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 혁명 _ 제3세계, 쿠바혁명과 제3세계 혁명, 1960년대 말 세계혁명의 국면, 70년대 대중의 부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쿠바 혁명 _ 제3세계, 쿠바혁명과 제3세계 혁명, 1960년대 말 세계혁명의 국면, 70년대 대중의 부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3세계

2. 쿠바혁명과 제3세계 혁명

3. 1960년대 말, 세계혁명의 국면

4. 70년대 대중의 부흥

5. 정리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미국의 확고한 지지와 자국의 석유자원에 기반하여 착수했던 눈부신 근대화와 공업화 프로그램에 대한 응답이었다. 근대화는 상당수의 소작농과 차지농을 도시로 이주한 실직노동자들로 변화시켰고, 정부가 선호한 자본집약적인 공업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이 없었으므로 국내에서만 장려되고 보호받았다. 농업생산량은 떨어졌고 모자라는 식량의 대부분을 해외로부터 수입했다. 공업화에 의존, 이에 소요되는 비용은 석유판매를 통해 조달, 농업의 쇠락과 비효율적인 공업, 무기의 대량수입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플레이션을 낳았고 민중들의 생활수준은 급격하게 하락했다. 투쟁의 기폭제는 조직되고 정치적으로 활동적인 이슬람 성직자 층으로부터 나왔다. 여기에 영세농민, 수공업자, 그리고 새로운 거대 집단인 도시민중 등 수백만 명이 가세하여 정권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러 거리에 쏟아져 나왔다. 유전이 폐쇄되고 상인들은 가게 문을 닫았다. 군대가 그 봉기를 진압하지 못했거나 진압을 거부했으므로 1979년 1월 샤는 망명길에 올랐고 이란 혁명은 승리한다.
5. 정리하며
따라서 20세기 말의 혁명들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진 셈이다. 기존 혁명전통의 위축과 대중의 부흥이 그것이었다. 1917-18년 이래 일반 대중들 속에서 혁명이 이루어 진 경우는 거의 없었다. 대부부분의 혁명들은 헌신적이고 조직된 소수정예 활동가들에 의해서 이루어졌거나, 군사 쿠데타나 군사적 정복의 경우처럼 위로부터 부과되었다. 이는 그 혁명들이 적절한 상황에서 진정으로 대중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혁명이 외국의 정복자들과 함께 찾아온 경우를 제외하면, 대중의 지지없이 혁명이 성공한 경우는 드물었다. 그러나 20세기 말에 ‘대중’은 지지하는 역할을 만든 자들이라기보다는 주역으로 무대에 복귀했다. 결국, 혁명과 사태의 추이를 결정한 것은 기꺼이 뛰쳐나오려는 대중의 의지였다. 발로 투표하는 것이 선거에서 투표하는 것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는 레닌의 격언을 대중 스스로가 교과서적으로 입증한 것이었다.
세 번째 천년기에 들어서고 있는 세계는 안정된 국가들이나 안정된 사회들의 세계가 아니다. 세계는 계속해서 폭력적인 정치와 폭력적인 정치적 변화의 세계로 남을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한 정치의 변화에 관해서 유일하게 불확실한 것은 그러한 정치의 변화가 어디에 이를 것인가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에릭 홉스봄, 「제3세계와 혁명」, 『극단의 시대 : 20세기 역사』, 까치 , 1997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3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