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문장구조] 종결어미 '-는데'의 의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종결어미 ‘-는데’의 의미
1.1 연결어미에서 종결어미로 가는 과도기에 있는 ‘-는데’의 의미
1)요청 및 부탁
2)부인
3)거절
4)당연
5)단순 정보 제시
1.2 종결어미로 굳어진 ‘-는데’의 의미
1)단순 정보 제시
2)추측
3)의문
4)감탄
2. 종결어미 ‘-는데’의 화용상의 특징
2.1 선행 정보를 전제한 발화이다.
2.2 미안하거나 거북한 말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킨다.
2.3 비단정적이고 유보적인 태도를 드러낸다.


Ⅲ. 결론

본문내용

이 커 진다.
(6) 가: 너 기말고사 잘 봤니?
나: a. 그럭저럭 잘 봤나 봐.
b. 그럭저럭 잘 봤나 본데.
두 가지 대답을 비교해 보았을 때, a는 b에 비해 '잘 봤다'는 사실에 조금 더 확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고, b는 잘 본 것 같지만 확실히는 모르겠다는 식으로 유보적인 태도를 더하고 있다. 이러한 비단정적이고 유보적인 화법을 통해 혹시나 시험을 잘 못 봤을 경우를 대비하여 방어적인 태도를 취한다고 볼 수 있다.
종결어미 '-는데'는 원래 연결어미에서 파생되었고, 연결어미 '는데'는 이기동의 <연결어미 '-는데'의 화용상의 기능>에서 밝혔듯이, 기본적으로 배경설정소에서 파생되었다. 종결어미 '-는데'가 언술화 된 것 이상의 의미를 청자 스스로 판단해 주기를 바랄 때 쓰이는 것은, '-는데'절이 배경을 설정하는 기능이었다는 것에서 말미암는다. 연결어미로 사용 될 때 '-는데'절의 내용은 배경 제시이고, '-는데'절 이후에서 말하고 싶은 주 정보를 제시하므로 항상 '-는데'절은 의미상으로 독립적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특성이 지속되어 종결어미 '-는데'도 의미상 독립적이지 못하고 항상 다른 함의를 지니게 된다. '저 길동이 엄만데요'는 '문 좀 열어 달라'는 함의를, '저 어제 학교 안 왔는데요'는 '유리창 안 깼는데요'라는 함의를, '어제 뭐 했는데?'는 '왜 팔다리가 쑤시냐?'는 함의를 지닌다. 그래서 '-는데'로 끝나는 문장은 뭔가 항상 더 할 말이 남아있다는 느낌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본론 1에서 나눈 분류체계는 함의, 즉 환기시키는 생각이 있고, 없고의 문제가 아니라 그 함의가 주 정보이냐, 보조 정보이냐의 차원에서 나눈 것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상기할 필요가 있다. 1.1은 '-는데'를 포함한 문장이 보조 정보이고 함의가 주 정보이며, 1.2는 '-는데'를 포함한 문장이 주 정보이고 별도의 주 정보가 남아 있지 않은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그동안 종결어미로서의 의미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던 ‘-는데’를 과도기적 상황에 있는 것과 종결어미로 굳어진 것으로 나누어 그 의미들을 살펴보았다. 간략히 정리하자면, 과도기적 상황에 있는 ‘-는데’는 종결어미로 쓰이긴 쓰였으되 그 자체가 주 정보가 되지 못하고 다른 어떤 주 정보를 위한 보조 정보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었고, 요청 및 부탁, 부인, 거절, 당연, 단순 정보 제시의 의미를 내포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종결어미로서의 입지를 굳혀 그 자체가 화자가 전달하려는 주 정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있었는데, 이러한 것들은 단순 정보 제시, 추측, 의문, 감탄으로 그 의미를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한편, 종결어미 ‘-는데’는 본래 연결어미로 쓰이던 것에서 파생된 것으로, 배경설정소라는 연결어미 ‘-는데’가 가진 의미 때문에 여러 가지 화용상의 특징을 보이기도 했다. 선행 정보를 전제한 발화라는 점, 미안하거나 거북한 말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킨다는 점, 비단정적이고 유보적인 태도를 드러낸다는 점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다른 종결어미를 사용하였을 때와 변별되는 ‘-는데’ 문장의 독특한 뉘앙스를 결정지어 주는 특징들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전사 자료를 바탕으로 종결어미 ‘-는데’의 의미를 찾는 가운데, 우리는 ‘-는데’의 의미를 명확하고도 분명하게 규정짓는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기존의 연구에서 ‘-는데’의 의미를 결국은 ‘주 정보를 위한 배경설정소’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정리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도 바로 그것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연결어미와 종결어미로 쓰인 ‘-는데’를 나름대로의 기준으로 일관성 있게 분류했다는 점, 종결어미 ‘-는데’의 의미를 가급적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빠짐없이 찾아보려고 했다는 점, 종결어미 ‘-는데’를 과도기적 상태에 있는 것과 종결어미로 굳어진 것으로 나누어 각각 보조 정보, 주 정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체계화시켰다는 점에서 조금이나마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 도서
이기동,「연결어미 ‘-는데’의 화용상의 기능」, 인문과학 40-41, 서울;연세대학교, (1979)
이창덕,「‘-는데’의 기능과 용법」, 텍스트 언어학 2, 서울;도서출판 박이정, (1994)
박용예, the Korean connective nuntey in conversational discourse journal of pragmatics 31, 191-218, (1999)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7.04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9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