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어법의 체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어법의 체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경어법
1. 국어 경어법의 체계
(1) 경어법의 종류
(2) 경어법의 조합
2. 주체 경어법
(1) 주체경어법의 대상
(2) 화자와 대비된 주체
(3) 존대의 범위
(4) 주체경어법의 여러 형식
3. 객체 경어법
(1) 특징 대상 : [+인간]
(2) 적용 기준
(3) 객체경어법의 퇴조
4. 상대 경어법
(1) 특징
(2) 상대경어법의 등급
5. 경어법의 결정 요인.

1. 편지 쓸 때의 예절
(1) 편지 서두의 호칭
(2) 서명란
(3) 봉투 쓰는 법
2. 생일 축하
3. 정년 퇴직자에 대한 인사
4. 결혼의 축하
(1) 축하의 말
(2) 단자와 봉투 쓰기
5. 송년, 신년 인사
6. 문병의 말
7. 弔 問
(1) 문상, 조문, 조상
(2) 조문하는 순서
(3) 조문의 말
(4) 상주가 하는 답례의 말
(5) 부의 봉투 및 단자 쓰기
8. 제례 관계 서식

본문내용

말이나 하우체를(엄마, 밥 줘. 어머니 언니 안 왔우) 쓰면서 아버지 할아버지에게는 대개 합쇼체나 해요체를 쓴다. 할머니에게 해요체 이상의 등급을 쓰는 일은 좀처럼 없다. 여하튼 여성이 좀 더 낮은 등급으로 대우를 받는 셈.
부부사이에서도 이 현상은 나타남. 남편은 아내에게 하오체를 쓸 수 있으나 아내는 남편에게 그러지 못하고 그보다 한 등급 높은 해요체를 쓴다.
** 여성을 더 정중히 대하는 경우
━ 전통적으로 처남에게는 반말을 허용하는 것과 달리 처제에게는 반말을 못 씀.
━ 남의 딸에게도 남의 아들에게보다는 조심하는 편.
━ 교수가 여학생에게는 남학생에게보다 말을 함부로 하지 않는 경향.
⑧ 유대 : 경어법 결정의 주요 요인.
서로 존대말을 하다가 친해지면 반말하는 사이로 바뀌는 것.
그러나 권세의 영향력이 유대의 영향력보다 큼.
유대의 영향력이 역으로 미치는 경우 :
서로 멀어진 경우 반말에서 존대말로.
형제가 나이가 들면 호칭을 상위등급으로 바꿈
어릴 때 반말하던 남녀가 각각 서로 다른 사람에게 결혼한 경우.
1. 편지 쓸 때의 예절
(1) 편지 서두의 호칭
윗사람에게 보내는 경우 :
직함에 '-님'을 붙여 "-님 보시옵소서, -께 올립니다." 형식
회사나 단체 앞으로 보낼 때는 : **** 주식회사 귀중.
(2) 서명란
윗사람의 경우 : *** 올림, *** 드림.
회사나 단체에서 보내는 편지 : ** 주식회사 사장 *** 올림.
(3) 봉투 쓰는 법
윗사람에게 보내는편지 봉투 : 이름+직함+님(께) ***귀하, ***座下
회사나 단체로 보내는 경우 : ** 주식회사 귀중, **주식회사 ***사장님,
** 주식회사 ***귀하
2. 생일 축하.
웃어른의 생일 : 대체로 환갑부터의 생일 잔치는, 장수를 축하하는 잔치라는 뜻에서 '수연(壽宴)'이라 함.
<특별한 생일명>
60세 : 六旬, 耳順 61세 : 還甲, 回甲, 華甲
62세 : 進甲 70세 : 七旬, 古稀
77세 : 喜壽 80세 : 八旬
88세 : 米壽 90세 : 九旬
99세 : 白壽 100세 : 期壽
<단자와 봉투 쓰는 법>
단 자
<봉투>
봉투 앞면
祝 壽 宴
축 수 연
봉투 뒷면
***(보내는 사람 이름)
3. 정년 퇴직자에 대한 인사
인사말 : 축하합니다. 그동안 애 많이 쓰셨습니다.
축하합니다. 벌써 정년이시라니 아쉽습니다.
단자 : 謹祝, 頌功 : 그 동안의 공적을 기립니다.
봉투 : 謹祝, 頌功 : 그 동안의 공적을 기립니다.
4. 결혼의 축하
(1) 축하의 말
당사자 : 축하합니다.
부모나 가족 : 축하합니다. 얼마나 기쁘십니까?
(2) 단자와 봉투 쓰기
<단자>
<봉투 쓰기>
祝 婚姻, 祝 結婚, 祝 華婚, 祝儀, 賀儀, 慶祝
5. 송년, 신년 인사
인사말
비고
송년인사
없음
상대방에 대한 감사의 뜻과 한 해 동안의 수고에 대한 뜻을 포함.
(한 해 동안 보살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 해 동안 수고하셨습니다.)
신년인사 덕담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새해 복 받이 받게.
소원 성취하게.
연하장의 말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6. 문병의 말
대 상
인 사 말
단 자
봉 투
본인에게
들어가서
좀 어떠십니까?(어떻습니까?)
얼마나 고생이 되십니까?
불행 중 다행입니다.(불의의 사고)
기 쾌유
(祈 快癒)
(조속한) 쾌유를 바랍니다.
기 쾌유
(祈 快癒)
(조속한) 쾌유를 바랍니다.
나올 때
조리(조섭) 잘 하십시오.
속히 나으시기 바랍니다.
보호자에게
들어가서
좀 어떠십니까?(어떻습니까?)
얼마나 걱정이 되십니까?
고생이 많으십니다.
나올 때
속히 나으시기 바랍니다.
7. 弔 問
(1) 문상, 조문, 조상
문상(問喪) : 상가를 방문함.
문상(聞喪) : 객지에 나가 있다가 부모 상 소식을 듣고 돌아오는 일.
조문(弔問) : 망인의 집을 방문하여 애도의 뜻을 표하고, 유족을 위로함.
조상(弔喪) : 상가를 방문하여 고인을 애도하고 명복을 빎.
조위(弔慰) : 망인을 애도하고 유족을 위로함.
(2) 조문하는 순서
① 영전에 무릎 꿇고 앉아 향합에서 향(두세 개)을 뽑아 불을 붙여 향로에 꽂는다.
② 영전에 두 번 절한다.
③ 상주에게 절을 한다.(맞절)
④ 무릎을 꿇고 앉은 상태에서 조문의 말을 한다.
⑤ 부의금 봉투를 내놓는다.
⑥ 일어서서 영전에 가볍게 머리 숙여 절을 하고 나온다.
(3) 조문의 말
삼가 조의(弔意)를 표합니다.
삼가 애도의 뜻을 표합니다.
무어라 (위로의) 말씀을 드려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얼마나 슬프십니까?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얼마나 애통/비통하십니까?
얼마나 망극하십니까?(부모 상을 당한 경우에만 사용)
** 전통적으로 쓴 말
망극지통(罔極之痛) : 한이 없는 슬픔. 어버이 喪事에 씀.
천붕지통(天崩之痛) : 하늘이 무너지는 슬픔. 어버이나 남편 상사에 씀.
고분지통(鼓盆之痛) : 아내가 죽은 슬픔.
할반지통(割半之痛) : 몸의 반쪽을 떼어내는 슬픔. 형제 자매가 죽은 슬픔.
참척(慘慽) : 아들딸이나 손자, 손녀가 죽은 슬픔.
(4) 상주가 하는 답례의 말
(와 주셔서) 고맙습니다.
저의 죄가 큽니다.
불효의 한이 사무칩니다.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불효한 죄가 커서, 몸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5) 부의 봉투 및 단자 쓰기
봉투 쓰기 : 부의(賻儀), 근조(謹弔), 조의(弔儀), 향촉대(香燭代)
단자 쓰기
8. 제례 관계 서식
(1) 지방 서식(紙榜書式)
○ : 父에는 '考', 祖父에는 '祖考', 증조부에는 '曾祖考'
남편에는 ' ', 형에는 '兄'
○ : 모친은 ' ', 조모는 '祖 ', 증조모는 '曾祖 ', 형수는 '兄嫂'
●● : 본관을 씀.
◎ : 성을 씀.
아내의 경우에는 '현○' 대신에 '亡室' 또는 '故室'을 씀.
(2) 축문(祝文)
① 한문 축문
(1)에는 그 해의 간지가 들어감.
(2)에는 달이 들어감 (예컨대 '七, 十' 등)
(3)에는 그 달의 간지가 들어감.
(4)에는 날이 들어감(예컨대 '初四, 十二' 등)
(5)에는 그 날의 간지가 들어감.
(6)에는 제주의 이름을 씀.(남편 제사인 경우에는 '孝子'를 '主婦 ○○○', '顯考'를 '顯 ', '昊天罔極'을 '不勝感愴'으로 씀.
② 한글 축문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6.16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