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네트워크 패킷 발생 시 조치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 이상 네트워크 패킷 유형
2. 관리자가 파악해야 할 내용
3. 툴 사용법
4. 사례
5. 정리

본문내용

32\regsvc.exe 664 5.00.2195.6701
c:\winnt\system32\services.exe 216 5.00.2195.6700
c:\winnt\system32\smss.exe 144 5.00.2195.6601
c:\winnt\system32\spoolsv.exe 436 5.00.2195.6659
c:\winnt\system32\svchost.exe 484 5.00.2134.1
c:\winnt\system32\svchost.exe 784 5.00.2134.1
c:\winnt\system32\svchost.exe 408 5.00.2134.1
c:\winnt\system32\taskmgr.exe 280 5.00.2195.6620 c:\winnt\system32\wbem\winmgmt.exe 736 1.50.1085.0100 c:\winnt\system32\winlogon.exe 188 5.00.2195.6714
c:\winnt\system32\wuauclt.exe 1144 5.4.3790.14 built by: lab04_n
수상한 netd32.exe 파일을 안철수 연구소에서 확인한 결과 Win32/Randex.worm의 변형으로 확인되었다. 이 웜에 대한 진단/치료(삭제) 기능이 추가된 최신 엔진이 나오기 전에 응급조치로 해당 프로세스를 죽이고 net32.exe 파일을 삭제 후 해당 컴퓨터의 Administrator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했다. 이상이 패킷 발생부터 문제 컴퓨터 파악, 수상한 파일 수집, 백신 회사에 샘플을 보내는 과정이며 보다 빠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발생 패킷 캡쳐, 문제 시스템의 안리포트 실행 결과, 수상한 파일, 네트워크 상태 등의 정보를 수집해주면 좋지만 문제의 시스템을 파악해서 안리포트 결과만이라도 안철수연구소로 보내면 수상한 파일에 대한 요청을 안철수연구소에서 할 수 있어 보다 빨리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5. 정리
최근 이상 패킷 발생으로 문의하는 네트워크 혹은 보안 관리자가 많다. 이때 단순히 몇 번 포트로 이상 패킷 발생과 같은 내용으로는 원인 파악 및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우므로 다음과 같은 정보를 보내야 한다. 1) 상세한 이상 패킷 내용 (패킷 캡쳐, 발생 시스템 수, 문제 상황 등) 2) 이상 패킷 발생 시스템의 안리포트 실행 결과 3) 이상 패킷 발생 시스템의 Fport나 TCPView 실행 결과 4) 이상 패킷 발생 시스템에서 수집한 수상한 파일 적어도 이상 패킷을 발생하는 시스템을 파악해 안리포트 실행 결과라도 보내줘야 안철수연구소를 포함한 백신 업체에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최근 등장하는 대부분의 웜, 바이러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므로 이상 패킷을 발생시키는 악성 코드의 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대처로 관리자는 사내 컴퓨터를 고정 IP로 할당 해 문제 발생시 문제 시스템을 손쉽게 찾아 해당 시스템의 정보와 수상한 파일을 수집해 백신 회사로 신고하고 해당 시스템의 네트워크 단절 등의 백신 회사가 맡기 어려운 일을 해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6.25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4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