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한국영화의 산업적 측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60년대 한국영화의 산업적 측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화법의 제정

2. 제작, 수입, 수출현황

3. 1960년대 전. 후반기의 작품들

본문내용

정착하여 뿌리를 내린 것이 아닌가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상은 1972년도에 영화계는 극심한 불황에 빠져 대부분의 영화사가 부도수표를 내는 전면 도산의 비참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영화계가 이처럼 제 3공화국 말기에 가서 텔레비전의 대량보급의 물결에 휩쓸린 탓도 있겠지만, 1960년대 말기 이후의 한국영화가 예술성을 상실하고 저질작품을 양산하게 되어 관객으로부터 외면을 받게 된 데에도 그 원인을 찾아야 할 것이다.
사회의 어두운 부분을 다루었다하여 제제를 받고, 용공혐의를 받거나 혹은 외설혐의가 일면서 창작 욕구가 크게 위축됨은 물론이요, 문제의식을 담은 작품이나 리얼리즘의 미학을 추구한 작품, 진실성과 비판성을 담은 작품은 점차 사라졌다. 그에 따라 멜로 드라마와 저속희극, 저질액션물이 범람하였다.
1960년대 영화의 주조는 이처럼 산업으로서의 한국영화, 즉 영화의 기업 육성의 강행과 영화제작에 대한 강압적인 검열과 행정규제 등 통제적인 영화정책에 의해 변혁된 것이었으나 그 결과는 우리 나라 영화의 예술성과 산업성의 양면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 되었다.
* 참고 *
1962년 6월 10일 10환을 1원으로 하는 화폐개혁 단행되었다. 1965년 소비자물가지수는 4.1이고 2001년 소비자물가지수는 104.1(2000=100)로 2539% 상승되었다. 즉, 1965년의 1원이 2001
년에는 25.4원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60년대의 100환,200환, 2000환은 10원, 20원, 200원으로 환산되며 물가지수만을 고려했을 경우 각각 254원, 508원, 5080원으로 볼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1.15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28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