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M의 성공적 정착 비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 언

리스크 관리를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 추구

ERM을 통한 선진 경영 시스템 구축

ERM의 성공적인 정착 방안

변화 관리를 통한 선진 경영 시스템으로 정착

본문내용

매출 위주로 과제 목표를 설정해놓고 애써 관련 리스크를 무시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비효율성과 잠재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혁신 활동과 리스크 관리를 연계하는 것은 다른 부수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미 국내 주요 기업은 혁신 활동을 광범위하게 실시하며 선도 기업들의 경우 구성원의 30~40% 수준을 혁신 과제에 참여시키고 있다. 혁신 과제를 수행하면서 리스크라는 개념에 익숙해지고 업무 추진상의 리스크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하면서 손쉽게 리스크 관리를 일상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ERM을 추진할 때 전사 차원의 리스크 요인들을 도출하게 되는데 이를 혁신과제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모니터링이 중요한 리스크들은 지표를 통해 관리하고 개선이 필요한 리스크들은 혁신 테마로 연계해 대응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것이다. 리스크 관리를 위해 별도의 확산 계획과 변화 관리를 추구하는 것 보다는 이렇게 기존의 프로세스를 활용하는 방안이 더욱 효과적이고 변화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변화 관리를 통한 선진 경영 시스템으로 정착
다른 프로젝트도 마찬가지이지만 ERM 역시 일부 리스크 관리 담당자와 외부 컨설턴트들에 의한 ‘그들만의 작업’으로 진행되어서는 안된다. 구축 자체에 치중하여 시스템을 구현하는 활동에만 매몰되어서도 안 된다.
ERM 도입으로 어떤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어떻게 자연스럽게 전 직원들에게 수용시킬 것인지에 대한 변화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현업이 가치를 느낄 수 있어야 성공적인 정착과 확산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구축 과정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사원들의 참여 없이 핵심부서와 외부 컨설턴트만 모여 추진하면 확산 시에 모멘텀이 떨어진다. 프로젝트 종료 후에도 프로젝트 참여자들이 조직 내 확산을 위해 일정 역할을 유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ERM은 경영 시스템으로 자연스럽게 동화되어야 한다. 리스크 관리만을 위한 별도의 조직과 프로세스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성과 관리 시스템과 경영 정보 시스템 등 기존 경영 관리 시스템에 보완적으로 스며들어야 한다. 고도계와 속도계만 놓여있던 계기판에 다양한 기상 정보와 안전운행 정보가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성장 일변도의 전략을 추진해왔던 국내 기업들에게 ERM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게 할 것이다. ERM을 우리 기업들의 선진 경영 시스템의 일부로 정착, 발전시켜 나가야 할 때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7.21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