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학교의 개념과 유형 및 문제점 개선방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대안학교의 개념과 유형

Ⅲ. 대안학교의 문제점

Ⅳ. 개선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의 장을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아직 충분히 검토하지는 못했지만, 미국에서 우리로 치면 '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에서 오랜 기간 헌신적으로 일한 John Kellmayer가 제시하는 대안학교의 모델들을 간단히 소개한다.
·대학구내 학교 : 부적응 청소년'으로 하여금 대학생들과의 접촉을 통하여 긍정적인 사회화가 이루어지도록 함
·벽없는 학교 : 지역사회의 온갖 시설, 업소를 교실로 삼아 다양한 경험을 하도록 함
·상가지역 학교 : 상가지역 내에 교실을 얻어 학습과 일(직업)을 겸할 수 있게 함
·특성화 학교 : 특정 주제를 선정하고 그 주제에 맞는 장소(도서관이나 박물관, 극장 등)를 선택하여 학교를 설립함. (magnet school이라고도 함)
·학교안의 학교(전일제) : 기존의 학교 안에 '부적응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학교를 설립하여 동시에 운영함. 예산 절약과 일반 학교로의 복귀 용이라는 이점이 있음
·학교안의 학교(방과후) : 앞의 것과 동일하되 방과후에만 운영함으로써 동일한 시간에 서로 다른 규칙을 적용해야 하는 긴장에서 벗어날 수 있음
·고립 지역의 학교 : 고립된 지역에 대안학교를 설립함으로써 다른 학교나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아도 됨(우리의 특성화고등학교들의 처지와 유사)
3. 중학교 의무교육은 국민의 의무가 아니라 권리로서 보장
참고문헌
홍보선, 남미애. 2000. "'청소년 복지론" 양서원
청소년 기본법
교육법
http://www.edinno.com
http://www.educyber.org
http://user.chollian.net/~gandhis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7.01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6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