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모델로서의 그 잠재력-는 우리 모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필요한 토대가 무엇인지를 밝혀주는 데 도움을 준다.
거칠고 황량한 풍토 속에서 온갖 불리한 자연적 조건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으로 건강하고 평화로운 공동체를 유지하고 내면적 평정을 누리며 물질적으로도 크게 불편을 느끼지 않고 살아가는 이 수수께끼 같은 사회의 비밀을 가까이에서 좀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나는 점차로 라다크 사람들의 거의 본능적인 생태적 지혜와 철학에 매료되었다. 그래서 지금까지 내가 별다른 의문이 없이 받아들여왔던 서구식 산업문명의 기본적 가치들을 뿌리로부터 물어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서구식 산업문화의 압력 밑에서 세계의 문화적 다양성이 사라진다는 것은 결국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무엇보다도 사회적, 생태적으로 건전한 생활방식을 발전시켜온 온갖 다양한 토착적 지혜와 기술이 무시되고 산업문화라는 근원적으로 지속 불가능한 생활방식이 전 지구적으로 확산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인류사회 전체의 대제앙이 임박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하여 우리는 근본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토대 위에 서있는 분화가 불행하게도 서구식 산업주의적 개발에 의해서 크게 파손되고는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사회에 하나의 모범적인 사회 재조직의 가능성도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그러나 이 책의 메시지가 옛 사회로의 단순한 복귀를 주장하는 것은 결코 아니라는 사실도 강조될 필요가 있다. 라다크의 전통사회가 이상적인 낙원이 아니라는 것은 확실하고 그런점에서 삶의 개선을 위한 창조적인 노력은 계속되어야 하는 것이다.
거칠고 황량한 풍토 속에서 온갖 불리한 자연적 조건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으로 건강하고 평화로운 공동체를 유지하고 내면적 평정을 누리며 물질적으로도 크게 불편을 느끼지 않고 살아가는 이 수수께끼 같은 사회의 비밀을 가까이에서 좀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나는 점차로 라다크 사람들의 거의 본능적인 생태적 지혜와 철학에 매료되었다. 그래서 지금까지 내가 별다른 의문이 없이 받아들여왔던 서구식 산업문명의 기본적 가치들을 뿌리로부터 물어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서구식 산업문화의 압력 밑에서 세계의 문화적 다양성이 사라진다는 것은 결국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무엇보다도 사회적, 생태적으로 건전한 생활방식을 발전시켜온 온갖 다양한 토착적 지혜와 기술이 무시되고 산업문화라는 근원적으로 지속 불가능한 생활방식이 전 지구적으로 확산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인류사회 전체의 대제앙이 임박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하여 우리는 근본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토대 위에 서있는 분화가 불행하게도 서구식 산업주의적 개발에 의해서 크게 파손되고는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사회에 하나의 모범적인 사회 재조직의 가능성도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그러나 이 책의 메시지가 옛 사회로의 단순한 복귀를 주장하는 것은 결코 아니라는 사실도 강조될 필요가 있다. 라다크의 전통사회가 이상적인 낙원이 아니라는 것은 확실하고 그런점에서 삶의 개선을 위한 창조적인 노력은 계속되어야 하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