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펀드의 종류와 ETF, 사모펀드, fund of fund, 프로그램매매 대량매매, ECN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_펀드의 종류와 ETF, 사모펀드, fund of fund, 프로그램매매 대량매매, EC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rbitrage trading)는 차익거래와는 달리 일방적으로 여러 주식을 한꺼번에 매수(매도)하는 것을 말한다. 요약하자면 기계적으로 선물을 매수하면서 현물을 자동적으로 팔게 될 때 대량의 프로그램 매도 물량이 나오면서 선물과 연계하여 포트폴리오의 주식이 시장에 매도되면서 그로 인하여 시장가격의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에는 포트폴리오의 구성종목을 대량으로 매수하면서 지수를 끌어 올리게 될 수도 있다.
비차익거래의 특징
선물 주문을 주식과 동시에 하지 않는다는 점이 차익거래와 차이가 난다. 선물 주문을 주식과 동시에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익거래와 차이가 있다.
현재 차익거래를 할 때 Program 매매로 많이 신고되지만 좀 더 많은 이익을 위해 현물을 비차익으로 거래하는 방법도 성행하고 있다. 즉, 현물을 먼저 일괄 매수(매도)하고 선물이 올라(내려)갈 때까지 기다렸다가 선물을 시차를 두고 매도(매수)하는 것이다.
장점 - 현물과 선물을 동시에 매매하는 차익거래보다는 좀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단점 - 매매시점이 잘못됐을 때 손실위험이 있다.
차익거래는 현재의 주가수준과는 오직 현물과 선물간의 괴리율만이 관심의 대상임으로 Program 매수에 의한 차익거래 잔고가 많으면 주식시장에 잠재적인 수급악화 요인으로 작용한다.
《 대량매매 》
신고대량매매란?
일정한 수량 이상의 호가에 대하여 종목 및 수량이 동일한 매도호가와 매수호가에 대하여 회원이 정규시장의 최초가격 또는 장 종료시의 가격으로 매매거래를 성립시키기 위하여 신청하는 경우 그 가격으로 매매거래를 성립시키는 제도이다.
시가로 매매거래를 성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 개시 전에, 종가로 매매거래를 성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 종료 전에 각각 신청하여야 한다.
매도호가와 매수호가 중 어느 일방은 단일회원의 호가이어야 한다.
시간외 대량매매의 특징
거래대상 - 상장주권 및 외국주식예탁증서-당일 거래 미형성 종목 및 기세종 목은 제외
거래시간
- ECN은 오후 4시30분부터 밤 9시까지 당일 종가의 5% 범위의 가격에서 장 개장.
- 증권선물거래소는 장마감후 오후 3시부터 4시까지 시간외거래 시장을 열고, 종가매매나 전일 종가 기준 15% 범위의 대량매매를 허용하고 있다.
거래가격 - 장중 대량매매 가격범위는 당일 중 형성된 최고 및 최저가격 이내로 하고, 시간외거래에서 이뤄지는 대량매매 가격범위는 종전 \'종가 7% 또는 거래량 가중평균가격(VWAP)\'에서 가격제한폭 이내이다.
주문유형 - 매도/매수 쌍방주문-매도/매수의 수량과 가격이 일치하는 자전매매주문이다.
매매수량 \'1만주 이상 또는 수량과 가격을 곱한 금액이 2억원 이상\'에서 1만주 이상 또는 2억원 이상\'에서 \'매매수량단위의 500배 또는 1억원 이상로 변화했다.
매매체결 - 매도/매수 쌍방의 당해 호가간 당해 주문가격으로 체결한다.
정정/취소 - 매매체결전까지 정정 및 취소가 가능하다.
시간외대량매매에 의한 자기주식취득
공기업의 민영화 및 금융기관 기업구조조정 추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정부, 한국은행, 예금보험공사,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기타 정부가 납입자본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출자한 법인으로부터 주권상장법인이 자기주식을 매수하는 경우 또는 공정경쟁촉진, 공기업 민영화 등 정부의 정책목적 달성을 위하여 금융감독위원회가 자기주식 매수를 승인한 주권상장법인이 자기주식을 매수하는 경우에는 시간외대량매매에 의한 방법으로 할수 있도록 하였다 .
정부 등의 보유주식을 시장에서 매각하는 경우 주가하락 등의 시장충격을 가져오므로, 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당해 주권상장법인이 자기주식으로 취득하는 경우 시간외대량매매의 이용을 허용하는 것이다.
자기주식 취득시 시장 내 매수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적대적 M&A에 효과적으로 대항하기 곤란하므로 주권상장법인이 상황에 맞춰 취득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공개매수에 의한 자기주식 취득도 현행 거래법상 허용하고 있다.
ECN 현황
ECN (場外電子去來市場, electronic communication network)
의의 : 증권거래소와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을 장이 끝난 뒤에도 거래할 수 있도 록 한 시장. 야간에도 주식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시 활성화와 효율화를 도모. 투자시간의 장애 완화, 본시장의 마감 후에 발생하는 정보의 즉각적인 주가반영이 가능.
운영 : 31개 증권사가 공동출자해서 설립한 한국ECN㈜
주문체결 : 가격과 시간을 우선으로 하며, 수량은 고려하지 않음.
매매 체결 방식 : 주가 조작을 막기 위해 랜덤엔드(Random-end) 방식.
매매수량 단위 : 종목별로 10주와 1주 기준.
매매거래시간 : 16:30 ~ 21:00 (4시간 30분)
호가접수시간 : 16:30 ~ 21:00 (4시간 30분)
매매종목 : 거래소시장 KOSPI 200 구성종목, 코스닥시장 KOSDAQ 50 구성종목
단일가매매 ; 당일 종가로만 거래.
정규주식시장의 시작가격에 ECN거래반영하지 않음.
가격변동제 도입 : 초 단위로 주가가 변돌하는 거래소 코스닥시장과 달리 30분에 한 번씩 가격이 변동. 가격변동제가 도입된 후 거래대금이 두 배 이상으로 크게 늘어나며 시장이 활성화.
문제점
개장한 후 매년 지나친 제도적 제한, 거래부진 등으로 적자누적. ECN을 증권거래소에 매각하는 방안이 추진.
30분마다 한번씩 거래가 체결되는 시스템과 거래대상이 코스피200, 코스닥50의 250
종목으로 한정
종목들의 호가 범위가 상하 5%로 제한.
투자자들이 늦은 시간까지 매매에 큰 관심이 없음. 재충전을 위한 휴식시간 박탈.
외국인이나 기관투자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없이 개인의 매매 위주로 성장에 제약.
기존 시장의 가동시간을 연장될 것을 200억 원이 넘는 비용을 들여 시스템을 만들고 운영하는 것은 국가적 낭비.
ECN은 장외시장이므로 자사주의 취득은 금지되나, 처분은 자유롭게 허용됨. 가격변동 허용으로 유가증권시장, 협회중개시장과 사실상 동일한 ECN에서의 자사주 처분에 대해서는 일체의 규제가 없음.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6.20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6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