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상 연골손상과 퇴행성 슬관절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반월상 연골손상과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반월상 연골
- 기전
- 증상
- 진단
- 치료

퇴행성 슬관절염
- 진단
- 치료

본문내용

30~40%를 차지하며 60세 이상의 노인층 환자의 과반수 이상이 이 질환으로 내원할 정도로 빈도가 높다.
진단
A. 증상
① 초기의 40대 나이에는 부종이나 삼출액(effusion)은 없고 무딘 관절통(dull joint pain)이나 계단을 걸어 내려올 때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② 심해지면 부종과 변형이 나타난다.
③ 추위나 높은 습도에 악화되는 관절통
B. 이학적 검진(physical examination)
① 압통(tenderness) : 관절 내측과 내측 측부 인대를 따라 흔히 존재한다.
② 삼출액(effusion)
③ 변형(deformity) : 관절 연골의 손실로(특히 내측) 내반 변형이 초래되어 O자 다리의 외양이 나타난다.
④ 운동시 마찰음(crepitaion)
⑤ 관절 운동 장애
C. 방사선 검사(X-ray finding)
초기에는 정상이나 진행되면서 관절 간격이 좁아진다.
더욱 진행시 관절면의 가장자리 변연에 골극(spur)이 형성되고 연골하 골은 정화되어 하얗게 보이며 관절면의 불규칙성(irregularity)이 보인다.
D. 천자(Aspiration)
부종이 심한 경우 치료겸 시행하며 활액은 투명하고 연한 노란색이다.
E. 관절경 검사
치료
목적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임을 환자가 이해하도록하여 정신적 안정을 얻으면서 통증을 경감시키고 변형을 방지하는데 있다.
말기의 심한 관절 변형이 있는 환자는 수술적으로 교정해 주어 일상 생활에 도움을 준다.
A. 보존적 요법
① 약물요법 : 비스테로이드성 약물 처방
② 물리치료
③ 관절내 국소치료
a) 스테로이드 + 리도카인의 압통 부위 주사
b) Hyaluronic acid 주사 +/- steroid intraarticular injection
④ 무릎 보호대 착용
⑤ 생활습관과 운동요법
쪼그리고 앉아서 빨래나 부엌일을 피하고 등산이나 계단오르기를 피하며 가급적 무릎을 편 상태로 앉도록하고 대퇴 사두근 강화 운동을 시행
B. 수술적 치료
① 활막 절제술(synovectomy) : 관절경을 이용
② 절골술(osteotomy) : 내반 변형이 심한 환자에 시행
③ 인공관절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적응증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내반 변형이 심한 말기의 퇴행성 관절염
절골술(osteotomy) 인공관절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7.23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0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