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의 현황과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영화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영화의 현황≫
▶1960년대 이후 처음 맞는 제2의 전성기
▶2003년 상반기 결산- 관객 수, 한국영화 시장 점유율 상승
▶스크린쿼터제 운영 현황
▶한국영화 수출액의 증가

≪2. 한국영화의 문제점≫
▶수익성의 문제
▶커지는 한국영화, 작아지는 관객의 선택
▶한국영화의 전반적인 질적 저하
▶스크린쿼터제 축소 압력

≪3.한국영화의 미래에 대한 나의 생각≫
《참고문헌과 사이트》

본문내용

나의 생각≫
처음에 말했듯이 한국영화 산업은 전성기라고 할 만큼 엄청난 성장과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현재의 한국영화가 보여주는 활기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성장세에 대해서 ‘이 현상이 거품인가?’라는 논란이 일고 있다. 하지만 나는 한국영화의 미래가 낙관적이라고 본다.
우선 첫째, 문화적 친밀성이 높아 한국영화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은 동양권의 나라들에 대한 한국영화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 이 동양권 국가들은 한국문화와 역사를 거부감 없이 수용할 수 있는 동북아 문화권으로 한국영화에 대한 수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 예로 일본의 경우 <쉬리>가 일본관객 120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면서 한국 영화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또한 칸영화제에서의 <취화선>의 칸 감독상 수상, 그리고 <오아시스> 베니스 영화제 5개 부문 수상등 내노라하는 영화제에서 우리 영화의 작품성이 인정받고 있는 등 예전보다 한국영화에 대한 외국에 관심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둘째, 멀티플렉스라는 새로운 개념의 극장의 등장으로 인해 새로운 문화공간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예전의 단지 극장이라는 개념이 아닌 새로운 쇼핑, 식당, 문화공간과의 연계된 복합적 오락공간이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낙후된 환경에서 벗어나 최첨단 장비를 갖추고 관객을 끌고 있다. 이는 여전히 관객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의 경우 멀티플렉스가 본격 가동되면서 1997년 국민 1인당 평균 관람횟수가 1.0회에서 2001년 1.85회로 증가하였고, 외국의 경우도 프랑스도 1997년 1인당 극장 관람횟수가 2.35에서 2.9회로 증가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람객 증가에 의한 수익성도 많이 증가하고있는 실정이다.
셋째, <고양이를 부탁해> <질투는 나의 힘> <지구를 지켜라> <오세암> 등 작품성이 뛰어남에도 흥행에 실패한 작품들에 대해 재상영 등을 요구하는 관객운동이 잇따르고 있다. 또한 대안적 배급질서를 모색하기 위한 여러 가지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영화진흥위윈회는 2003년 상반기 동안 10개의 예술영화전용관을 추가 선정하여 총 12개관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는 등 정책적인 지원도 함께 이루어 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영화가 더욱 발전하고 지속적으로 이 상황을 이어 갈려면 단지 지금의 현상을 유지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발전은 끝나는 것이 아니다 항상 머무르려고 할 때 위기는 찾아온다. 아직 우리 영화는 더 뛰어나갈 준비를 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지금 한국영화는 ‘거품인가?’ 라는 의문에 대해서 ‘맞다’ 혹은 ‘아니다’를 논하기 이전에 ‘어떻게 하면 현재의 이 성장세를 좀 더 내실 있는 성장세로 이어가도록 할 것인가. 그래서 속빈 강정이 아니라 겉도 속도 알찬 한국영화를 만들 것인가?’라는 질문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한국영화산업이 좀 더 건강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 연구의 앞 분에서 지적한 과제들에 대한 합리적인 해결책을 도출하고 문화의 다양성과 표현의발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과 사이트》
-월간 에머지 4월호 [한국영화의 네 가지 신화] 강한섭
-스크린쿼터제와 한국 영화산업 /삼성경제연구소 연구보고서, 1998.12. 김휴종
-문화산업백서 /문화관광부 2001
-한국영화동향과전망 /영화진흥위원회 2001.7
-2003년 상반기 영화계 현황 /영화진흥위원회 2003.6
-문화관광부 홈페이지 http://www.mct.go.kr/
-영화진흥위원회 (http://www.kofic.or.kr/)
-씨네21 (http://www.cine21.co.kr/)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6.22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9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