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무의 청비록과 시품- 이덕무 한시평을 연구하기에 앞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덕무의 청비록과 시품- 이덕무 한시평을 연구하기에 앞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시는 평자가 어떠한 기준, 즉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 표현방법, 읽고나서의 감흥 등에 중점을 두었는가에 따라 감상이 달라지기 때문에 같은 시를 보더라도 평어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시품에 쓰이는 평어는 작자마다 범주와 의미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덕무는 '淸'字 계열의 평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그밖에 '精'字계열, '妙'字계열의 순으로 나타난다. 그만큼 작자의 문학관이 이 평어들을 선호한다는 뜻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淸'字계열, '精'字계열, '妙'字계열을 중심으로 시화를 분석하여 평어의 의미와 범주를 찾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덕무의 비평의식을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시화집은 작가의 비평의식이 총 망라되어 있는 책으로, 작가의 비평의식이나 시대적 비평양상 등을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 앞서 시화집으로서의 위상을 확립하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까닭으로 이덕무의 『淸脾錄』의 시화들 중에서 평어를 사용한 시화를 분석하여 평어의 의미와 범주를 설정하는 방법도 韓國漢詩史에서 『淸脾錄』의 비평서로써의 위치를 어느 정도 정립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7.08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6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