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즘의 책임과 의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저널리즘의 책임과 의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저널리즘의 객관성, 균형성에 관한 몇 가지 이론
사실 이번의 공정성 시비가 촉발되면서 방송이나 저널리즘 매체가 지향해야 할 중요 가치로 자주 언급된 공정성, 객관성, 균형성에 대해서 언론학에서는 논쟁이 크게 없는 편이다. 언론학 교과서에서 정리되고 있는 논의들이 거의 유사하고 그런 이유로 이에 대한 학계의 통론이 형성되어 있는 셈이기 때문이다.
공정성, 객관성, 균형성에 대한 논의 가운데 인용 빈도가 높은 것 중의 하나인 웨스터스탈(J. Westerstahl) 모델을 빌어 이들에 대한 설명을 잠깐 해보자.
웨스터스탈은 이른바 객관적인 보도가 언론매체가 지향해야 할 중요한 가치로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과연 그렇다면 어떤 것이 객관적인가를 문제제기 하고 설명하려 했다.
웨스터스탈의 결론은 이러했다. 객관성은 두 개의 큰 하부 카테고리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사실성(factuality)과 불편부당성(impartiality)이 그것이다. 불편부당성(impartiality)을 공정성으로 번역하기도 하는 점을 감안해 달리 이야기하면 사실성과 공정성이 그 하부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좀 풀어서 설명하자면 사실에 입각해서 이야기해야 할 뿐만 아니라 불편부당하게 이야기하여야 객관보도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내용을 비교적 널리 읽히고 있는 자신의 언론학 입문서에서 소개하고 있는 맥퀘일(D. McQuail)이라는 학자는 미디어의 객관성은 정보의 질을 제고하는 데 필수적인 내용으로 설명하고 있다.
“언론매체가 질적인 측면에서 합리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기대는 철학적이거나 규범적인 토대에 있기보다는 실용적인 측면이 강하다”고 전제하면서 “미디어의 기준에 대한 현대적 관점에서 보면 미디어의 자유와 다양성의 원칙과 마찬가지로 정보의 질도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맥퀘일의 주장대로 언론매체에 대한 원칙 가운데 과거의 논의 속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채택되어 왔던 자유와 다양성만으로 풍성한 공공커뮤니케이션이 만들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말은 현대의 미디어 환경을 고려해볼 때 매우 타당성이 있어 보인다.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누구나 대중매체적 정보 공급원이 될 수 있는 매체 환경 속에서 사회통합을 위한 양질의 공공커뮤니케이션을 만들어낼 필요성은 과거 어느 시대보다 높아졌다. 웨스터스탈이 이야기하는 복잡다기한 내용을 충족시키는 고급 메시지의 공급이 없는 현대 커뮤니케이션 정보유통체계를 상상해본다면 정말 아찔한 느낌을 가지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사실에 입각했지만 공정하지 않았다거나 공정은 한데 그 내용이 모두 사실성을 망각한 정보만이 소통되고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사회분열과 혼란을 수습하는 것이 아니라 그를 더욱 부추기는 결과를 빚어낼 것이다.
이번에 한국 사회가 경험한 방송의 공정성, 객관성 문제 또한 판단의 전제는 이러한 논리일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6.24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04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