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지심리학의 정의
2. 인지심리학의 연구 영역
2. 인지심리학의 연구 영역
본문내용
역동적인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인지의 또 다른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인지의 하위 과정들이 유아, 성인, 노년으로 변화하면서 동일한 변화과정을 거치는가? 어떤 연령 단계에서 특정한 인지가 발생하는가? 연령이 증가하면서 어떤 인지 능력이 감퇴되는가? 언어는 어떻게 습득되는가등이 이 영역의 주요 연구 문제가 된다. 이러한 분야을 연구하는 인지발달의 분야는 발달심리학자들과 인지심리학자들이 긴밀히 협조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15) 의식
의식이란 환경의 사건들과 자극들에 대한, 그리고 기억, 사고, 신체적 감각 등의 인지적 현상에 대한 알고있음(awareness)이라고 할 수 있다. 의식에는 下의식, 수면 상태, 꿈, 최면 상태, 명상, 일반 의식 상태 등의 여러 수준들이 있을 수 있다. 전통적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의식 현상을 주관적 현상이며 실제 현상이 아닌, 부수 현상(epiphenomenon)으로 간주하여 과학적 심리학의 연구 주제에서 제외하였다. 그러나 인지심리학이 발전함에 따라, 특히 신경과학과의 연결 연구가 발전함에 따라 의식은 하나의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의식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는 현재 주로 주의와 기억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인지신경심리학적 연구들에 의해, 그리고 두뇌영상기법이나 두뇌혈류측정법 등을 사용한 두뇌에 대한 신경심리학적 연구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주요 연구 주제로는, 주의의 자동화, 주의의 활성화와 억제 기제, 수면과 꿈의 신경심리적 기제, 암묵적(implicit) 기억 또는 학습과 명시적(explicit) 기억 특성, 좌우 대뇌 반구의 기능 분할의 문제 등이 있다. 또 명상 등의 심리적 현상과도 연결지워 연구되고 있다.
(16) 인지 공학 - 인지심리학자들은 단순히 순수한 인지 현상만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응용인지심리학적 연구들도 수행한다. ‘Cognitive Engineering' 또는 ’Cognitive Technology'라고 불리는 이러한 인지공학적 연구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 문제, 각종 기계 및 소프트웨어의 인간 중심의 디자인 문제, 인지적 효율성 문제, 운전 기술 수행 문제 등에서의 인지심리학적 원리의 발견과 적용의 문제를 다룬다.
참고문헌
이정모(1998). 인지과학: 개념적 기초. 이정모 (편). 인지심리학의 제 문제(I): 인지과학적 연관 (개정판). 서울: 학지사. 27-54.
(15) 의식
의식이란 환경의 사건들과 자극들에 대한, 그리고 기억, 사고, 신체적 감각 등의 인지적 현상에 대한 알고있음(awareness)이라고 할 수 있다. 의식에는 下의식, 수면 상태, 꿈, 최면 상태, 명상, 일반 의식 상태 등의 여러 수준들이 있을 수 있다. 전통적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의식 현상을 주관적 현상이며 실제 현상이 아닌, 부수 현상(epiphenomenon)으로 간주하여 과학적 심리학의 연구 주제에서 제외하였다. 그러나 인지심리학이 발전함에 따라, 특히 신경과학과의 연결 연구가 발전함에 따라 의식은 하나의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의식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는 현재 주로 주의와 기억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인지신경심리학적 연구들에 의해, 그리고 두뇌영상기법이나 두뇌혈류측정법 등을 사용한 두뇌에 대한 신경심리학적 연구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주요 연구 주제로는, 주의의 자동화, 주의의 활성화와 억제 기제, 수면과 꿈의 신경심리적 기제, 암묵적(implicit) 기억 또는 학습과 명시적(explicit) 기억 특성, 좌우 대뇌 반구의 기능 분할의 문제 등이 있다. 또 명상 등의 심리적 현상과도 연결지워 연구되고 있다.
(16) 인지 공학 - 인지심리학자들은 단순히 순수한 인지 현상만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응용인지심리학적 연구들도 수행한다. ‘Cognitive Engineering' 또는 ’Cognitive Technology'라고 불리는 이러한 인지공학적 연구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 문제, 각종 기계 및 소프트웨어의 인간 중심의 디자인 문제, 인지적 효율성 문제, 운전 기술 수행 문제 등에서의 인지심리학적 원리의 발견과 적용의 문제를 다룬다.
참고문헌
이정모(1998). 인지과학: 개념적 기초. 이정모 (편). 인지심리학의 제 문제(I): 인지과학적 연관 (개정판). 서울: 학지사. 27-54.
추천자료
[인지][사회인지][상위인지][메타인지][초인지][사회][상위][메타][사고][심리학]사회인지, ...
영아기 발달과 보육교사의 역할 (발달의 개념과 주요 영역, 주요 발달심리학 이론-피아제(Pia...
[상담심리학 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을 비교·설명, ...
[심리학의 이해] 제2장 발달 -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pptx
[교육심리학] 연습문제 풀이 {학습자의 발달, 학습자의 개인차, 특수한 학습자, 학습의 행동...
[심리학개론] 아동의 인지 발달에 있어 부모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논하시오 - 인지발달
교육심리학 정리 - 임용고시 교육학 대비 {왓슨,파블로프,손다이크,스키너,강화와벌,구드리,...
[인지학습에 관한 초기이론] 톨만의 잠재학습이론, 행태주의 심리학 이론(쾰러의 통찰학습이...
교육심리학/학습과 인지의 실제
[심리학개론] 우울증의 원인과 치료를 정신분석적, 생물학적, 사회-인지적 조망에서 설명하...
발달심리학미디어 아동영향미디어공격성 아동아동 스마트폰 영향아동 공격성이론아동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