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행동주의와 과학교육
2. 위계학습이론과 과학교육
3. 인지발달이론과 과학교육
4. 발견학습이론과 과학교육
5. 유의미학습이론과 과학교육
6.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2. 위계학습이론과 과학교육
3. 인지발달이론과 과학교육
4. 발견학습이론과 과학교육
5. 유의미학습이론과 과학교육
6.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본문내용
◈ 종류
① 설명 선행조직자 : 학생들이 선행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학습과제가 학생들에게 비 교적 생소한 경우에 적용
② 비교 선행조직자 : 학습과제가 학생들에게 친숙한 경우에 적용되며, 인지적 다리 역할 을 한다.
3. 과학교육에의 적용
◈ 오슈벨 이론의 과학수업 적용 과정
① 선행조직자를 활용
② 예들을 많이 활용
③ 유사점과 차이점에 초점
④ 자료들을 조직화된 방식으로 제시
⑤ 더 유의미하게 학습될 수 있는 자료에 대한 기계적 학습을 지양
4. 개념도와 과학교육
1) 개념도 : 구체적인 하위개념들이 일반적인 상위개념에 통합ㆍ포섭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일 어 난다는 오슈벨의 유의미학습 이론에 이론적 배경을 둠.
2) 개념도의 장점
① 주요 개념들과 명제들을 명료화하고 정확한 언어로 표현
② 주요 개념과 명제들의 위계적 관계를 보일 수 있음
③ 여러 개념체계들 사이의 교차연결도 나타냄
5.6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1. 구성주의
: 세계가 인간에 의해 창조되는 것으로, 그 본질에 대한 이해가 인간에 달려있다는 관념주 의의 본체론과 모든 것을 상대적으로 보는 상대주의 인식론에 이론적 배경을 둔다.
2. 과학교육에의 적용
◈ 과학의 본질, 교수/학습방법, 과학평가에 주는 시사점
1) 과학의 본질
① 과학은 진리를 찾거나 이론ㆍ법칙ㆍ원리를 발견하는 수단의 학문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세계를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② 과학지식은 반증될 수 있으나 현재로는 반증되지 않은 잠정적 개념
③ 이론보다는 관찰을 우선시
④ 객관성보다는 주관성을 더 중요시
2) 과학의 교수/학습
① 학생위주의 수업
② 교사는 과학학습의 진단자, 동기유발자, 안내자 역할
③ 창조적 사고를 복돋울 수 있는 학생들의 대화와 토론이 중시되는 과학수업
④ 학습자의 선행지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수업전략
⑤ 직접해보는 과학, 사고하는 과학 학습이 강조
3) 과학평가
① 집단별 점수화, 서열화의 양적 평가에서 개인별 성장위주의 질적 평가
② 단순한 암기위주의 평가에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 평가
③ 결과중심의 평가에서 과정중심의 평가
④ 학습자가 지니는 개념체계의 변화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
⑤ 수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학습평가 중시
4) 개념변화 학습
ㆍ유년적 사고 : 현대 과학과 상반되는 학생들의 나름대로의 자연에 대한 설명이나 생각
① 현상 중심적 사고
② 제한적 사고
③ 변화 중심적 사고
④ 단순 인과적 사고
⑤ 미분화된 개념
① 설명 선행조직자 : 학생들이 선행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학습과제가 학생들에게 비 교적 생소한 경우에 적용
② 비교 선행조직자 : 학습과제가 학생들에게 친숙한 경우에 적용되며, 인지적 다리 역할 을 한다.
3. 과학교육에의 적용
◈ 오슈벨 이론의 과학수업 적용 과정
① 선행조직자를 활용
② 예들을 많이 활용
③ 유사점과 차이점에 초점
④ 자료들을 조직화된 방식으로 제시
⑤ 더 유의미하게 학습될 수 있는 자료에 대한 기계적 학습을 지양
4. 개념도와 과학교육
1) 개념도 : 구체적인 하위개념들이 일반적인 상위개념에 통합ㆍ포섭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일 어 난다는 오슈벨의 유의미학습 이론에 이론적 배경을 둠.
2) 개념도의 장점
① 주요 개념들과 명제들을 명료화하고 정확한 언어로 표현
② 주요 개념과 명제들의 위계적 관계를 보일 수 있음
③ 여러 개념체계들 사이의 교차연결도 나타냄
5.6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1. 구성주의
: 세계가 인간에 의해 창조되는 것으로, 그 본질에 대한 이해가 인간에 달려있다는 관념주 의의 본체론과 모든 것을 상대적으로 보는 상대주의 인식론에 이론적 배경을 둔다.
2. 과학교육에의 적용
◈ 과학의 본질, 교수/학습방법, 과학평가에 주는 시사점
1) 과학의 본질
① 과학은 진리를 찾거나 이론ㆍ법칙ㆍ원리를 발견하는 수단의 학문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세계를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② 과학지식은 반증될 수 있으나 현재로는 반증되지 않은 잠정적 개념
③ 이론보다는 관찰을 우선시
④ 객관성보다는 주관성을 더 중요시
2) 과학의 교수/학습
① 학생위주의 수업
② 교사는 과학학습의 진단자, 동기유발자, 안내자 역할
③ 창조적 사고를 복돋울 수 있는 학생들의 대화와 토론이 중시되는 과학수업
④ 학습자의 선행지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수업전략
⑤ 직접해보는 과학, 사고하는 과학 학습이 강조
3) 과학평가
① 집단별 점수화, 서열화의 양적 평가에서 개인별 성장위주의 질적 평가
② 단순한 암기위주의 평가에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 평가
③ 결과중심의 평가에서 과정중심의 평가
④ 학습자가 지니는 개념체계의 변화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
⑤ 수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학습평가 중시
4) 개념변화 학습
ㆍ유년적 사고 : 현대 과학과 상반되는 학생들의 나름대로의 자연에 대한 설명이나 생각
① 현상 중심적 사고
② 제한적 사고
③ 변화 중심적 사고
④ 단순 인과적 사고
⑤ 미분화된 개념
추천자료
구성주의의 개념과 유형, 학습이론
Thorndike의 연결주의 교수-학습이론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와 교수-학습이론
[2008 방송대 아동발달 B형]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비교분석
파블로프, 손다이크, 스키너의 학습이론을 비교, 설명하시오
교육심리학 구성주의 학습이론
브루너, 오즈벨, 가네의 학습이론과 그 비교
행동주의 인지주의 인본주의 학습이론의 비교jo
파블로브와 스키너, 손다이크의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대한 비교 고찰
【 A++ 파블로와 손다이크 스키너의 학습이론 】
(인간행동과사회환경E형)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대하여 비교분석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학습이론 비교와 시사점
[인간행동과사회환경2017C]사회적 학습이론의 행동주의적 요소와 차별화 요소에 대하여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