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실학 사상가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유형원(柳馨遠, 1622∼1673 , 호는 반계)

2. 정약용(丁若鏞, 1762∼1836. 호는 다산 또는 여유당)

3. 이덕무(李德懋 1741∼1793, 호는 아정(雅亭))

4. 박지원(朴趾源, 1737∼1805, 호는 연암)

5. 홍대용

6. 이 익(李翼, 1681∼1763. 호는 성호)

본문내용

국학을 본 궤도에 올려 놓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2) 유교경전과 중국역사를 주로 다루던 당시의 교육과정에 한국적 요소를 가미하였다.
(3) 교육방법은 내적 충실을 전제로 형상주의 이며, 발견적 태도와 적극적 질의 존중하는 탐구적이다.
(4) 자기계발의 요소이며 자기 수양에 있어 일신(日新 : 매일새롭게), 득사(得師:스승을 구하고), 호문(好問:호기심을 가지고 질문하는 것) 이 살아 있는 교육이라 하였다.
(5) 가정교육을 중요시하였다.
(6) 도시교육의 폐해를 지적하였다.
(7) 실용성 없는 교육배척을 주장하였다.
(8) 사도의 존경을 강조하였다.
(9) 학문의 자유 및 교육의 평등과 기회균등을 강조하였다.
(10) 과거제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11) 저서 : 성호사설, 곽우록

키워드

조선,   실학,   사상가,   유형원,   정약용,   박지원
  • 가격7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2.08.13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11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