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성병의 정의
2매독
1.정 의
2.원인 및 감염경로
3. 증 상
4. 진단 및 치료
3.임질
1.정 의
2.원인 및 감염경로
3. 증 상
4. 진단 및 치료
4.에이즈
1.정 의
2.원인 및 감염경로
3. 증 상
4. 진단 및 치료
5.클리미디아-정의
1.정 의
2.원인 및 감염경로
3. 증 상
4. 진단 및 치료
6.사면발이
1.정 의
2.원인 및 감염경로
3. 증 상
4. 진단 및 치료
7.곤지름
1.정 의
2.원인 및 감염경로
3. 증 상
4. 진단 및 치료
8.성병조사 후기 및 소감
9.출처 및 참고자료
2매독
1.정 의
2.원인 및 감염경로
3. 증 상
4. 진단 및 치료
3.임질
1.정 의
2.원인 및 감염경로
3. 증 상
4. 진단 및 치료
4.에이즈
1.정 의
2.원인 및 감염경로
3. 증 상
4. 진단 및 치료
5.클리미디아-정의
1.정 의
2.원인 및 감염경로
3. 증 상
4. 진단 및 치료
6.사면발이
1.정 의
2.원인 및 감염경로
3. 증 상
4. 진단 및 치료
7.곤지름
1.정 의
2.원인 및 감염경로
3. 증 상
4. 진단 및 치료
8.성병조사 후기 및 소감
9.출처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료도 같이 받는 것이 좋다. 배우자도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6.사면발이
1.정의
머리에 있는 이와 비슷하며 주로 사람의 음부에 살며 일부는 겨드랑이, 눈썹에 기생한다. 수컷은 1.5mm 암컷은 1.3mm크기로 육안으로서의 식별이 굉장히 어렵다.
2.원인 및 감염경로
직접적인 피부 접촉 시 성관계가 없더라도, 불결한 침구나 수건, 옷, 좌식 양변기를 통해 감염된다. 경로는 일 단계는 알, 이 단계는 서캐, 마지막은 성충이다. 성충은 1개월 정도의 수명을 가지며 일단 기생하게 되면 입을 피부에 삽입한 채로 체액을 섭취한다.
3.증상
음부에 이가 생기면 심한 가려움증을 느낀다. 특히 밤에는 가려움증이 더 심하며 드물게 아무런 증세를 느끼지 못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 가려움에 피부를 긁다가 상처가 나서 이 상처로 박테리아균이 들어가게 되어 붉은 발진이 생긴다. 음모 부근을 자세히 살펴보면 작은 성충이 모로 주위에 살고 있는 것을 발견하거나 작은 하얀 알이 떨어지지 않도록 모로 주위에 단단히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4.치료 및 예방
비누나 물로 철저히 씻어내도 이를 없앨 수는 없다. 대신 성충효과가 잇는 특수 샴푸와 로션을 사용한다. 샴푸나 로션을 사용한 후에는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는다. 무엇보다 사면발이는 청결이 중요하다.
7.곤지름
1.정의
성기나 항문 주변에 닭 벼슬 모양으로 번지는 사마귀가 특징적인 질병.
2.원인 및 감염경로
가장 흔한 경로로는 성적 접촉, HPV에 감염이 된 사람과의 성관계를 가지게 되면 전염이 되고 여러 명의 성관계 파트너가 있는 경우 위험이 더욱 높다. 또한 산모가 감염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연분만을 하거나 양수가 파열될 경우 태아에게 감염될 확률이 매우 높다.
3.증상
초기에는 무증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감염후 2~3개월 후에 증상이 나타난다. 잘생기는 부위는 항문주위, 대음순 ,질, 남성-페니스의 끝부분 주로 붉은 빛을 띠고 피부표면에 돋아 오르면서 마치 닭의 벼슬과 비슷한 모영은 보인다.
4,치료 및 예방
화학 약품으로 녹여 내거나, 외과적 제거, 레이저 수술, 냉동 치료 등이 있다. 만일 곤지름이 생겼다면 배우자의 성기에도 생기지 않았는지 살펴보고, 발견되면 즉시 치료를 함께 받는다. 양쪽 모두 치료가 끝날 때 까지는 성 접촉을 금한다. 여성의 경우 감염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가 향후 자궁암의 원인 균이 되므로 반드시 정기적인 자궁암 검사를 받아야 한다.
6.사면발이
1.정의
머리에 있는 이와 비슷하며 주로 사람의 음부에 살며 일부는 겨드랑이, 눈썹에 기생한다. 수컷은 1.5mm 암컷은 1.3mm크기로 육안으로서의 식별이 굉장히 어렵다.
2.원인 및 감염경로
직접적인 피부 접촉 시 성관계가 없더라도, 불결한 침구나 수건, 옷, 좌식 양변기를 통해 감염된다. 경로는 일 단계는 알, 이 단계는 서캐, 마지막은 성충이다. 성충은 1개월 정도의 수명을 가지며 일단 기생하게 되면 입을 피부에 삽입한 채로 체액을 섭취한다.
3.증상
음부에 이가 생기면 심한 가려움증을 느낀다. 특히 밤에는 가려움증이 더 심하며 드물게 아무런 증세를 느끼지 못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 가려움에 피부를 긁다가 상처가 나서 이 상처로 박테리아균이 들어가게 되어 붉은 발진이 생긴다. 음모 부근을 자세히 살펴보면 작은 성충이 모로 주위에 살고 있는 것을 발견하거나 작은 하얀 알이 떨어지지 않도록 모로 주위에 단단히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4.치료 및 예방
비누나 물로 철저히 씻어내도 이를 없앨 수는 없다. 대신 성충효과가 잇는 특수 샴푸와 로션을 사용한다. 샴푸나 로션을 사용한 후에는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는다. 무엇보다 사면발이는 청결이 중요하다.
7.곤지름
1.정의
성기나 항문 주변에 닭 벼슬 모양으로 번지는 사마귀가 특징적인 질병.
2.원인 및 감염경로
가장 흔한 경로로는 성적 접촉, HPV에 감염이 된 사람과의 성관계를 가지게 되면 전염이 되고 여러 명의 성관계 파트너가 있는 경우 위험이 더욱 높다. 또한 산모가 감염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연분만을 하거나 양수가 파열될 경우 태아에게 감염될 확률이 매우 높다.
3.증상
초기에는 무증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감염후 2~3개월 후에 증상이 나타난다. 잘생기는 부위는 항문주위, 대음순 ,질, 남성-페니스의 끝부분 주로 붉은 빛을 띠고 피부표면에 돋아 오르면서 마치 닭의 벼슬과 비슷한 모영은 보인다.
4,치료 및 예방
화학 약품으로 녹여 내거나, 외과적 제거, 레이저 수술, 냉동 치료 등이 있다. 만일 곤지름이 생겼다면 배우자의 성기에도 생기지 않았는지 살펴보고, 발견되면 즉시 치료를 함께 받는다. 양쪽 모두 치료가 끝날 때 까지는 성 접촉을 금한다. 여성의 경우 감염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가 향후 자궁암의 원인 균이 되므로 반드시 정기적인 자궁암 검사를 받아야 한다.
추천자료
[보건학]성병
성병의 원인과 예방방법
성병이란
[성병 매독][매독 증상][매독 합병증][매독 치료]성병 매독의 정의, 성병 매독의 유형, 성병 ...
[매독][성병][성병 매독 분류][성병 매독 발생빈도][매독균][성병 매독 증상][성병 매독 예방...
[성병][에이즈][매독][연성하감][캔디다질염][임질][곤지름]성병 에이즈(AIDS), 성병 매독, ...
성병(성인성질환) 사례 곤지름과 에이즈(AIDS), 성병(성인성질환) 사례 비임균성요도염과 임...
[성병][에이즈][매독][임질][연성하감][클라미디아][곤지름]성병 에이즈(AIDS), 성병 매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