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결정] 정책과정에서 비정부기구(NGO)의 역할변화 - 역사적 실증분석 -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책결정] 정책과정에서 비정부기구(NGO)의 역할변화 - 역사적 실증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비정부기구의 역할 및 영향력 변화
1. 비정부기구의 전반적 정책위상의 강화
2. 정책결정과정에서 영향력 확대
3. 정책집행과정에서 역할 확대

III. 비정부기구의 역할과 영향력 확대의 부수적 결과들
1. 정부와 비정부기구간의 관계 변화
2. 정책결정 양식의 변화

I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이다.
이처럼 국가와의 관계에서 시민사회가 하위적 위치에서 교섭하고 상호 작용할 수밖에 없는 것은, 무엇보다"시민없는 시민운동," "엘리트 중심의 시민운동," "중앙집권적 시민운동," "위로부터의 시민운동," "정부의존적 시민운동"등의 표현이 시사하는 것처럼, 지역공동체 단위에서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바탕으로 한 풀뿌리 시민운동의 역사가 일천한 사회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현상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김경주. (2003). “김대중 정부의 모성보호네트워크 분석.” 한국행정학보, 37(3): 23-44.
김선경·양재대·원준연. (2003). “도시계획 결정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행정논총, 41(4): 253-278.
김선혁. (2003). “시민사회론의 행정학적 함의.” 2003년도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김시윤. (1995). “전자산업의 발전과 메조 코포라티즘: 제3 5공화국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29(3): 3123-3141.
김시윤. (1997a). "정책변화와 신제도주의: 통신산업정책의 사례." 한국정치학회보, 31(1): 323-346.
김시윤. (1997b). "정책망변화와 산업성장주기: 전자산업정책을 중심으로." 정책연구, 1(2): 169-187.
김영래. (1999). “비정부조직(NGO)과 국가와의 상호작용 연구: 협력과 갈등.” 국제정치논총, 39(3): 79-98.
김영종. (2001). “‘사회적 합의’에 의한 노동정책의 결정과정 분석: 노사정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13(3): 587-613.
김준기. (1999). “정부-NGO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정부 NGO 지원사업 분석.”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
김태룡. (2002). "NGO들간의 영향력 차이와 그에 따른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36(2): 269-290.
문병주. (2003). “복지NPO의 구조와 동학 그리고 정부와의 파트너쉽.” 2003년 한국정치학회 연말학술대회 발표논문.
박병옥. (2000). “NGO와 정부간 올바른 관계정립방안.” 한국행정학회 2000년도 기획세미나 발표논문.
박상필. (1999). “시민단체와 정부의 관계유형과 지원체제.” 한국행정학보, 33(1): 261-278.
박상필. (2001). NGO와 현대사회: 비영리·비정부·시민사회·자원 조직의 구조와 동학. 서울: 아르케.
배응환. (2003a). "거버넌스의 실험: 네트워크조직의 이론과 실제: 대청호살리기운동본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7(3): 67-93.
배응환. (2003b). "지역공동체의 지방거버넌스모형: 충남의 지방정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2(3): 59-90.
성지은. (2004). “정책네트워크의 지속성과 변화: 이동통신 신규사업자 선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8(1): 155-174.
송희준·송미원. (2002). “이동통신 정책네트워크와 사업자선정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1(4): 359-386.
신광영. (1999). “비정부조직(NGO)과 국가 정책: 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8(1): 29-43.
신율. (2000). "한국 시민운동의 개념적 위상과 문제점: 경실련과 참여연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53(2): 159-180.
신희권. (1999). “지방정치의 변화와 자발적 조직의 역할.” 한국행정연구, 8(1): 44-67.
안병영. (2000).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과정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38(1): 1-50.
안병철. (2002). “정책과정에서 NGO의 영향력 요인: 의약분업모형의 산출과정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2(4): 321-337.
안성호·배응환. (2004). 지방거버넌스와 지방정책: 네트워크 관점에서 본 지방정책사례. 서울: 도서출판 다운샘.
염재호. (2002). “한국시민단체의 성장과 뉴거버넌스의 가능성.” 아세아연구, 45(3): 113-147.
옥원호. (2002). “지방자치, 거버넌스, 지역NGO." 2002년도 한국NGO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
유재원. (2003). 한국지방정치론: 이론과 실제. 서울: 박영사.
유팔무. (1999). “NGO와 한국의 시민운동.” 한국사회에서 국회와 NGO의 역할. 한국정치학회 월례발표논문집.
이숙종. (2002). 한국 시민단체의 정책제언활동. 경기: 세종연구소.
이연호. (2001). “김대중 정부와 비정부조직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35(4): 147-164.
임승빈. (2003). “정부의 NGO 재정지원정책: 보조금 및 공모사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정책과정에서의 NGO 활동에 관한 학술세미나 발표논문.
정병걸·성지은. (2002). “한국의 사회단체와 영향력: 정책과정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45(3): 51-75.
조희연. (2000). “한국 시민사회단체(NGO)의 역사, 현황과 전망.” 김동춘 외, NGO란 무엇인가. 서울: 아르케.
정수복. (2000). "한국 시민사회의 현황과 발전전망: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비영리학회창립총회 및 기념학술회의 발표논문.
주성수. (1999). 시민사회와 제3섹터.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주성수. (2004). NGO와 시민사회 : 이론, 모델, 정책.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최성두. (2000). “집단간 갈등과 정부의 역할: 이슈와 대안-의약분업정책과 갈등조정.” 한국행정연구, 9(4): 29-53.
하민철. (2002). “사회단체의 성장과 단체-행정관계.” 아세아연구, 45(3): 77-111.
한국행정연구원. (2002a). 한국 NGO의 활동실태와 과제.
한국행정연구원. (2002b). 경험을 통해 본 한국 NGO 활동의 과제와 전망.
홍성만. (2002a). “한국 사회단체의 정치활동.” 아세아연구, 45(3): 11-49.
홍성만. (2002b). “정부와 비정부조직(NGO)의 정책경쟁과 합의형성과정: 영월(동강)댐 건설을 둘러싼 정책조직과 환경운동연합을 중심으로.”한국행정학보, 36(1): 21-43.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06.17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9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