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세국어(15세기)에서의 'ㄹ'탈락
2. 현대국어에서의 'ㄹ'탈락
3. 중세와 현대국어의 'ㄹ'탈락
4. 남은 문제거리
2. 현대국어에서의 'ㄹ'탈락
3. 중세와 현대국어의 'ㄹ'탈락
4. 남은 문제거리
본문내용
.
그리고, 소나무가 다시 요즈음 '솔나무'로 통용되는 것과 '알+으로 -- 아오, 알+읍니다--압니다, 알+으시고 -- 아시고' 등에서 '알+으'의 결합에서의 탈락은 어떻게 된 것이고 현대 국어에서 'ㄹ'은 오히려 유지되는 경향(/알으시고/ 알지[예전에는 '알+지 --아지'의 형태]을 보이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소나무가 다시 요즈음 '솔나무'로 통용되는 것과 '알+으로 -- 아오, 알+읍니다--압니다, 알+으시고 -- 아시고' 등에서 '알+으'의 결합에서의 탈락은 어떻게 된 것이고 현대 국어에서 'ㄹ'은 오히려 유지되는 경향(/알으시고/ 알지[예전에는 '알+지 --아지'의 형태]을 보이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국어 대우법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고등 국어 하-국어가 걸어온 길-학습활동 분석
15세기 국어의 조사 분류
[국어][국어교육][국어과]국어 동사의 통사론(구문론, 문장론), 국어 조사의 통사론(구문론, ...
국어표기법의 변천
국어의 <모음체계> 연구
국어 부사의 성립
국어 <자음 체계> 연구
[우리말의 역사 4공통]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
[우리말의 역사 4 공통] 국어사(國語史)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성
(우리말의역사 공통)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