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학습동기 유발과 관련해 교사가 겪는 어려움은 ? 교사가 파이데라스테이아의 애자의 위치에 있지 않으면서도 애자가 한 것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을 유혹해야 한다는 점.
* 교사는 학생을 유혹하면서도 학생들의 애정이 교사 자신에게로 아니라 교육내용으로 향한 것이 되도록 해야 함.
* 이상은 결국 제도화된 교육에서 교육의 어려움이 어디에 있는가를 알려준다. 그러나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도화된 교육에서도 특정한 교육**에 있어서는 교사와 학생 사이에 맹목적이라고 해도 좋을 정적 유대 존재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종류의 유대는 이 글에서 보이려 했던 교육의 원초적 세력이라는 관점서 볼 때 교육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자산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중요한 자산을 바탕으로 교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 그 유대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그것을 교육내용의 수준으로 승화시키는 것이다.
* 교육의 원초적 세력에 관한 이 글의 분류는 몇까지 교육학의 이론적 논설에 연결될 수 있음. -> 피터즈의 ‘내재적 정당화’의 문제.
* 피터즈의 논의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방식에 의존한다는 비판 받아옴. 이 비판이 타당성을 가진다면 교육의 형식적 세력에 관한 이 글의 논의는 그 형식적인 측면에 내용 부여 가능.
* 오늘날의 교육은 애자나 모체가 가지고 있는 자질과 심성을 교육 내용으로 삼은 원초적 교육의 연장이다.
* 결국 애자나 모체가 가치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교육 내용을 애인과 태아에게 전수해 주는 이 활동의 연속 - 그것이 바로 내재적 정당화의 형식에 구체적 내용 제공해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교사는 학생을 유혹하면서도 학생들의 애정이 교사 자신에게로 아니라 교육내용으로 향한 것이 되도록 해야 함.
* 이상은 결국 제도화된 교육에서 교육의 어려움이 어디에 있는가를 알려준다. 그러나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도화된 교육에서도 특정한 교육**에 있어서는 교사와 학생 사이에 맹목적이라고 해도 좋을 정적 유대 존재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종류의 유대는 이 글에서 보이려 했던 교육의 원초적 세력이라는 관점서 볼 때 교육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자산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중요한 자산을 바탕으로 교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 그 유대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그것을 교육내용의 수준으로 승화시키는 것이다.
* 교육의 원초적 세력에 관한 이 글의 분류는 몇까지 교육학의 이론적 논설에 연결될 수 있음. -> 피터즈의 ‘내재적 정당화’의 문제.
* 피터즈의 논의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방식에 의존한다는 비판 받아옴. 이 비판이 타당성을 가진다면 교육의 형식적 세력에 관한 이 글의 논의는 그 형식적인 측면에 내용 부여 가능.
* 오늘날의 교육은 애자나 모체가 가지고 있는 자질과 심성을 교육 내용으로 삼은 원초적 교육의 연장이다.
* 결국 애자나 모체가 가치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교육 내용을 애인과 태아에게 전수해 주는 이 활동의 연속 - 그것이 바로 내재적 정당화의 형식에 구체적 내용 제공해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