끝남을 체크해 노트에 기록한다.
13. 특별한 투약에 관한 정보는 적어둔다(예: 맥박, 혈압, 보류의 이유).
참고문헌
김주희 외(1998). 노인간호학. 현문사.
조현 외(2001). 노인간호학. 현문사.
송미순 외(1999). 가정간호사를 위한 노인간호학. 현문사.
조유향(2001). 노인간호. 현문사.
- 시간주사나 점적주사로 행동의 제한 생활의 규제, 심리적 속박을 받는다.
-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한 고통과 불쾌감으로는 체열감, 오심, 복시, 설사가 있다.
- 주사행위 자체로 주사바늘에 대한 공포를 느낀다.
이러한 체험을 고려하여 고통이나 불안,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한다.
4) 외용약
노인은 피부의 건조, 소양감으로 연고나 크림을 사용하는 기회가 많다. 노인의 경우는 특히 다음과 같은 내용을 주의한다.
- 피부가 오염되어 있는 경우는 씻고 도포한다.
- 주름이 있는 부위는 완전히 도포하여 남아있지 않게 한다.
- 계속해서 도포하는 경우는 주름 부분에 주의해서 전에 바른 약을 깨끗이 닦아낸 후에 도포한다.
- 자신이 바를 수 있는 범위는 손을 씻은 후에 바르고,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은 간호사의 도움을 받는다.
5) 점안
노인은 시력장애와 손떨림으로 인하여 자신이 점안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자신이 점안하는 경우는 다음 사항을 주의해서 행하도록 지도한다.
- 가능한 앙와위에서 행하는 편이 안전하다.
- 스포이드의 끝은 눈에 닿지 않도록 한다.
- 점안 후는 좌우별 각각의 솜으로 닦는다.
- 검사를 위해서 산동약을 점안한 경우는 시력이 회복될 때까지 안정을 취하게 하여 전도위험을 막는다.
★ 노인 복약지도 기법
① 환자로 하여금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편안하게 해주어야 한다.
② 말을 분명하고 알아듣기 쉬운 어휘로 반복한다.
③ 과거 복용약물에 대해 주의깊게 조사한다.
④ 복용약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음식, 흡연, 알코올 등을 교육한다.
⑤ 투약시작 전에 투여효과 및 부작용과 비교할 수 있는 기준치를 조사한다.
⑥ 낮은 용량부터 시작하고 환자의 반응에 따라 용량을 조절한다.
⑦ 약물요법 계획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불필요한 약물을 오래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⑧ 투여방법은 되도록 단순화한다.
⑨ 약물 및 제형의 선택에 신중을 기한다.
⑩ 적어도 3∼6개월에 한번은 각 약물의 적응증을 비교 검토하여 특별한 적응증이 없는 약물은 사용을 중지토록 한다.
⑪ 약물 부작용이 비전형적일 수 있음을 감안한다.
⑫ 시력장애가 있는 노인의 경우 크고 분명하게 명기해 주고, 여러 가지 약을 복용하는 경우 섞지 않고 분리하여 준다.
⑬ 교육내용을 적어주도록 한다. 시각 효과를 줄 수 있는 그림 등을 이용한다.
⑭ 복약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한다. 약물투여 달력, 투약 기록지, 시간대별로 표기한 약포지 등
⑮ 약물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항을 교육한다. 규칙적이고 균형있는 식사, 지방, 설탕, 소금이 많은 음식을 제한, 섬유질이 많은 음식의 섭취 권장, 물을 많이 마실 것, 규칙적으로 운동하기 약 복용시 의료인의 조언을 듣기 등.
투약의 순서
1. 투약 전 손을 씻는다.
2. 환자의 방으로 약을 운반한다.
3. 환자의 투약리스트를 처방지와 확인한다.
4. 투여할 바른 약물을 고른다.
5. 약물의 라벨을 체크한다.
6. 약물을 꺼낸다(병실에서).
7. 약물을 꺼낸 후 재차 라벨을 확인한다.
8. 환자를 확인한다.
9. 특별한 약을 줄 때에는 필요한 과정을 거친다.(예: 맥박, 혈압체크 등)
10. 환자에게 약물을 준다.
11. 환자가 약물을 복용할 때까지 함께 있고 확인한다.
12. 투약 끝남을 체크해 노트에 기록한다.
13. 특별한 투약에 관한 정보는 적어둔다(예: 맥박, 혈압, 보류의 이유).
참고문헌
김주희 외(1998). 노인간호학. 현문사.
조현 외(2001). 노인간호학. 현문사.
송미순 외(1999). 가정간호사를 위한 노인간호학. 현문사.
조유향(2001). 노인간호. 현문사.
추천자료
영양문제를 가지고 있는 노인환자 간호
foley catheter 삽입하고 있는 노인환자 간호
치매노인 가정간호에 대한 연구A+치매노인의 가정간호의 원칙과 대화법,간호방법,치료방법,가...
노인의 성문제와 간호
노인의 약물 사용
노인 우울증환자의 간호과정
[★우수레포트★][노인복지] 노인의 약물 부작용, 약물 남용의 실태, 원인, 외국의 사례, 국내...
[노인, 노인 건강요구, 노인 간호요구, 노인 의복요구, 노인 광고태도요구, 건강요구, 간호요...
노인과 약물 (노인의 약물 부작용, 노인의 약물 오․남용, 노인의 약물에 관한 지식...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해외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의 비교분석,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노인 파킨슨병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